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개발

검색결과 2,392건 처리시간 0.029초

EU의 농촌개발사업 평가체계와 시사점 -농촌마을사업 선정·평가를 중심으로- (EU Rural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and Implication for Rural Development in Korea)

  • 이민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271-305
    • /
    • 2014
  • 경제 침체로 인한 예산부족으로 공공정책이 증거(evidence)에 기반해야 한다는 요구는 점점 증대되고 있다. 선진국 특히 EU의 경우 농촌개발사업의 석명성(accounta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체계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왔다. 그러나 국내 농촌개발사업 평가체계는 대부분 전문가의 의견을 중심으로 한 평가에 의존하는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개발 정책들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예산결정기구(의회, 정부부처 등) 담당자들에게 해당 정책사업의 수행실적이나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량적 지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사업이 자주 축소 혹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농촌개발분야 공공예산 집행에 대한 석명성과 사업수행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사업계획의 수립과 함께, 사실과 증거에 근거한 사업수행 및 수정을 위한 신뢰성있는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구축이 필요하다. 첫째, 경제개발과 함께 사회개발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평가지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의 사후 목적이 상벌보다는 교육적 목적이 우선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마을사업이 '선택과 집중 모델'에서 '확산 모델'로 정책방향을 변경해야 한다. 셋째, 사업선정과 평가에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민주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넸째, EU의 공통모니터링 및 평가틀(CMEF)와 같은 농촌개발 모니터링 및 평가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만족도 영향요인 - 도시와 농촌 비교 - (Rural-Urban Differentials in Community Satisfaction in Korea)

  • 최윤지;고순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7권4호
    • /
    • pp.199-210
    • /
    • 2020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community satisfaction between rural and urban resident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e community satisfaction. The secondary data designed and survey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18 were used in this study. The total respondents were 3,929; rural 2,780 and urban 1,149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mmunity satisfaction showed satisfactory in both region, however, level of urban residents were more high than rural. Secondly, perceive safety factor(4 variables) was the most influential in both area. The variances explained were 5.2% in rural and 10.5% in urban.

농촌 지역개발사업의 성공 요인 -농촌신활력플러스 사업 추진체계를 중심으로- (The Successful Factors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New Rural Vitalization Plus Project-)

  • 장은미;이민수;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8권3호
    • /
    • pp.137-151
    • /
    • 2021
  •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success factors focus on th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New Rural Vitalization Plus Project (NRVPP). It offers recommendations to bring the success of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support the strategies in political and practical.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practice of implementatio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with 9 developers and experts joining the NRVPP. Findings show that the promotion team as the NGO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used th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network to progress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although they suffered the political,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hindering the normal function of each promotion entity in municipaliti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수립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Regional Planning for Village Renewal in Korea)

  • 임상봉
    • 농촌계획
    • /
    • 제19권3호
    • /
    • pp.157-16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의 계획수립 정책과 마을주민의 요구를 분석하여 농촌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마을재개발 주요 내용으로는 생활편의성 향상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역사문화와 같은 어메니티 자원과 경관자원 등의 보전과 활용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하였다. 마을주민에 대한 설문조사와 마을재개발 계획수립 과정 및 결과에 분석을 토대로, 농촌마을재개발 계획의 특징을 파악한 후,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마을재개발시 국토이용계획과 농촌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토지이용 및 농촌개발 관련법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에 주거 및 취락지구를 도입하여 체계적인 마을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계획수립 체계를 토지이용계획과 마을재개발 추진에 적합한 형태로 확립, 운영토록 한다. 넷째, 마을개발 부지 확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농지교환분합 제도를 활성화해 나가도록 한다. 다섯째, 지역계획과 마을재개발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추진될 수 있도록 우선 개발 마을을 선정하고, 마을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며, 농촌취락지구와 같은 농촌토지 용도지구를 도입, 운영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마을재개발 시범사업의 추진 및 평가를 토대로 체계적인 본 사업을 확대, 시행해 나가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일곱째, 농촌지역의 낙후도를 고려한 사업지원 및 추진에 차등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역량강화사업이 베트남 북부 소수부족민 마을의 생계자산에 끼친 긍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apacity building toward the livelihood assets of ethnic minority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 김선호
    • 농촌계획
    • /
    • 제23권4호
    • /
    • pp.1-13
    • /
    • 2017
  • 베트남 북부 산악지형에 거주하는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개선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사업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인적자원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베트남 경제사회개발정책(2011~2020)의 하위전략인 신농촌 개발정책(New Rural Development)에 의한 사업들이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대두되었다. 한편, 베트남 라오까이성 행복프로그램은 한국 코이카 재원으로 새마을운동 경험과 정신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심각한 빈곤상태에 있는 성내 8개 소수부족민 마을에 마을특성과 주민 의견이 반영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실행의 주체인 마을주민들과 현장 공무원에게 다양한 훈련 사업들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생계개선에 대한 이론 고찰과 함께 한국 및 베트남의 농촌개발 경험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다양한 역량강화 사업들이 8개 소수부족 주민들의 의식변화와 생계자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다양한 역량강화 훈련들이 주민의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자산에 대하여 상당한 만족도를 가져왔는바, 신농촌 개발정책은 직접자재 위주의 지원을 줄이는 대신 주민들의 자신감 고취를 위한 주민의식 교육과 주민들의 생계활동 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 사업을 확대해야 함을 보여준다.

농촌마을 개발제도의 변천과 농촌마을에 대한 영향 (Changes in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System and its Effects on the facilities & houses of Village settlements in Rural area)

  • 조준범;최찬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09-117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Rural Settlement Development(RSD) driven by government in historical view, and its effects on the facilities and houses of rural village in the country. Through the study, we have come to the results that the major concerns of the RSD projects since 1950s has been transferred to as following. First, the reformation of inter-facility; dressing room, kitchen, bath-house, etc of rural houses, from that of outer facility; roof, fence and etc. Secondly, the substantial objects of the projects of village settlement improvement have been changed from partial reformation of individual houses, public facilities, etc early, to comprehensive reformation by master plan for village settlement recently. Lastly, those have been established that the process of planning village settlement available to carry out landuse division and the various program for village improvement, based on its inherent circumstances.

  • PDF

우간다 농촌지도사업의 현재와 미래 (Present and Future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Uganda)

  • 오우모 플로렌스 이마이카릿;조경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1호
    • /
    • pp.245-272
    • /
    • 2014
  • 이 연구는 우간다 농촌지도사업의 발전과정을 조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간다에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많은 접근방법이 사용되었지만, 농업생산성이나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그 동안 너무 많은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개혁사업이 이루어졌지만, 부분적으로 상향식 접근방법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접근방법은 하향식 접근방법이었다. 많은 사례에서 농촌지도사업에 대한 이러한 개혁은 농업생산이나 수익성에 영향을 줄 정도로 발전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향후 성공적인 농촌지도사업과 농촌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전문가와 자원의 유용성 증가 뿐만 아니라, 농촌지도사업과 농촌개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행할 때의 농촌지도사업의 제도적인 역할정립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간다에서 공공 농촌지도사업은 수요자에 필요한 적절한 지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수요자중심의 농촌지도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농산업 개발;농공단지와 관광농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gro-Industry in the Republic of Korea;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Rural Industrial Parks and Touristic Farms)

  • 임상봉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4권1호
    • /
    • pp.41-56
    • /
    • 1997
  • 1970년대 이후 도시 중심의 급속한 공업화 정책을 추진한 결과, 농촌의 저발전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 농공단지 개발을 통한 산업유치, 농산물 가공산업 개발 및 유통체계 개선, 관광농업 개발 등이 논의되어 왔다. 오늘날에 와서는 WTO 체제 하에서 농산물 무역자유화가 보편적인 규범으로 자리잡아 가면서 이러한 변화를 더욱 재촉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농공단지와 관광농원을 중심으로 우리 나라 농산업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농공단지와 관광농원 육성사업의 특성과 성패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이용된 자료는 주로 2차자료이다. 농공단지조성사업의 성과에 대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개량적인 지표는 그것이 농촌지역경제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공헌하였음을 보여준다. 농촌노동력의 66.1%를 고용하고, 이들에게 1인당 월 평균 70만원 이상의 소득을 제공해 주었으며, 서비스업 등 관련산업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공단지조성사업은 많은 문제점도 안고 있다. 농촌지역에 숙련 노동자가 부족하며 직업훈련 기회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입주 기업이 농산물이나 골재 등 현지 자원을 활용하는 경우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농촌 주민들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하며, 경영과 시장정보 분석 등을 기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관광농업은 새롭게 떠오르는 산업이다. 아직 기반이 취약하지만 국가 경제성장과 도시화 진행 추이에 비추어 볼 때 관광농원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해야 하고, 농원운영자의 경영능력이 향상되어야 하며, 수요의 계절성을 극복해야 하는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공동운영 형태의 농원에 있어서는 참여자들을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토지소유권 분쟁을 해소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도 아직 이 산업의 기반이 취약하다는 전제 위에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재정과 기술지원이 요청되고 있다. 다양한 운영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역내 네트웍 형태의 연계개발 방식의 채택이 필요하며, 관광농원이나 농어촌휴양지 개발지역에서는 산업개발 및 주거지 개발계획이 관광여건 조성과 총체적으로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