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p Loss Survey by Wildlife in National Parks of Korea

한국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과 농작물 피해

  • Yoon, Seong-Il (Department of Life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윤성일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Crop loss and damage by wildlife are becoming more serious to residents inside and around National Parks of Korea annually. It could be caused by small size of Parks, which is couples of ten $km^2$ only, and more than a third of total parks' areas are belonging to privates. Wild boar (Sus scrofa) is one of the most harmful pests in nationwide. Treading down crop field using as bedding or resting site are major damaged types and foraging behavior is following. Besides of boars,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ra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and badger (Meles meles) are another serious pests. Mainly, farm products planted in upland, such as corns, sweet potatoes, cabbages, etc. are harmed easily, a rate reaches up to 76.9% of whole losses. 92.4% (n=187) of interviewees, who are mostly seniors, cultivate small crop fields smaller than 1 ha. Crop damage would be started from June to late November, time differences are happened due to latitude, climate condition, and crop differences of National Parks. Dusting animal repellents are easier and widespread methods to prevent animal foraging to crop fields and installing noisy makers using gun powder and setting up scarecrows are traditional methods for repelling animals. Nevertheless, effects of these self-defence are turned out to be useful soon after labors done only. Since legal compensation for crop damages by wildlife are not prepared systematically so far, crop loss are rarely reported to local government by most farmers. Systematic and objective methods for quantifying of crop loss by wildlife and population managements system should be offered urgently to well-managed animals habitat and residents' living inside National Parks.

산악형 국립공원지역 내에서 일부 야생동물종이 빠르게 증식하고 있다. 규모가 작고 공원 내 1/3이상의 면적이 사유지인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특성상 서식동물수의 증가와 함께 이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함께 급증하고 있다. 농작물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위해조수종은 멧돼지 (Sus scrofa)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작물 채식, 농경지 밟음 등이 대표적인 피해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외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오소리 (Meles meles)등에 의한 피해도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피해작물은 옥수수, 고구마, 배추 등의 밭작물로서 전체 피해작물의 76.9%에 이르고 있다.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는 매년 6월경부터 시작되어 11월까지 계속되었으며 이는 산림 내에서 구할 수 있는 먹이원의 수급현황 및 기후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피해방제에 대한 자구책으로는 경작지 곳곳에 기피제를 설치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n=54) 발성체 및 허수아비 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실제 효과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가구의 92.4% (n=187)가 경작면적 1ha이하의 텃밭 수준의 소규모 영농을 하고 있으며 일부 농민들을 제외하고는 피해발생에 대한 민원은 거의 없었다. 이는 야생동물 피해에 대한 법적 제도적 보상체계가 미비되어 있음에 기인하며 객관적인 피해현황 분석기법의 확립과 이를 통한 보상대책과 관리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9.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평가 기준 연구. pp. 49-80
  2. 국립공원관리공단. 2002. 국립공원 야생동물의 적정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www.npa.or.kr
  4. 김선희. 1998. 국립공원 구역조정 및 용도지구개편 방안. 21세기 한국 국립공원 정책포럼. pp. 127-151
  5. 김성일. 2000.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역할과 위상. 아름다운국립공원. 제23호
  6. 김용식. 1998. 우리나라 국립공원 내 생물자원보존대책. 21세기 한국 국립공원 정책포럼. pp. 23-38
  7. 김종원, 남화경. 1995.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태학적 구조 분석과 보전전략. 우리나라 국립공원 및 자연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국가전략 개발. pp. 261-299
  8. 배중남. 2004. 한.일 국립공원 관리체계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46-455
  9. 변우혁. 1986. 현행 순환수렵장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4:47-55
  10. 신용석. 2000. 국립공원환경보전업무의 현재와 미래. 아름다운국립공원. 제24호
  11. 윤영일. 1998. 국립공원제도, 그 이념과 현실-문화적 접근의 필요성. 21세기 한국 국립공원 정책 포럼. pp. 13-22
  12. 이경재. 2001. 자연보호시설물로서의 나무데크시설. 아름다운국립공원. 제25호
  13. 임업협동조합중앙회. 1997. 호두나무 종실 청설모 피해 예방법 개발, 산림 9월호. pp. 7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