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적 특성

Search Result 1,95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oil Survey and Land Evaluation for Establishing the Demonstration Farm in the Oudomxai Province, Laos (농업투자용 시범농장 조성 후보지 선정을 위한 라오스 우돔싸이주(州)의 토양조사 및 토지특성 평가)

  • Park, Moo-Eon;Park, Ki-Wook;Cho, Il-Hwa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6
    • /
    • pp.1024-1034
    • /
    • 2010
  • In order to select the demonstration farm site for agricultural investment by Korean fund, 14 sites were investigated by soi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ere evaluated by rating method in the Oudomxai province of Laos. Land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eight factors, such as site accessibility, soil erosion susceptibility, easiness of farm mechanization, irrigation water obtainability, suitability of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crop growth, cost for establishment of farm foundation and land obtainability. In addition, one site to have been highly ranked was soil physico-chemically studied for farm planning. The site of heavy clayey soil has hydraulic conductivity of 26.27~40.64 cm $day^{-1}$, organic content of lower than 14 g $kg^{-1}$, available phosphate content of lower than 3 mg $kg^{-1}$, exchangeable cations of lower than 0.38, 11 and 3.1 cmolc $kg^{-1}$ in K, Ca and Mg, respectively. Major important limitations for establishment of demonstration farm were concluded as heavy soil-texture, high soil erodibility, low organic matter and phosphate contents, and insufficient irrigation water in the Oudomxai province of Laos.

Monitoring of Groundwater quality according to groundwater use for agriculture (농업용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질 모니터링 평가)

  • Ha, Kyoochul;Ko, Kyung-Seok;Lee, Eunhee;Kim, Sunghyun;Park, Changhui;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3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에 농업용수(벼농사용)로서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시기별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 수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남 홍성군 양곡리와 신곡리 일부를 포함하는 면적 2.83 ㎢(283.3 ha)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연구지역 지하수 수질의 공간적 분포 및 시간적 변화 특성 평가를 위하여 2019년 2회(7월, 10월)에 걸쳐 지하수 관정(21개소)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샘플은 현장에서 온도(T), pH, 용존산소(DO) 및 전기전도도(EC), 산화환원전위(Eh) 등을 측정하였고, 실험실에서 주요 양이온 및 미량원소(Ca, Mg, Na, K, Si, Sr), 음이온(F, Cl, Br, NO2, NO3, PO4, SO4), 알칼리도, 용존 유기탄소(DOC)와 용존 유기물(DOM) 등을 분석하였다. 지하수 수질조사 결과, 전체의 14~15개소(67~71%)가 Ca-HCO3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다음으로는 Ca-Cl 유형이 4~5개소(19~24%)가 관찰되었다. 얕은 심도의 관정에서 상대적으로 심도가 깊은 관정보다 대부분 성분(TDS, Ca, Mg, Na, K, Cl, SO4, HCO3, DOC)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지하수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다변량통계분석법인 주성분분석(PC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과 계층적 군집분석(HCA: Hierachical Cluster Anlaysis)를 수행한 결과, 초기 3개 주요 고유성분(eigenvalue)는 PC1 54.0%, PC2 14.2%, PC3 12.3%로 전체 분산의 88.3%를 설명할 수 있었다. PC1은 Ca, Mg, Na, K, Cl, SO4, DOC가 주요한 영향 인자였으며 PC2는 HCO3, NO3, DO에 영향 받음을 확인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연구지역 지하수는 Na-Cl 유형의 C-3 관정을 제외하고는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되어 졌다. 다변량통계분석의 결과에서도 수리지화학, 동위원소, 용존유기물 등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한 연구지역의 수질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지역은 차시기 동안 수질변화는 일부 관정을 제외하고는 유의할 만한 수준으로 관찰되지는 않았고,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위 회복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Yield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Korea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Cultivars Under Different Air Temperatures and Sunshine Hours (국내 팥 품종의 일조시간과 기온 차이에 따른 수량성 및 항산화 특성)

  • Oh, Seon-Min;Jang, Jisun;Park, Kwonseo;Kang, Youngsik;Lee, Jeom-Sig;Song, Suk-Bo;Yun, Tugsang;Kim, Jae Yoo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7 no.3
    • /
    • pp.189-197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yield properties of eight adzuki bean (Vigna angularis L.) cultivars grown under different mean temperatures and sunshine hours in 2020 and 2021. Compared to 2021, which had a normal mean temperature, 2020 showed a lower mean temperature during the pod-extension and grain-filling periods. In addition, due to frequent rainfall during the vegetative period in 2020, there were fewer hours of sunshine in 2020 than in 2021. The adzuki bean yield was approximately 13% lower in 2020 than in 2021 due to the decreased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100-seeds weight. 'Hongda' and 'Hongjin' cultivars showed more stable yields than the 'Arari' variety, which is the most commonly cultivated variety in Korea. Moreover, the 'Hongda' and 'Hongjin' cultivars had higher yields than the 'Arari' variety in both years. Compared to 2021, in 2020, when the weather conditions were unfavorable, both antioxidant levels and activity were higher. 'Hongda' had higher antioxidant levels and activity than the other cultivars over the 2 ye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nt levels and activity were good in 2020, with an approximately 13% decrease in yield compared to 2021, which was a normal year with respect to mean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s.

Optimum Media of Sedum kamtschaticum for Pot Culture in an Ebb & Flow System (Ebb & Flow 시스템에서 기린초 분화재배에 적합한 배지 선발)

  • Kim, Su Jeong;Chang, Dong Chil;Suh, Jong Taek;Lee, Eung Ho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3
    • /
    • pp.205-210
    • /
    • 2008
  • Sedum kamtschaticum has been used as one of the native valuable plants for ornamental purpo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media for pot cultured Sedum kamtschaticum using peatmoss and coir-based mixtures. Four mixtures such as peatmoss:perlite(5:5, v/v), peatmoss:perlite(7:3, v/v), coir:perlite(5:5, v/v), and coir:perlite(7:3, v/v) were used. Plants were irrigated with a Sonneveld solution in an ebb & flow system. The content of T-N, K, and Ca in the peatmoss-based media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ir-based media. The concentration of T-N, K, and Ca in the shoots of Sedum kamtschaticum increased when plants were cultured with peatmoss-based media. In the peatmoss-based media, plant growth, such as number of branches, leaf length and shoot fresh and dry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plant grown in the coir-based media. As the results, the optimum media for pot cultured Sedum kamtschaticum in an ebb & flow system was considered to be the peatmoss-based mixtures.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in a Fruit-Growing Farming Community and the Role of a Community-Based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 the Case of Nulmi-Ri, Chungdo-Kun, Kyongbuk Province (과수재배지역의 생산유통체계와 내생적 영농조직의 역할 - 청도군 눌미리 복숭아 재배 커뮤니티의 작목반을 사례로 -)

  • Woo, Jong-Hyeon;Park, Soo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4
    • /
    • pp.1-17
    • /
    • 2001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ole played by the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sustaining rural community's competitiveness. Nulmi-Ri, Chungdo Kun in Kyongsangbuk-do chosen as a case study area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competitive rural communities, making a living with a peach farming. This community maintains its competi- tiveness by operating a community-based filming organization which was organised in an endogenous way. Most of individual farmers in this community belong to the farming organization and they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the processe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is respect, the exchange and circulation of knowledge, and collective learning, tend to be significantly taken place between the organization memb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Nulmi-Ri's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we propose some constructive comment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PDF

Reg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natural drought index (자연가뭄지수의 지역별 가뭄특성분석)

  • Kim, Seon-Ho;So, Jae-Mi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9-149
    • /
    • 2016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뭄은 홍수와 더불어 그 피해가 가장 큰 자연재해 중 하나이며, 장주기적이고 광역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구체적인 발생시기, 장소,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가뭄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뭄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례로 2014~2015 가뭄으로 소양강 댐은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급수, 농업용수 부족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가뭄으로 인한 피해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빈번할 것이라는 보고가 있어 가뭄해석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뭄해석에는 일반적으로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 누적심도 등을 사용하며, 이를 가뭄특성인자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시설물의 영향을 배제한 자연가뭄지수(Natural Drought Index, NDI)를 이용하여 국내 5개 행정구역의 지역별 가뭄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연가뭄지수의 산정을 위해 입력자료는 3개월 누적강수량, 누적유출량, 평균토양수분량을 사용하였으며, 강수량은 국내 ASOS 59개 지점 자료, 유출량 및 토양수분량은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가뭄특성 분석기간은 1977~2012년이며, 가뭄특성인자는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을 활용하였다. 과거 가뭄피해사례와, SPI, SRI, SSI 및 NDI의 가뭄특성인자를 비교하였으며, 정량적 비교를 위해 평균오차, 평균절대오차를 사용하였다. 가뭄특성인자 분석 결과 NDI는 가뭄의 시작과 끝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가뭄의 지속기간은 NDI, 발생간격은 NDI와 SPI가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가뭄지수는 단일변량 가뭄지수에 비해 지역적 가뭄특성을 정확하게 재현한다는 점에서 추후 가뭄감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Electric Energy Consumption in Closed Transplants Production System as affected by Photoperiod and Relative Humidity (광주기와 상대습도 처리에 따른 폐쇄형 묘생산 시스템의 전력 소모 분석)

  • 김진국;김용현;이명규;최유화;이상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145-150
    • /
    • 2003
  • 최근 육묘 시설의 양적 증가와 육묘 기술 수준의 향상에 힘입어 플러그 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더구나 육묘와 재배의 분업화가 진행되고, 고품질 묘의 안정된 수급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육묘 산업에 대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온실, 터널 등의 모든 육묘 시설은 개방형 묘생산 시스템으로 자연광을 이용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에 소요되는 비용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더구나 외부 기상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환경제어를 위하여 차광과 보온 등의 시설이 필요하며(이 등, 1995), 관리노력이 적지 않게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The Dynamic Stereo Vision System for Recognizing a Position in the 3-D Coordinates (3차원 좌표계 위치 인식을 위한 동적 스테레오 비젼시스템 개발)

  • Seo, K.W.;Min, B.R.;Kim, W.;Kim, D.W.;Lee, C.W.;Lee, D.W.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478-483
    • /
    • 2003
  • 대상물의 인식 및 위치 검출에는 영상처리기술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로봇의 작업성능은 대상물의 위치를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검출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작업현장에서 대상물의 배치, 크기 및 형상 등이 일정하지 않고 작업환경 또한 다양하여 외부의 영향을 많기 받기 때문에 정확한 로봇의 시각장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이 카메라 2대를 이용할 스테레오 비전이다 하지만 정확한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해서 세밀한 보정이 필요한 실정이며 보정에 있어서도 두 카메라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오차가 발생한다. (중략)

  • PD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bble As a Tamping for Greenhouse Keeping Warm (이중피복온실의 보온용 충전재로서 버블의 물리적 특성)

  • 윤남규;김학주;이시영;염성현;남윤일;최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355-359
    • /
    • 2003
  • 1970년대 백색혁명 이후 급속하게 확산되어온 국내 시설원예산업은 최근 들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난방비에 대한 부담으로 그 경영이 날로 위축되어 가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1년 우리나라 전체 시설원예 면적 52,135㏊ 중 난방을 하고 있는 시설원예 면적은 12,710㏊로서 약 24%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시설재배면적의 지역분포를 비교해 보면, 시설채소의 경우 중부 이북지역에 44%, 남부에 56%의 비율로 분포해 있으며, 시설화훼의 경우 중부 이북 58%, 남부 42%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국내 시설원예의 분포는 난방비가 많이 소요되는 지역이라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유통이나 지리적 면에서 유리한 지역에 시설재배면적이 많이 분포해 있는 소비지중심형 분포임을 알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