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축

Search Result 2,74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Fermented and Red Ginseng Extracts (백삼, 발효인삼, 홍삼 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

  • Kong, Byoung-Man;Park, Min-Ju;Min, Jin-Woo;Kim, Ho-Bin;Kim, Se-Hwa;Kim, Se-Young;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32 no.3
    • /
    • pp.238-243
    • /
    • 2008
  • Comparison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mong white (WG), fermented (FG) and red ginseng (RG) extracts. We observed maximum contents of extractable solids in FG, but viscosity was lower than other ginseng extracts. The contents of ash and crude protein of FG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ginseng extracts.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were similar, but component Na and cruid lipids were maximum in RG. we extended our study on comparison of the calories among WG, FG and RG. We noticed that comparison of the calories among WG, FG and RG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Study on the elimination of heavy metal pollutants in the soil by plant (식물을 이용한 토양내의 중금속 오염원 제거에 관한 연구)

  • 강경홍;김인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6.09a
    • /
    • pp.61-76
    • /
    • 1996
  • 본 연구는 하천유역의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식물을 활용하기 위해 1994년 7월부터 10월까지 전라북도에 위치한 전주천과 그 주변하천에서 7개 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층과 물의 Pb, Cu, Zn 및 Fe 등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그 주변에 자생하는 고마리, 마름 및 노랑어리연꽃의 중금속 농축량과 부위별 중금속 농축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재료식물내의 중금속 농축량과 서식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재료식물내의 중금속 함유량과 토양의 중금속 함량간의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실 조건하에서 재료식물의 중금속 흡수경향을 조사하기 위해 재료식물 중 고마리를 선정하여 Pb, Cu 및 Zn 등을 여러 농도로 처리한 용액에 고마리의 뿌리부분을 침수하여 재배한 후 그농축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7개 채집지에서 자생한 고마리의 중금속 농축량의 측정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7개 채집지에서 자생한 고마리의 부위별 중금속 농축량은 Pb와 Zn의 경우 줄기<잎<뿌리의 순서로 증가하였고 Cu와 Fe는 잎<줄기<뿌리의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중금별 농축량은 Pb$\leq$Zn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고마리의 배양 실험 결과, 서식지에서 조사된 결과인 잎과 줄기에서 Pb

  • PDF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Hwang, Ji-Hyeon;Lee, Su-Jeong;Kim, Song-Hui;An, Jeong-Jwa;Min, Sang-Gi;Gwak, H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7-311
    • /
    • 2005
  • 본 연구는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농축유의 수용성비타민은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고, 같은 동결농축유의 경우에 17% 고형분인 농축유가 27% 고형분인 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다. 지용성비타민도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 감소율이 적었으며, 수용성비타민 보다는 그 감소율이 크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진공농축유보다 동결농축유에서 많이 측정되었고 단쇄유리지방산은 진공농축유가 동결농축유보다 생성량이 많았으며 고형분이 많을수록 많이 측정되었다. 지방산화도는 단쇄유리지방산의 결과와 같이 동결농축유보다 진공농축유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관능검사는 cooked flavor, oxidized flavor, cheesy flavor, fat-taste, oxidized taste, off-taste에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미량성분의 손실이 적고 관능적으로 양호하게 평가되었기 때문에 영양학적, 관능적으로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by boiling (가열처리한 떫은감 농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능)

  • Hong, Jin-Sook;Chae, Kyung-Yeon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1 no.5
    • /
    • pp.709-716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oking conditions for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s. With increasing time of concentration, the moisture contents and L-, a- and b-values all decreased, whereas the brix level and viscosity increased. The crude protein, fiber and ash increased and the vitamin C decreased by concentrating. The pH was the lowest at 23 hrs of boiling concentration. With longer boiling concentration time, th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levels increased but the maltose level de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s were more than 92%. The total phenolics, flavanol tannin, leucoanthocyanin, and chlorogenic acid levels increased with longer boiling concentration tim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s,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best at the 23-hr boiling concentration. From the above results, the 23-hr boiling,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s could be useful for cooking in terms of obtaining the high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as functional compounds and overall acceptabilit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soy protein (농축 콩단백질 분리 및 추출에 관한 연구)

  • Cha, Seo Hui;Shin, Kyung-Ok;Han, Kyoung-Si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2 no.5
    • /
    • pp.459-4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oybeans grown in Korea to isolate concentrated proteins. Examin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pH and apparent density of Phaseolus radiatus L. protein and concentrated Vigna angularis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ncentrated soy proteins.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was high for concentrated Pisum sativum L. protein, whereas the oil absorption capacity was high for concentrated Glycine max (L.) Merr. protein. The emulsifying activity and emulsifying stability were higher and significantly higher, respectively, for enriched P. radiatus protein.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soy protein, its application as a food material in the meat product industry in Korea may be of potential value.

일본의 우라늄농축기술 개발현황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7 s.65
    • /
    • pp.90-92
    • /
    • 1988
  • 일본에서는 금년도에 들어와 우라늄농축기술 개발이 활기를 띠고 있다. 동력로$\cdot$핵연료개발사업단이 '84년부터 건설한 원심분리법에 의한 우라늄농축원형플랜트가 4월 25일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으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욱화성이 연구개발을 추진해온 화학교환법에 의한 우라늄농축이 세계최초로 5월 16일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3\%$ 농축에 성공하였다. 다음은 일본의 우라늄농축기술 개발현황이다.

  • PDF

Effects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Browning of Garlic Juice Concentrate during Storage (Sodium metabisulfite와 adipic acid가 마늘 농축액의 저장 중 갈변현상에 미치는 영향)

  • 배수경;김미라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8 no.1
    • /
    • pp.73-80
    • /
    • 2002
  • The effect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the color changes of garlic juice was evaluated. The garlic(Uisung variety) juice was extracted and 1% sodium metabisulfite and 1% adipic arid were added to the garlic juice before or after concentration. Garlic juice was concentrated by heating at 90$\^{C}$, by heating using a rotary vacuum evaporator at 45$\^{C}$, or by freeze-drying at -50$\^{C}$ until the volume was reduced to 70% of the original volume. The garlic juice concentrate was kept at 4$\^{C}$ and 25$\^{C}$ for 60 days and evaluated for the color chang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additives and browning. Browning of the garlic juice concentrate containing adipic acid and sodium metabisulfite was effectively inhibited compared with the control. Inhibition effect of sodium metabisulfite on the browning of the concentrate was stronger than that of adipic acid. The addition of sodium metabisulfite afrer concentration of garlic juice was the most effective on browning inhibition in the 9$\^{C}$-heated concentrate, but the addition of sodium metabisulfite before concentration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45$\^{C}$-heated concentrate and the -50$\^{C}$-freeze-dried concentrate. In the color change of the garlic juice concentrate during the storage, a and b values of the concentrate with sodium metabisulfit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which means that sodium metabisulfite inhibited the browning of the garlic juice concentrate.

향류식 역삼투 농축공정을 이용한 NaCl 용액의 농축연구

  • 조한욱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b
    • /
    • pp.3-10
    • /
    • 1997
  • 제염농축공정은 증류, 증발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나,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전기투석 (Electro dialysis)장치를 증발기 선단에 도입한 복합공정을 국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기투석장치는 전기적인 소모와 막의 재생, 교체처리비가 문제점이 되므로 역삼투 장치를 제염농축 공정 최선단에 도입한 복합공정을 이용할 경우 전기 투석 및 증발 복합공정에 비해 40%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역삼투 공정은 공급용액의 삼투압보다 큰 적용압력을 막표면에 가하여 물질분리를 수행하므로 농축공정에서 유발되는 배제액 농도의 상승은 삼투압의 증가를 일으켜 실적적용압력의 효과를 떨어뜨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농축효과를 감소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염농축 공정을 위하여 막모듈 투과부에 고농도 삼투압 감소액(osmotic sink solution)을 향류식(막투과흐름을 맞받아치며 흐르는 방식)으로 유입시키는 향류식 역삼투 (counter-current reverse osmosis, CCRO) 나권형 모듈을 고안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모듈을 기존 역삼투 공정과 향류식 염삼투 공정에 적용하여 염농축도의 성능을 상호 비교하고 염농축에 관계되는 공급농도, 공급유량, 투과유량, 배제유량, 향류 유입유량, 압력구배, 삼투압차 및 농축단수 등의 인자들을 이용하여 두 공정에 대한 염농축 분리조작의 제반조건과 제작된 모듈 내의 농축관련 특성을 실험 및 수치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 PDF

동결농축유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u-Jeong;Hwang, Ji-Hyeon;Park, Heung-Sik;Min, Sang-Gi;Gwak, H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3-306
    • /
    • 2005
  • 본 연구는 개발한 batch type 동결농축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동결농축유의 일반성분 분석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진공농축유와 비교하여 동결농축유의 우수성을 입증하기위하여 실시되었다. 동결농축유와 진공농축유는 농축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기영동 실험결과 진공농축유에 비하여 동결농축유의 band가 뚜렷하게 나타나 열처리한 진공농축유가 열변성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처리시에는 Maillard반응이 일어나거나 유효성 lysine함량이 감소되며, 유청내 용해성 칼슘이 인산이나 변성된 단백질과 결합하여 한외여과성칼슘(calcium ions in milk ultrafiltrates)함량이 감소되며, 비타민 손실, 유당의 이성체화, 휘발성 황화합물 생성에 의해 가열취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영동 실험결과 batch type 동결농축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동결농축유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e radix Paste (지황 및 숙지황 농축 페이스트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 Oh, Hye-Lim;You, Bo-Ram;Kim, Hyo-Jin;Lee, Ji-Yeon;Kim, Na-Yeon;Song, Jung-Eun;Kim, Mee-R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11
    • /
    • pp.1518-1524
    • /
    • 201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Rehmanniae radix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 paste (RRP) and Rehmanniae radix preparata extract (RRPP). RRP and RRPP were made from vacuum concentrates of hot water extracts. The sugar contents of RRP and RRPP were 65.3 and 72.0$^{\circ}Brix$, respectively, whereas the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2.4% and 44.9%. The pH level was lowest in the RRPP. The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RPP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RRP. Total phenol contents of RRP and RRPP were 2.15 mg/mL and 12.36 mg/mL, respectively. FRAP values of RRP and RRPP were 0.55 mg/mL and 2.02 mg/mL,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RRPP was the most appropriate in terms of both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