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 폐기물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A Torrefaction Unit of High Moisture Food & Agricultural Wastes (음식물 및 농업폐기물 열분해장치 개발)

  • Song, Dae Bin;Lim, Ki Hyeon;Jung, Dae Hong;Yoon, Jong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6-116
    • /
    • 2017
  • 2012년 국내 총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발생량은 382,009 톤/일 으로 이 중 12.8%를 차지하는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 채소류폐기물 발생량은 13,209 톤/일 으로 대부분 소각 후 매립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및 농업 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열분해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 kg/hr인 실험실용 열분해장치를 제작하였다. 건조 처리된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열분해용 실험 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종류, 열분해 온도, 열분해 시간에 따른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농업부산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55.35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3,333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농업부산물을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3,400 kcal/kg, 저위발열량은 3,090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조건 및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88.27 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4,016 kcal/kg으로 측정되었다. 음식물 쓰레기를 단순 건조 처리한 경우 고위발열량은 4,040 kcal/kg, 저위발열량은 3,686 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열분해 처리능력은 연구목표치인 50 kg/h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위발열량은 연구목표치인 4,000 kcal/k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저위발열량 측정 기준 함수율이 습량기준으로 약 10%로 추정되는 바 5%로 조절하고, 열분해 열풍온도를 $200^{\circ}C$ 까지 상승시키면 발열량이 훨씬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 Torrefaction Unit for Food and Agricultural Wastes (음식물·농업폐기물 열분해장치 개발)

  • Song, Dae-Bin;Lim, Ki-Hyeon;Jung, Dae-Hong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2 no.6
    • /
    • pp.73-79
    • /
    • 2018
  • In this study, a torrefaction unit with a capacity of 50 kg/hr was developed and experimented to produce of solid fuel by reuse of the food and agricultural wastes. Dried food wastes and agricultural wast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and the heated-air torrefac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the raw materials, torrefaction air temperature, and torrefaction time. For the dried agricultural wastes, measured torrefaction capacity and lower heating values were 55.35 kg/hr and 3,333 kcal/kg, respectively. As the lower heating values of the treated samples were greater, by around 7.8%,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samples, torrefaction process was a very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heating value of the agricultural waste. In case of the dried food waste, torrefaction capacity and lower heating value was measured 88.27 kg/hr and 4,016 kcal/kg, respectively. As the lower heating value of treated ones showed around 9.0% higher than that of non treated ones, torrefaction process is very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heating value of the agricultural waste also. It will be assumed that the heating value shows more higher as increase the air temperature and decrease the moisture content of torrified matter.

Animal Waste Treatment and Utilization (축산폐기물처리 및 자원화)

  • 손정익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 no.2
    • /
    • pp.150-160
    • /
    • 1993
  • 농업폐기물중 유기물이 상당부분인 축산폐기물(분뇨)는 하천의 수질악화, 호소의 부영양화 및 지하수오염 등의 자연환경오염의 주범중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축산폐기물은 그 처리방법에 따라서 환경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적정공정을 통하여 퇴비화에 의한 자원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대체적으로 기초적이며 공통적인 부분에 관한 축산폐기물 처리시설 및 공정체계는 이미 제품화가 되어 가동중에 있고, 단지 지역적 특성이나 다양한 규모의 제약조건하에서 실행가능한 중소규모 시설에 관해서는 일련의 실험들을 통하여 개발ㆍ적응해 나가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겠다.(중략)

  • PDF

Ammonia Emissions during Composting of Hog Manure Using the Positive Aeration (강제통기식 돈분 퇴비화 과정의 암모니아 휘산)

  • 홍지형;박금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24-129
    • /
    • 1999
  • 지난 몇 십년간 생물계 폐기물 호기성 처리의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공법으로 가축분뇨처리에 적용되어온 유기성 폐자원의 호기성 분해공정은 축산환경 보전, 지력증강 자원의 고갈 및 지구온난화문제 등에 의해서 더욱 주목받아 오고 있다. 특히, 기존의 호기성 고형폐기물 처리시설에서 저투입, 고효율의 처리시설을 개발하여 보다 많은 숙성퇴비를 얻을 수 있는 통기퇴적식 퇴비화 시설은 강제통풍 통기방식으로 호기성 미생물의 분해시간을 단축하고 암모니아가스 휘산을 저감하는 등의 탁월한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Brinton et al., 1995). (중략)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Landfill Sites by LandGEM and Flux Measurement (LandGEM과 현장 실측에 의한 쓰레기매립장에서의 온실 가스 배출 특성)

  • 전의찬;서성은;사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26-427
    • /
    • 1999
  • 최근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온실가tm 총 배출량은 1990년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6,927만 8천톤, 메탄 135만 2천톤, 아산화질소 1만 2천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증가 추세가 비교적 큰 것으로 알려진 메탄의 경우, 농업 분야와 폐기물매립 분야의 배출량이 전체 배출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분야의 산업 활동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므로, 폐기물 매립에 의한 메탄의 배출량은 그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