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작물 피해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Optimal Groundwater Development Estimation to Prevent Saltwater Intrusion in Western Jeju Island (제주 서부 지역 해수침투 방지를 위한 적정 양수량 산정기법)

  • Kim, Min-Gyu;Chang, Sun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4
    • /
    • pp.527-535
    • /
    • 2018
  • Agricultural activities of western Jeju island has suffered from saltwater intrusion seasonall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e the occurrence of saltwater intrusion in the coastal aquifer and to consider a management plan using MODFLOW-family code SEAWAT model. Model results show that the saltwater-freshwater interface intrudes inland only a few meters and that upconing phenomenon is rather the cause of the severe disaster of the agricultural water contamination. This study selected Gosan area as a representative site to estimate optimal groundwater development regulation against upconing by seasonal pumping for agriculture. The suggested optimal groundwater development estimation method considers the groundwater levels of representative monitoring wells for regulatory alarms.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0 (2000년 농작물 병해 발생 개황)

  • Kim, Choong-Hoe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5 no.1
    • /
    • pp.1-11
    • /
    • 2001
  • Climate in the year of 2000 was characterized as a long severe drought in tile spring, unusually high and low temperature in summer, two times of typoons, and floods by heavy rains in fall. Rice leaf and panicle blast and bacterial grain rot occurred severely comparing with 1999 and Bipolaris leaf spot spread over tile country.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red-pepper became epidemic especially in the late season causing severe yield losses. Tomato fusaruim wilt, CGMMV, powdery mildew, and sudden wilt syndrom of cucurbits and strawberry powdery mildew were also severe in 2000. In garlic, sclerotium rot occurred severely mainly due to the frequent rainfalls in planting time and much snowfalls in 1999's winter. Spring potato had severe infection of viruses due to a long spring drought, and fall potato had high incidence of bacterial soft rot and bacterial wilt due to fall floods by heavy rains. In sweet potato fusarium wilt was the most severe as in other year. Disease incidence of apple and pear trees was rotatively mild compared with previous years. In wheat and barley, Gibberella petch rarely occurred because of spring drought.

  • PDF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Selective Intake Gate in Dam (댐 선택취수설비 적용 변천사례)

  • Kim, Jin-Tae;Lee, Kab-Soo;Lee, Je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34-349
    • /
    • 2008
  • 댐에는 하류 홍수피해 경감을 위한 방류설비와 댐에 저장된 물을 생활 농업 공업용수로 활용하기 위한 취수설비가 구축되어 있다. 취수설비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개선사례와 형식변경을 통해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1970년대 소양강댐이 건설된 후 1990년대 중반까지는 수력발전을 목적으로 수차발전기 분해점검을 위한 수리용 게이트가 채택되어 저수지 중층부에 설치한 사례가 많다. 경제부흥 초창기 우리나라가 해외차관으로 건설한 소양강댐, 안동댐, 대청댐 등의 취수설비가 이에 해당한다. 이후 1990년대 말까지 하류 농작물 냉해방지를 위해 상온수의 물을 취수하는 표면취수설비가 임하댐, 주암댐, 용담댐 등에서 채택 운영되고 있다. 그러다가 횡성댐, 장흥댐 등이 건설되는 2000년대 초부터 기존의 냉해방지와 조류 등 환경변화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저수지 전 구간을 수심별로 구분 선택하여 취수하는 다공식 취수설비와 표면취수설비가 동시에 설치되는 복식형 취수설비가 채택 운영됨에 따라 단순 수리용 게이트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취수설비로 발전을 하였다.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유입된 고탁도수가 장기간 댐 내에 체류하여 하류용수공급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부영양화로 인한 적조현상 등이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화됨에 따라 임하댐과 용담댐에서는 표면취수설비를 중간구간 취수가 가능한 분리형 선택취수설비로 개선한 결과(임하댐(2006), 용담댐(2008)) 댐 본래의 순기능인 청정수 담수가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하류생태계 보존에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전 구간 선택취수가 가능하도록 화북댐에는 정류판형 선택취수설비, 부항댐 및 성덕댐에는 실린더 게이트가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 PDF

Construction of Transformation Method for Streptomyces scabiei ATCC 49173 Producing Phytotoxin (식물독소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scabiei ATCC 49173의 형질전환법 구축)

  • Jang, Bo-Youn;Ha, Heon-Su;Choi, Sun-Uk
    • KSBB Journal
    • /
    • v.25 no.2
    • /
    • pp.167-172
    • /
    • 2010
  • Streptomyces scabiei producing phytotoxin called thaxtomin, which cause scab disease on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such as potato. For molecular genetics study of S. scabiei an effective transformation method was established based on conjugal transfer from Escherichia coli ET12567 (pUZ8002) using a phiC31-derived integration vector, pSET152, containing oriT and attP fragments. The high frequency was obtained on MS medium containing 50 mM $MgCl_2$. In addition, the sequence and location of the chromosomal integration attB site of S. scabiei was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the strains producing thaxtomin by the southern blot analysis of exconjugants and the sequencing of plasmid containing DNA flanking the insertion sites from exconjugant chromosome. Similar to the case of Streptomyces species, a single phiC31 attB site of S. scabiei is present within an ORF encoding a pirin-homolog.

A study on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Wastewater by Treatment with Discarded Automotive Tires (폐 타이어에 의한 고장폐수 내의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 Choung, Youn Kyoo;Min, Dal Ki;Oh, Hyun J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6 no.4
    • /
    • pp.29-42
    • /
    • 1986
  •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adsorption capacity and the adsorption system utilizing Discarded Automotive Tires(DAT) and Powdered or Granular Activated Carbon(PAC or GAC)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Ag(I), Cd(II), Cu(II), Zn(II). Batch shaking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dsorption capacity of DA T and PAC in removing the heavy metals from aqueous wastes; and laboratory-scale colum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present design factors affecting the optimum design of adsorption column with DAT and GAC, through the concept of Bed Deph/Service Time(BDST). As results, DAT has been proven to be a good adsorbent will its adsorption capacity not falling behind PAC or GAC. Factors affecting heavy metals removals were amount of adsorbents, initial concentrations, pH and so on. BDST equations were compared with values presented by the breakthrough data from adsorption system.

  • PDF

Study on Rainwater Using in Smart Water Grid (스마트워터그리드내 빗물이용방안 연구)

  • Kim, Man Sik;Lee, Ho Seon;Jung, Seung Kwon;Lee, S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1-261
    • /
    • 2015
  • 지금까지 빗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모두 치수에 중심을 두어왔다. 즉, 빗물은 내리자마자 곧바로 하수도를 통해 방류수역으로 신속하게 배제해야한다 것에만 관심을 두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빗물을 버리고 배제하기보다 필요한 곳에서 집수하여 활용하거나 적절히 침투 또는 저류하여 물을 효과적으로 제어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 및 공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대체방안으로서의 빗물이용관리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도시화 및 인구의 도서집중, 경제활동의 고도화 등 물 사용량이 증대되는 생활방식에 따라 물 공급 중단에 따른 피해 잠재성이 증가되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대체수자원으로서의 빗물을 이용한 수자원 확보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스마트 워터그리드 관점에서의 빗물이용방안을 제시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 대체수자원의 확보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원을 통한 수자원 확보방안을 제시하고, 이 중 빗물을 이용한 수자원 확보방안에 대하여 스마트워터그리드 관점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스마트워터그리드 내에서의 빗물이용을 통한 대체수자원 적용성 평가는 도서지역의 제한급수 등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과 산간 농업지역에서의 물부족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활동의 저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자원확보를 위한 적정 빗물이용법 도출을 위해 최근 물 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고려한 정책사업으로의 접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노력, 정부-민간 협동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전문가의 활동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스마트워터그리드 체계구축을 위한 여러 요소기술 중 다중수원을 통한 용수확보 방안에서 빗물(우수)을 이용한 대체수자원 확보방안을 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서지역에서의 제한급수문제 해결방안과 산간 농업지역에서의 농업용수 확보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salt water intrusion and soil salinization in agricultural reclaimed lands by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에 따른 간척지의 해수침투 및 염류화 영향 평가)

  • Jung, Euntae;Park, Namsik;Park,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3-223
    • /
    • 2019
  •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해안 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야기해 해안 지하수의 염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해수면 상승은 토양 염류화를 심화시켜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며, 지하수위를 증가시켜 불포화대의 토양두께가 감소한다. 이처럼 지하수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포화대와 토양 염류화가 발생하는 불포화대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대부분 포화대와 불포화대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간척지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포화대의 해수침투 및 불포화대의 토양염류화 영향을 연계하여 모의하였다. 포화대 모의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개발한 3차원 이송확산 모델인 SUTRA, 불포화대 모의는 미국환경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에서 개발한 1차원 이송확산모델인 VADOFT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IPCC에서 공표한 바와 같이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고, 미래 21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라 해수침투 및 토양염류화 면적 그리고 지하수위 및 불포화대 토양두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한반도 91개 간척지에 대해서 모의를 수행하였고,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지하수 해수침투 면적이 $82.19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83.71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 염류화 면적은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22.25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24.86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호 또는 저수지가 있는 대상 지역에서는 해안선으로부터 거리 및 관리 수위가 해수 침투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서는 해안선 인근 저수지 수위의 적절한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안선의 위치변화와, 기존 관정에서의 양수량, 강수량 변화를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위의 세 가지 사항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Microclimate-based Smart farm Predictive Platform for Intelligent Agricultural Services (지능형 농업 서비스를 위한 미기상기반 스마트팜 예측 플랫폼 개발)

  • Moon, Aekyung;Lee, Eunryung;Kim, Seungh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6 no.1
    • /
    • pp.21-29
    • /
    • 2021
  • The emerging smart world based on IoT requires deployment of a large number of diverse sensors to generate data pertaining to different applications.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 plethora of IoT solutions beneficial to various application domains, IoT techniques also help boost agricultural productivity by increasing crop yields and reducing losses. This paper presents a predictive IoT smart farm platform for forcast services. We built an online agricultural forecasting service that collects microclimate data from weather stations in real-time.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system, we designed a frost and pest forecasting modes on the microclimate data collected from weather stations, notifies the possibilities of frost, and sends pest forecast messages to farmers using push services so that they can protect crops against damages. It is expected to provide effectively that more precise climate forecasts thus could potentially precision agricultural services to reduce crop damages and unnecessary costs, such as the use of non-essential pesticides.

Exotic Weeds Classification : Hierarchical Approach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외래잡초 분류 : 합성곱 신경망 기반 계층적 구조)

  • Yu, Gwanghyun;Lee, Jaewon;Trong, Vo Hoang;Vu, Dang Thanh;Nguyen, Huy Toan;Lee, JooHwan;Shin, Dosung;Kim, Jinyo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7 no.12
    • /
    • pp.81-92
    • /
    • 2019
  • Weeds are a major object which is very harmful to crops. To remove the weeds effectively, we have to classify them accurately and use herbicides. As computing technology has developed, image-based machine learning methods have been studied in this field, specia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based models have shown good performance in public image dataset. However, CNN with numerous training parameters and high computational amount. Thus, it works under high hardware condition of expensive GPUs in real appli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a hierarchical architecture based deep-learning model is propos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successfully classify 21 species of the exotic weeds. That is, the model achieve 97.2612% accuracy with a small number of parameters. Our proposed model with a few parameters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actual application of network based classification services.

A standardized procedure on building spectral library for identifying hazardous chemicals mixed in rivers using UAV-based hyperspectral technique (드론 기반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하천수 혼합 유해화학물질 식별을 위한 분광라이브러리 구축 표준화 방안)

  • Gwon, Yeonghwa;Kim, Dongsu;You,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61-161
    • /
    • 2020
  • 최근 기후변화와 여름철 고온 등으로 인한 녹조현상, 화학물질 및 유류 유출 등 화학사고로 인한 하천의 수질오염과 관련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화학사고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유출은 인체에 접촉 시 악영향을 끼치며, 대기·수질·토양을 오염시키고 주변 농작물의 변색이나 괴사를 유발하는 등의 피해를 야기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와 대응이 필요하다. 환경부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물질관리법과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유해화학물질을 관리하고 화학사고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사고 발생 시 공장 인근의 먼지, 악취 등을 감시하기 위해 현장인력에 의존하거나 화학물질의 유출이 우려되는 곳에 제한적으로 검출센서를 설치해 사고를 감시하고 있어 검출센서 미설치 지역에 대한 능동적 탐지가 어렵고, 화학물질의 공간적 분포 탐지가 불가능하여 초동 대응에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초분광 영상을 활용하여 물질 고유의 분광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토지피복, 식생, 수질 등의 식별에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초분광 센서를 활용한 화학물질 감지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지만, 초분광 센서를 활용한 하천의 화학물질 감지를 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18종을 대상으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상호 구분이 가능한 지 확인하고자 해당 유해화학물질의 초분광 영상을 촬영하여 분광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또한 물질별 특성을 보이는 분광밴드의 범위를 지정해 특성 분광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해당 과정에 대한 표준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18종의 유해화학물질 분광라이브러리와 특성 분광라이브러리를 구축한 결과, 유해화학물질의 식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분광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를 확대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에 적용할 경우 신속한 화학사고 발생여부 감지 및 대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