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작물 피해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irect damage cost estimation to use statistical data (통계자료를 이용한 직접피해액 산정)

  • Han, Myoung-Sun;Kim, C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0-230
    • /
    • 2011
  • 2000년대 들어 가장 이슈화된 용어는 수십년 이상 사용해오고 있는 기상이변, 기후변화일 것이다. 이는 지구 온난화, 온실효과 등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증가, 오존층 파괴, 해수온도 상승 등이 주요한 원인일 것이다. 수문학적 측면에서는 짧은 강우지속기간 동안 큰 강우강도를 갖는 집중 호우 및 국지성 호우와 해수온도 상승으로 강력한 규모의 태풍발생, 태풍지속기간을 연장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극한 강우 발생사상으로 인해 홍수발생 위험요소가 증대하고, 홍수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따라서 그동안 수립해오던 치수대책 방안에 기상변화, 홍수 피해 규모 증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치수대책 수립의 적절한 판단기준을 수문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수립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나 설계자가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 적절한 치수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기존 인명손실 관련 연구결과 외에 다양한 국내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직접피해액 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치수대책 평가시스템 구축 연구의 한 부분으로 5개년으로 계획되어 있다. 연구 목표 : 통계자료를 이용한 직접피해액 산정 1. 지역별 다양한 자산 산정 - 건축물 자료 조사 - 내구재 및 농작물 등의 자료 조사 2. 자산별 피해율 산정 조사 - 건축물 자산의 피해율 조사 - 내구재 및 농작물 등의 침수심에 따른 피해율 조사

  • PDF

Estimation of Drought Damage Price on Monoculture (단일작물에 대한 가뭄 피해추정액 산정)

  • Gwon, Yong Hyeon;Jung, Seung Kwon;Lee, S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9-239
    • /
    • 2016
  • 우리나라는 보통 2~3년에 한 번 정도로 크고 작은 가뭄이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그 피해가 점점 늘어나 2006년 이후에는 거의 매년 가뭄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5년에는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이었다. 가뭄의 원인은 전 세계적인 엘리뇨, 라니냐 등 이상기후에 따른 변화로 인해 강수량 부족과 온도상승으로 인한 물부족 등이 있다. 가뭄의 평가는 강수량, 하천유량, 지하수 등 수자원 자료를 활용하여 가뭄지수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뭄피해 추정방법론에 의해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와 수력 발전 손실에 따른 피해규모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그러나, 가뭄 피해산정은 피해면적, 제한급수일수, 가뭄의 시작과 끝 등의 규모나 범위를 정하기 어렵고 요구되는 자료가 방대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지역의 농업부문에 대한 가뭄피해산정을 분석하기 위해 표준강수지수(Standardiz d Precipitation Index, SPI)를 파악하였다. 또한, 단일작물을 선정하여 통계연보를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총 10년간 년도 별 단일작물에 대한 생산량, 평년 생산량, 경작 면적 등을 분석하고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 실제 농작물 피해면적을 분석하여 경작면적에 대한 가뭄 전 후의 생산량을 분석하여 년도별 가뭄 피해추정액을 산정하였다.

  • PDF

Crop Loss Survey by Wildlife in National Parks of Korea (한국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과 농작물 피해)

  • Yoon, Seong-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5 no.3
    • /
    • pp.223-227
    • /
    • 2007
  • Crop loss and damage by wildlife are becoming more serious to residents inside and around National Parks of Korea annually. It could be caused by small size of Parks, which is couples of ten $km^2$ only, and more than a third of total parks' areas are belonging to privates. Wild boar (Sus scrofa) is one of the most harmful pests in nationwide. Treading down crop field using as bedding or resting site are major damaged types and foraging behavior is following. Besides of boars,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ra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and badger (Meles meles) are another serious pests. Mainly, farm products planted in upland, such as corns, sweet potatoes, cabbages, etc. are harmed easily, a rate reaches up to 76.9% of whole losses. 92.4% (n=187) of interviewees, who are mostly seniors, cultivate small crop fields smaller than 1 ha. Crop damage would be started from June to late November, time differences are happened due to latitude, climate condition, and crop differences of National Parks. Dusting animal repellents are easier and widespread methods to prevent animal foraging to crop fields and installing noisy makers using gun powder and setting up scarecrows are traditional methods for repelling animals. Nevertheless, effects of these self-defence are turned out to be useful soon after labors done only. Since legal compensation for crop damages by wildlife are not prepared systematically so far, crop loss are rarely reported to local government by most farmers. Systematic and objective methods for quantifying of crop loss by wildlife and population managements system should be offered urgently to well-managed animals habitat and residents' living inside National Parks.

방제포커스 - 농작물 바이러스병의 피해 및 방제 대책

  • Kim, Jeong-Su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9
    • /
    • pp.26-29
    • /
    • 2010
  • 작물에 발생하는 각각 바이러스의 증상과 예방대책을 숙지하고, 건전 종자와 건전 묘 사용, 청결 재배, 감염 식물체 조기제거, 신속한 진단요청과 대응 등을 성실히 이행하면 바이러스병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정확한 예찰로 중기방제에 총력을 - 본논 중기 해충 집중방제 대책

  • 이경용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5 no.8
    • /
    • pp.39-48
    • /
    • 1984
  • 본논 중기의 병충해 방제는 직접 수확과 연관이 되며 또한 본논 중기의 병충해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후기에 많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어 식량증산 목표에 큰 차질을 가져 오는 근원이 된다. 그중에서도 저온성 해충인 벼줄기 굴파리의 2화기 피해는 직접 수확감수와 관계가 되며 매년 발생면적과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 PDF

Diet of The Wild boar (Sus scrofa) in Agricultural Land of Geochang, Gyeongnam Province, Korea (경남 거창 농경지 멧돼지(Sus scrofa)의 식이물 분석)

  • Lee, Seong-Min;Lee, Woo-Sh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3 no.2
    • /
    • pp.307-312
    • /
    • 2014
  • Wild boar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in Korea where damage to agricultural crops is considered as a social issue. The ecological studies on wild boar are essential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in the future. During May and December 2012, We collected 79 wild boar stomach samples from culling program implementation to reduce agricultural damage in Geochang County and analyzed stomach contents to figure out wild boar diet habit and which crop was preferred. There was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Plant foods represented up to 93.5% of the diet and were consumed more frequently than animal foods. Invertebrates occurred with high frequency but were underestimated in dry weight because they are rapidly digested. Agricultural crops consumed comprised mainly chestnuts(33%), rice(33%), and apples(24%). Agricultural crops are also a potentially important food resources for wild boa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rthworms was 50% of diet. Earthworm consumption generally increased in summer, and then decreased in winter. Our results show that wild boar can be considered an omnivore whose diet consists of plant and animal foods. To reduce wild boar agricultural damages, We have to focus on the prevention effort to rice paddy adjacent to chestnut forest and to apple orchard.

Investigation of Plant Injury under Ambient Air Pollutants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농작물 피해원인 조사)

  • Lee, Jong-Sik;Shin, Joung-Du;Kim, Jin-Ho;Jung, Goo-Bok;Kim, Won-Il;Kim, Gun-Yeob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0 no.1
    • /
    • pp.31-35
    • /
    • 2007
  •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e of plant injury, the symptom of plant injury, and contents of element concerned in the plant were analysed. Also,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 of plant injury at a agriculture and industry complex in Gyeongsang province in 2004. The distribution of isomeric curve was made with meteorological data, toxic gas concentration exhausted from pollution source. The general symptom of plant injury by ammonia gas was dry and dead of leaves with white color. At low concentration of ammonia gas, plant leaf showed spots of reddish brown. The characteristic of plant injury symptom by hydrogen fluoride gas was that the symptom was appeared at the edge of leaf. The isomeric curve of sulfur dioxide at the region, where the plant was damaged, showed that the area was affected by exhausted gas from the pollution source. Especially, this area was affected more deeply at summer than any other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