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의 변화

Search Result 1,18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Extension Systems in Hungary (헝가리의 농업 정보 및 농촌지도 시스템)

  • Neszmelyi, Gyorgy;Kim, Sung 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8 no.1
    • /
    • pp.59-72
    • /
    • 2001
  •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헝가리 농촌지도의 특징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헝가리의 농촌지도사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대규모 농장을 대상으로 한 농업기술전파에 주력하였다. 1990년대 이후 사유재산의 인정과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과 함께 시장에서의 경쟁력이나 지속성에 대한 요구는 농촌지도사업의 방향전환을 요구하게 되었다. 유럽연합의 농업정보시스템 표준화에 요구와 헝가리 내의 농산업구조의 변화는 농업정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낳게 되었다. 헝가리에서 농업정보시스템의 개발은 농업경제연구정보원(AKII,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for Agricultural Economics)과 중앙통계사무소(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에서 이루어졌다. 시스템 개발의 주요 분야는 농업통계, 농장회계자료네트웍, 시장정보시스템의 세 가지이며 이들의 복합적인 농업정보시스템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세 가지 주요 범주의 개발배경과 진행사항,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헝가리 농업 농촌개발부(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의 최근 정책의 특징은 전국적인 농촌지도상담 네트웍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헝가리 농촌지도사업체계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농업농촌개발부의 군사무소는 지역사회의 독농가나 선도농가와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이러한 독농가나 선도농가로 하여금 지역의 농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는 민간 자문가들이 농장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농민들에게 전문적인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민간 자문가들은 도 단위의 전문지도사들로부터 정보나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다. 세 번째는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농민들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이다. 이러한 교육들은 농민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교육과정이나 프리젠테이션, 전시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헝가리 농촌지도체계는 그 실행과정, 효율성, 조직적인 면에서 완성되지 못하였고 전환기에 처해 있다. 효율적인 농촌개발을 위해서는 농촌지도상담의 효과나 조직면에서 많은 연구와 정비가 필요한데 이는 헝가리의 국가적 이익의 증대와 유럽연합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농촌지도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면, (1) 수도인 부다페스트에 농촌지도사업을 전반적으로 책임지는 중앙부서를 설립하여 효과적인 농촌발전을 지원하여, (2) 7개의 도에 농학계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센터를 설립하여 도내의 농촌지도상담활동과 영농에서 농업관련 사안에 대해 문제해결 중심의 도움을 주도록 하며, 지역센터는 자율적, 독립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3) 50여개의 군에 일선지도기관을 설립하여 농업인들이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의 특수한 상황이나 사안에 대해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rginal Village : The Case of Goheung-gun in Jeollanamdo (우리나라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고흥군을 사례로 -)

  • Jeong, Won-Gi;Ahn, Yo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3
    • /
    • pp.515-528
    • /
    • 2016
  • Since 1960s the rural population of Korea has continually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rapid rural-to-urban migration and this caused an economic recession as well as the accelerated aging phenomenon in the rural communities. Such problems got worse in smaller rural villages and marginal villages began to appear among the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marginal villages. A case study on the county of Goheung, Jeollanamdo, is carried out using survey and stakeholder interviews. With the survey results a series of comparative analysis are done revealing the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between two different types of marginal villages. This study also tries to reveal the residents's perceptions on the marginal villages and the potential determinants of rural rehabilitation.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Drought Disaster of Rural Region (농촌지역의 가뭄재해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Young Kune;Park, Mi 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9-129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대규모화에 따라 가뭄재해가 농촌지역에 중대한 피해를 끼칠 수 있는 여지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하여 대하천의 정비가 강화되었지만 농촌지역 주변의 중소하천은 여전히 기후변화에 취약한 현실이다. 농촌지역의 가뭄재해에 대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농촌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 시행규칙" 및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그리고 "농어업재해대책법 시행규칙"에 있어서 가뭄관련 조항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자연재해대책법" 제2장(자연재해의 예방 및 대비)에서는 풍수해(제2절), 설해(제4절) 에 이어 가뭄에 대한 예방 및 대비를 규정(제5절 29조-33조)하고 있다. 제29조는 가뭄방재를 위하여 필요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필요한' 조사 및 연구는 시행령 혹은 시행규칙 등을 통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제30조는 가뭄재해 극복을 위해 제한 급수 및 제한 발전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조치를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손해 배상 규정의 삽입이 필요하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8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등) 2호에서 제3조1호 가목의 규정에 해당하는 재난(가뭄 포함)의 예방 복구 등에 관해서는 '자연재해대책법'이 정한 바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에 대해서는 소극적 규정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제4장(재난의 예방)에 있어서 재난은 제3조1호의 가목(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재해), 나목(사회적 재해), 다목(국가기반체계와 관련된 재해) 각각의 경우에 따른 예방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각 조항의 개정은 농촌지역 가뭄재해에 대한 정책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정안을 제시하지만, 법령 자체의 목적 및 타법과의 정합성 등 대한민국 법체제의 통일성 및 안정성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해당 조항의 개정으로 농촌 및 농업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가뭄대응 정책의 활용을 도모하고 가뭄재해로부터 안전한 영농환경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Transformations of Accessory Building by Extension of Existing Modern Farm Houses - Focused on Samchok Seashore Area of Kangwon Province - (농촌개량주택(農村改良住宅)의 증축(增築)에 따른 부속사(附屬舍) 공간(空間)의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 강원도 삼척해안지역을 중심으로 -)

  • Choi, Jangsoon;Choi, Chan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 no.3
    • /
    • pp.35-44
    • /
    • 1999
  • When modern farm houses were built, they were made up of only residential parts. So that many new accessory building-private residential room, toilet, warehouse, storeroom, barn, cattle pen and etc.-were made without any order around modern farm houses. This study is aimed at grasping how the process and contents of extension of the accessory building of modern farm houses have been changed, understands and explicates the reason why accessory buildings of modern farm houses were changed and bring forward better directions about accessory building of modern farm houses at Samchok seashore area of Kangwon Province. The way for it which be made good that the scenery of a rural district was ruined by accessory buildings distributes and develops various standard models about accessory buildings that they are becoming to modern farm houses.

  • PDF

Changes of the Periodic Market System in the Kum River Basin, Korea (금강유역의 정기시 체계변화)

  • 성준용;한주성;주경식;김학훈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225-252
    • /
    • 1998
  • 한국의 정기는 농촌의 상거래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한 정기시의 지역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충북지역의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정기시의 성쇠와 정기시의 이동상인과 소비자의 공간적인 패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기시에 출시하는 이동상인과 정기시에서 구매하는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정기시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 교통기관의 발달, 농촌 인구의 감소, 농산물 출하체계의 개선, 근대적인 상업시설의 등장 등 때문에 농촌지역의 상위계층 중심지에 입지한 정기시는 규모가 커지고 있으나, 일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계층 중심지의 정기시는 그 규모가 줄어들어 쇠퇴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Plan Change in Japan Rural House by the Modernization - Focused on the Miyashiro in Saitama pref., Japan - (일본 농촌주택의 현대화에 의한 평면변화에 관한 연구 - 일본(日本) 기옥현 궁대정(宮代町)을 중심으로 -)

  • Kim, Kang Sub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8 no.3
    • /
    • pp.1-8
    • /
    • 2006
  • A house is basic unit of human being living space and it reflects an occupation, family relation, a life style and sense of value of resident. To analyze of modernization process the rural house in Japan diversely and systemat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floor plan in house through field studies and residential interviewing about the rural house of Miyashiro, Saitama pref. in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raditional TANOJI type changed into NAKAROUKA and TSUZUKIMA type on modernizing process. Second, Toma is an important space of farmhouse. It is succeeded with the element, which is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remnant of traditional element from modern rural house. Third, the cause of changing floor plan is a narrow and small space by growth of children. That is the most factor of changing house deterioration of equipments and necessity of children's space.

  • PDF

The Residential Space Transformation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Current Housing Life of Rural Traditional Houses in Taebaek Mountainous Regions (태백산간지역 농촌재래주택의 현대적 주생활 도입에 따른 주거공간의 변화)

  • Choi, Jang S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5 no.3
    • /
    • pp.33-40
    • /
    • 2013
  • The rural traditional houses in Taebaek mountainous regions play important roles in figuring out values and social aspects of past time including housing life. But due to the introduc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in the current housing life style after industrialized society, many transformations have been taken place even to exist rural traditional folk houses such as installation of new equipment and furniture, the arrangement and function change of rooms, expansion of residential area and etc. So this study aims to secure basic data to prepare installation standard of the convenient facilities as examining convenience facility installation status of the cultural asset designated as rural traditional house, an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usage of major room of rural traditional houses in order to prepare the proper balances between its original form preservation and residents' convenience living.

Changing Rurality of the Countryside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농촌의 기능 변화와 지역구조)

  • Joh, Young-Ku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1 no.1
    • /
    • pp.139-159
    • /
    • 2004
  • Since 1990s, the countrysid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been exposed to the unprecedented forces like developing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boom of exurban housing, increasing concern about food quality. While these new forces are restructuring the social and spatial pattern of countryside, a legal regulation can be assumed as exerting an overarching moulding power. This paper shows how the legal regulation works in the restructuring rurality.

  • PDF

농축산 B2B 현황과 추진방향(농축산 업종)

  • 천재성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1.08a
    • /
    • pp.111-119
    • /
    • 2001
  • 1. 농촌의 낙후성 극복 ㆍ 농촌지역의 시공간적 특성에 따른 문화/교육 등의 낙후성은 지식/정보를 통해 극복 ㆍ정부의 농촌지역 정보 인프라 구축을 유도해내기 위한 농업정보화 추진 필요 2 유통개혁에 대한 국민적 기대 증대 ㆍ 농얼 유통산업을 위한 공동도매시장, 물류센터 등의 시설에 대한 집중 투자 및 유통부문 예산확대 ㆍ 농안법 개정 ㆍ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제정 3. 유통구조의 변화 ㆍ 외국계 대형할인점 국내진출 가속화 및 중소유통업의 조직화 → Buying Power 강화 ㆍ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상거래. TV홈쇼핑 등 사이버 마켓의 급부상(중략)

  • PDF

Promotion of Tourism Cooperation between Korea-Russia (한-러시아 관광협력 방안 연구)

  • Choi, seu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37-438
    • /
    • 2017
  • 최근 농촌관광의 개념이 확대되고 농촌관광의 시장규모가 점점 커지고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러시아 극동지역 정부에서는 광활한 농업적 생태환경에 근거하여 인접국가와 관광교류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농촌관광에 관한한 30년의 추진경험을 갖고 있는 한국은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한-러 양측의 상호 보완성에 입각한 협력과 수요변화에 대응한 농촌상품을 개발을 통하여 양국간 관광협력시 많은 가능성을 보여줄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