• Title/Summary/Keyword: 높은 감도

Search Result 2,7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압전형 가속도계의 설계, 제작 및 보정 II - 개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 이종원;구경회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4
    • /
    • pp.414-425
    • /
    • 1989
  • 본 연구를 통하여 원하는 감도와 부착 공진 주파수가 주어질 때 실제로 이러한 성능을 갖는 압 축식 압전형의 가속도계를 이론적으로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었으며 보정 실험을 통하여 실험 가속도계는 실제 설계값에 가까운 성능을 나타내었다. 설계, 제작된 실험 가속도계의 특성 실 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가속도계의 감도는 압전 소자의 압전 상수가 일 정할 때 관성 질량에 따라서만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압전 소자의 크기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2) 높은 감도의 가속도계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단일 압축식의 설계보다는 이중 압축식의 설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도가 큰 가속도계 일수록 0.1g 이하의 낮은 가진 레벨에서의 특성도 아주 좋다. (3) 높은 주파수에서의 특성이 좋은 가속도계를 설계하기 위하여서는 단일 압축식 으로 설계하는 것이 좋으며 압전 소자의 두께는 얇은 것이 좋다. (4) 압전 소자와 관성 질량의 접착시에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기포를 제거한 양호한 에폭시계통의 접착제를 사용 하여 접착층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면 설계값에 가까운 감도를 가진 가속도계를 제작할 수가 있다.

  • PDF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system (학제에 따른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관계연구)

  • Lee, Ji Won;Kang, Ky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5 no.4
    • /
    • pp.69-74
    • /
    • 2014
  •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care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oral health related work is an important issue. In order to solve this psychological problem, a relational analysis betwee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by school system and looked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 survey using an individual self entry method was conducted targeting 98 students of a three year cours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164 students of a four year course dental hygiene depart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self-esteem was shown to be slightly higher for a four year course students than the three year students and for depression index and stress index, it was shown slightly higher for a three year course students than the four year course students.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when the self-esteem was higher depression index and stress index was lower, and when the self-esteem was lower the depression index and stress index was shown to be higher.

The Effects of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Heo, Yang Won;Kim, Seon Yu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337-35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eaching methods among elementary school math teacher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in examinations. Results are based upon data from two elementary schools. The evaluation criteria of fifteen items was modified from Ryang's original MTEBI sixteen items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 teaching efficac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eaching efficiency: higher teaching efficiency and lower teaching efficiency. A comparison of math tests taken by students from these groups demonstrate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Students with teachers in the lower efficiency group are likely to under-perform. In consequence,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is considered to affect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 PDF

Effects of Children's Leadership Skills on Social Competency (유아리더십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Shin, Soo-Won;Lim, Nan-J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3
    • /
    • pp.1465-1470
    • /
    • 2014
  • This study, infants to Toddler's sense of competent leadership of social and socially competen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sense. Seoul, Incheon, Gyeonggi area only 5 years old male and female infants are 330 people survey F-t-data processing, validation, and verification applied to person-correlated analysis study. First of all, depending on the infant's gender remains a meaningful difference and is capable of leadership, social sense than girls score higher. Second,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mpetent leadership and social sense of the infant, and the result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 high degree of collective leadership to be more socially competent, comfortabl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infant is capable of leadership and the impact of this is social in the sense of an infant Therefore,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n infant appearing in leadership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and promoting a sense of being able to make a skilled early childhood soci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Effects of Self-efficacy Beliefs on Industrial Accident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Companies (안전효능감과 산업재해의 관계에 대한 분석 -제조업을 중심으로-)

  • Park, Dong-Hyun;Im, Su-Jung;Choi, S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3 no.1
    • /
    • pp.11-2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 belief)과 산업재해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의 예비 단계에서는 크게 세 그룹 즉, 현장의 작업자, 현장 및 안전관련 자문업체에 근무하는 안전 관리자, 그리고 산업안전에 관계되는 정부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집중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고, 이 집중면접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연구의 본 단계에서 적용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 설문지는 산업안전, 산업안전교육프로그램의 평가, 산업안전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자기만족, 스트레스, 산업재해율, 그리고 인구사회학적요인관련 정보 등과 관련되는 효능감을 평가 하도록 설계되었고, 총 917명(현장작업자: 542명, 안전 관리자: 210명, 정부기관종사자: 165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자 그룹의 경우에 안전관련 효능감과 관련한 세 가지 요인(자기관리, 사회적 지원, 환경관리)은 해당 회사의 산업재해율과 부(nega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효능감이 높은 현장 작업자는 낮은 현장작업자들과 비교하여 안전관련 수칙을 더 잘 지키고, 자기 인생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으며, 스트레스의 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관리자의 경우에 안전효능감은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정(positive)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해당회사의 산업재해율과는 부(nega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기관 종사자의 경우에는 경력이 길고 높은 지위에 있을수록 산업안전관리관련 안전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장병의 그릿 및 주관적 안녕감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Bae, Dong-Hun;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05-117
    • /
    • 2022
  • 본 연구은 군 장병들의 자기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선정하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박사학위논문의 요약본이다. 연구를 위해 전국 육군 8개 부대 장병 898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의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는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독립변인으로 그릿과 주관적 안녕감을, 종속변인으로 자기결정성, 매개변인을 회복탄력성으로 하는 3단계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군 장병들의 일반적인 특징에서 성별과 회복탄력성 교육참여 여부는 각 변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연령은 27세 이상, 계급은 부사관이 모든 변인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릿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은 자기결정성에 모든 하위요인에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릿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들은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과도 전반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은 자기결정성의 하위요인 전반에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으나 일부요인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군 장병들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꾸준한 노력을 기울일만한 동기부여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군 장병들의 성공적인 자기결정력 성장을 위해서는 자율성 증진과 원활한 대인관계 환경 제공을 통한 그릿과 주관적 안녕감의 요인들의 충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병들의 회복탄력성 능력 향상을 위한 그릿과 주관적 안녕감 증진은 장병들의 자기결정성 증진에 기여할 주요 수단임을 알 수 있었고, 장병들의 주관적, 긍정적 심리상태와 자신 삶의 만족을 위한 주관적인 능력 증진을 위해서는 그릿 및 주관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이 주요한 에너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that infant temperament has on the infant's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competence (유아기질이 유아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Jang, Kyung-Ja;Kim, Chong-T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705-715
    • /
    • 2013
  • This study has an objective of suggesting the ways to improve infant's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competence, by examining what effect infant temperament has on infant's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competence. The notable study results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 regard with adaptability and activity of infant temperament, cognitive ability of the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acceptance, the average score of day care centers was higher, while it was shown that, in regard with response of infant temperament, the sense of self-respect's mother acceptance, peer relationship, sociability of peer competence, the average score of kindergartens was higher, and the boy infants' physiological regularity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at of girl infants.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difference of infant temperament,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competence according to infant's age, we found that, in case of 'response' of infant temperament, age 5 group was classified into 'group a', and age 3 and 4 group was classified into 'group b', and two groups showed the difference, and in case of 'physiological regularity', age 3 group had the biggest regularity while age 5 group had the relatively low regularity, thus two groups showed the difference. In regard with sense of self-respect and peer competence, it was shown that age 4 and 5 group had higher one than that of age 3 group.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elf Efficac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의 관계)

  • Park, Gyeong A;Oh, Myung Hwa
    • 재활복지
    • /
    • v.20 no.1
    • /
    • pp.189-2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elf efficac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5 to January 2016. The study subjects were 61, aged 65 years or older, to visit health tow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K-MoCA, self-efficacy scale, self-efficacy for exercise tools, Korea's elderly health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cognitive function and exercise self-efficacy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dependents form, duration of the program(p <.05), the general self-efficacy showed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economic status, duration of the program(p <.05), and the health behavior showed differences in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dependents form, activity program, duration of the program(p <.0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exercise self-efficacy, health behavior(p <.01). General self-efficacy was correlated with exercise self-efficacy, health behavior. And exercise self-efficacy was correlated with health behavior(p <.01). Exercise self-efficacy were the factor affecting the cognitive function(p <.01). Therefore, the activity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ractice and sustainabl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is believed to be made.

Influences of Social Capitals Affecting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Jeong, Weon-Cheol;Park, S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235-245
    • /
    • 2013
  •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capitals and self 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is study took a questionnaire survey to 162 elderly persons over 65 years ol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s upon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ere as follows. For the social capitals and self esteem, formal reliability, formal network and the norm, wome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self esteem. For the social capita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mal reliability, wome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norm had significantly negative (-)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meaning and necessity to construct the social capitals and its activ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Finally, it remarked the limit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direction.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Kim, Mi-Suk;Won, Yeong-Hui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59-37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색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저소득층이 밀집된 48개 지역에 거주하는 635명의 편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만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증,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이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적 배경 요인(모델 1), 사회적 지원 요인(모델 2), 자아통제 요인(모델 3)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인 자아통제 요인은 내외통제성,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증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력이 낮고 적극적 대처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증이 낮았다. 2) 자존감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 중 내외통제청과 적극적 대처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판명되어, 내적 통제감이 놓고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하는 편부모일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고연령이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갖고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3) 삶의 만족도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가 유의한 변인으로 분석되어,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는 낮으며 적극적 대처력이 높은 편부모가 삶의 민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강, 종교, 자녀와의 관계는 두 모델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자아통제 요인을 첨가하자 의미성이 없어졌다. 예상외로 부모, 형제, 친구, 공공기관, 종교기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거의 모든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미미한 편으로 변이가 없기 때문으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편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는 물론 자아통제를 제고하는 것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하는 주요 방안이라 팔 수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의 적극적 실행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