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49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RS와 GIS를 이용한 특수과수 재배 단지 확산 방안에 관한 연구 및 구현 (순창군 복분자를 중심으로)

  • Kim, Tae-Jun;Jeong, Ji-Ho;Song, Gyeong-Se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243-248
    • /
    • 2005
  • 우리나라의 농업은 주곡의 지속적인 자급기반을 마련하고 이제 단순한 농사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소득작목을 개발하고 합리적인 경영개선을 통하여 소득을 높이는 상업농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따라서 상업농시대에는 농업도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질 높은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할 수 있는 기술의 확보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최근 농산물수입개방 시대에 접어들게 되면서 우리 농산물도 국제경쟁력향상을 위한 품질향상 및 새로운 소득작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와있다. 여러 지방지치단체에서 그 지방에 알맞은 소득작물을 개발하여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예로서 보성의 녹차, 무안의 무화과, 구례의 오이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여러 농업연구기관에서도 과학적인 토양연구로 세부정밀토양조사를 실시하고 작물재배의 부적지에 대해서는 토양개량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시비추천과 소득작물의 적지적작추천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GIS의 발전 및 RS의 발전과 더불어 친환경농업의 일환으로 정밀농업분야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밀농업은 농업생산기술 분야에서 아직 생소한 접근방법으로서 여기에서는 지구측위시스템(GPS)와 지리정보시스템(GIS), 원격탐사(RS)기법들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또한 농업의 1차(식량생산)적인 목적에서 2차, 3차(소득증대 및 부가가치 증대)적인 목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 그 지역에 적합한 농산물 재배를 위한 재배단지 확산방안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며, 과거 토양속성인자를 가지고 재배적지 선정을 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GIS와 RS을 중첩하여 적지선정에 관한 최적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런 적지 선정을 통하여 유기농업의 실현을 도모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작물 생산 및 농촌관광단지 조성을 통해 부가가치증대 및 소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griculture Bigdata Management and AI Research Platform Development (농업 빅데이터 관리 및 인공지능 연구 플랫폼 개발)

  • Kim, Ki-Hyeon;Seok, Woojin;Moon, Junghoon;Kim, Kwangsoo;Sim, Joo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507-509
    • /
    • 2022
  • 농업은 우리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분야이며,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물들을 길러 음식을 만드는 기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렇게 중요한 농업 분야를 ICT 분야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하여 스마트팜과 같은 농업의 디지털화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팜 구축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작물의 빅데이터를 제공하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수행하여 다양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플랫폼의 부재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업 빅데이터 관리 및 인공지능 연구 플랫폼 개발을 위한 과제를 통해 농업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인공지능을 연구자들이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여 농업 분야의 작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Design of th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on Middleware for u-Farm Service (u-Farm 서비스를 위한 미들웨어의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설계)

  • Ju, Hui-Dong;Kang, Hyun-Joong;Lee, Meong-Hun;Yoe, 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7
    • /
    • pp.1321-1328
    • /
    • 2008
  • Th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s on middleware for agriculture service instead of pigpen is focused on context-awareness and event-centric structure in this paper. By processing and monitoring context information which obtained from a sensor field, the u-Farm middleware is to promptly provide the response for various queries from agriculture's application service. It allows a device to provide optimal ubiquitous farm environment.

Framework for Drought Information System (가뭄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Shim, Kee-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13-213
    • /
    • 2012
  • 인류의 문명과 함께한 재난 중에서 가뭄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국가의 존폐 위기를 가늠할 정도의 큰 재앙이었다. 우리나라의 가뭄상황을 파악하고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 외의 가뭄관련 기관인 국토해양부, 기상청,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뿐만아니라, 미국 네브라스카주 링컨대학교내에 설립되어 있는 국립가뭄경감센터(NDMC)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전담기관인 소방방재청에서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실용적으로 유용한 시스템이 되기 위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물 관련 기관들이 구축해놓은 다양한 실시간 관측시스템을 연계 활용하기 위하여 가뭄관련 부처인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기상청,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및 소방방재청 등에서 물 관련 현황을 파악하여 실시간 관측정보들을 파악하였다. 소방방재청에서는 국가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 각 부처에서 구축한 가뭄관련 시스템들의 조사를 통해 생활 공업 농업용수 분야별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사점들을 살펴보았다. 가뭄정보시스템의 구축방향 제시에 있어서는 동시접속으로 인한 인터넷 과부하를 예방하면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좀 더 정확한 현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활성화를 기하고자 하였다. 가뭄정보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내부 계산부문과 외부 표출부문으로 나누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부 계산 부문에서는 여러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자료를 행정안전부 국립방재연구원 분석 평가 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버에 집적하여 가뭄관련 정보를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부문이다. 여기서는 강우자료를 토대로 하여 가뭄지수의 산정과 생활 공업 농업용수 분야별로 지역별 수요량과 공급량의 상태를 파악하여 실시간 가뭄지수(RDI)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 가뭄지수(RDI)는 지역 주민들이 가뭄으로 인한 용수량 현황을 알 수 있는 가뭄지수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가뭄지수의 산정제시에 있어서는 가뭄지수에 따른 재해피해 상황을 제시하여 피해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며, 농어촌공사 관할 저수지의 실시간 저수율을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고 가뭄발생에 대한 간이상수도 및 마을상수도 등의 지역별 용수공급 가능성에 대한 전조정보를 파악하여 가뭄발생 이전에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축하고자 한다. 외부 표출 부문은 내부에서 계산된 결과 값을 인터넷의 부하를 줄이면서 자치단체 담당자들이 쉽고 빠르게 관할지역의 궁금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가뭄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Crop Growth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for Precision Farming (정밀농업을 위한 작물 생육정보 획득시스템 개발)

  • 성제훈;정선옥;홍석영;이동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65-170
    • /
    • 1999
  • 정밀농업의 기본개념은, 작물 생육상태를 포함한 포장정보가 위치마다 다르므로 포장정보에 따라 위치별로 적합한 농자재 투입과 생육관리를 통하여 수확량은 극대화하면서도 불필요한 농자재의 투입을 최소화해서 농자재 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정밀농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위치별 포장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수집하는 기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포장정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변화가 일어나는 정보와 단기간에 변화가 일어나는 정보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변화가 일어나는 정보는 포장의 크기 및 형태, 진입로, 수로, 토성, 토양 유기물 함량 등이고, 단기간에 변화가 일어나는 정보는 병충해, 성장중인 작물의 건강상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중 단기간에 변화가 일어나는 정보는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처리를 해 주어야만 수확량 및 수확된 곡물의 질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분석이 되어야만 작업기를 이용한 정밀한 포장관리가 가능하다. (중략)

  • PDF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농업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 Jo, Myeong-Hui;Kim, Hyeong-Seop;Yu, Seong-Ok;Kim, Jong-Su;Kim,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23-326
    • /
    • 2009
  • 최근 국내외적으로 고소득 및 친환경농산물 시장이 농업인과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산 소고기' '멜라민' '식품첨가물' 등의 파동을 계기로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농업행정관리와 우수작물을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농업기반 정보와 기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고소득 작물 및 안전한 농산물 생산과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그 기반으로 고해상 위성영상 및 세부정밀토양도와 농작물 생산정보를 GIS로 데이터베이스화 및 Web기반 농업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an U-Farm Monitoring System (U-영농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Kim, Hyu-Jin;Jeon, Byoung-Chan;Lim, Heung-Sun;Lee, Sang-J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04-707
    • /
    • 2012
  • 현재 국내 농업은 고령화로 인하여 10년간 전체 농촌인구의 3분의 1이 감소하고 있으며 농업 인구의 공동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농촌 인구의 인력을 해결하기 위해서 농업 선진국들은 적은 인력으로 생산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농업 생산성 증대를 위해 자동화 시스템은 필수적이며 도입으로 인하여 인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농가 소득을 필요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진정한 무인 자동화 시스템이 가능하려면 신뢰성이 보장되면서 일반 농가에서도 부담 없이 도입 할 수 있는 저가의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농가에 시스템을 구축 시 들어가는 구축비용을 줄이기 위해 저가의 센서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서버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서버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손쉽게 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스마트폰과에 연계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 습도, Co2등의 다양한 영농 환경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를 통하여 천장계폐와 LED를 손쉽게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시스템으로 제어뿐만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를 통하여 농가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로써 활용 될 수 있으며 유무선 공유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가 연결된 곳이라면 시스템에 접근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 PDF

기후변화가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 - '품질저하.수량감소'로 이어져 '신품종 육성.재배법 설정'등 대비해야

  • Sim, Gyo-Mun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46
    • /
    • pp.28-31
    • /
    • 2009
  • $1912{\sim}2005$년 사이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약 $1.5^{\circ}C$ 상승하였다. 이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0.74^{\circ}C$)의 2배를 상회한 것이다. 장기적으로 농업기상정보시스템을 구축, 농업기상 예보 및 영농대책 자료를 농업인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Database for Remote Monitoring and Information Analysis of Greenhouse Environment (온실환경 원격감시 및 정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개발)

  • 유윤관;류관희;진제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502-507
    • /
    • 2003
  • 최근 정보통신의 기술의 발달은 산업 전 분야에 걸쳐 온라인 관리, 원격감시,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과 인건비 절감 및 시간절약이라는 변화를 가져왔다. 서비스, 금융, 공공, 제조업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의 이러한 움직임은 1차 산업인 농업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물론 지금까지의 농업분야에 대한 정보화는 미흡한 실정이지만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첨단농업시스템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u-IT Based Plant Growth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u-IT 기반의 생장환경 관리 시스템)

  • Cho, Seung-Il;Kim, Jong-Chan;Ban, Kyeong-Jin;Kim, Chee-Yong;Kim, E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2-364
    • /
    • 2011
  • To build ubiquitous agriculture environment successfully,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for agriculture, such as sensor node H/W, sensor node middleware platform, routing protocol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application service is essential. With the application of u-IT technologies to traditional agriculture area, fusion complex technologies become a source to raise value-added agriculture product and its productivity. However, it is imperative to expand horticulture industry area and improve infrastructure for utility-based horticulture. This paper proposes an agriculture product growth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that utilizes environmental factor monitoring sensors and biological information sensors in greenhouse to specifically manage botany growth environment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