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식품 소비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 and food consumption behaviors based on the 2019 Consumption Behaviors Survey for Food (농식품 소비자역량지수와 식품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2019년 식품소비행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 Kim, Eun-kyung;Kwon, Yong-seok;Lee, Da Eun;Jang, Hee Jin;Park, Young He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4 no.2
    • /
    • pp.199-21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s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 (ACCI). Methods: Data obtained from the 2019 Consumption Behaviors Survey for Food were analyzed. A total of 6,176 adults (2,783 males, 3,393 females) aged ≥ 19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sed on the score of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dietary habits, eating-out and food-delivery/take-out behaviors, opinion of food labeling, and concerns for domestic products were compared among the 3 groups. Results: The ACCI scores of the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63.6 and 64.8, respectively. Subjects of both genders in the highest tertile of the ACCI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education level and higher health concerns, as compared to subjects in the lowest tertile (p < 0.05). Male subjects having highest tertile of the ACCI reported significantly more exercise and alcohol consumption, as compared to subjects in the lowest tertile (p < 0.05). A higher score of the ACCI also portrayed a higher satisfaction in own diet and greater checking of the food label. Moreover, subjects with a higher score of the ACCI showed great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in the food label, as well as increased concerns for domestic agrifoods, local foods, and eco-friendly foods. Subjects in the lowest tertile of the ACCI acquired their dietary information from acquaintances, whereas subjects in the highest tertile of the ACCI learnt the information from food labels themselves.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indicative of the food consumption and behaviors of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ir ACCI score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be useful for implementing an effective food policy.

Effects of Exposure to Cooking Show Contents on the Consump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ocused on Potato Consumption (쿡방 콘텐츠 노출이 농식품 소비에 미치는 효과: 감자 소비를 중심으로)

  • Rah, HyungChul;Kim, Hyeon-Woong;Ko, Hyeonseok;Shin, Jaehoon;Cho, Yongbeen;Nasridinov, Aziz;Yoo, Kwa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400-407
    • /
    • 2021
  • Recently, mukbang and cookbang or cooking shows on TV and YouTube channels have increased, and the influences of these broadcasts on food consumption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There were several news articles on 'Baek Jong-won effect', in which the consumption of the agri-food Mr. Jong-won Baek mentioned on his broadcast soared, and even foods named after him are on the market. In this study, Mr. Jong-won Baek, who produces influential cook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was take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We evaluated if 'Baek Jong-won effect' exists on potato consumption, which Mr. Jong-won Baek broadcasted potato cooking recipes on TV and YouTube. After the potato recipe was broadcasted for the first time on the TV show called HomeFoodRescue,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money to purchase potatoes before and after the broadcast were estimated by using the money amount to purchase data of Agri-food consumers panel an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at 6 time points (3, 6, 9, 12, 24, and 36 months). Among the time points analyzed, the potato purchases at post-broadcast were less than those at pre-broadcast. No results were observed suggesting the existence of 'Baek Jong-won effect' on potato consumption through HomeFoodRescue show in the study.

Comparison of Housewives' Agricultural Foo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y Age (주부의 연령대별 농식품 소비 특성 비교)

  • Hong, Jun-Ho;Kim, Jin-Sil;Yu, Yeon-Ju;Lee, Kyung-Hee;Cho, Wan-Sup
    • The Journal of Bigdata
    • /
    • v.6 no.1
    • /
    • pp.83-89
    • /
    • 2021
  • Lifestyle is changing rapidly,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vary widely among households as dietary and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evolve. This paper reclassified the food group of consumer panel data establish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hich contains information on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by household unit, and compared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by age group. The criteria for age classification were divided into groups in their 60s and older with a prevalence of 20% or more metabolic diseases and groups in their 30s and 40s with less than 10%. Using the LightGBM algorithm, we classified the differenc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their 30s and 50s and 60s and found that the precision was 0.85, the reproducibility was 0.71, and F1_score was 0.77. The results of variable importance were confectionery, folio, seasoned vegetables, fruit vegetables, and marine products, followed by the top five values of the SHAP indicator: confectionery, marine products, seasoned vegetables, fruit vegetables, and folio vegetables. As a result of binary classification of consumption patterns as a median instead of the average sensitive to outliers, confectionery showed that those in their 30s and 40s we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ose in their 60s. Other variable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ose in their 30s and 40s and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According to the study, people in their 30s and 40s consumed more than twice as much confectionery as those in their 60s, while those in their 60s consumed more than twice as much marine products, seasoned vegetables, fruit vegetables, and folioce or logistics as much as those in their 30s and 40s. In addition to the top five items, consumption of 30s and 40s in wheat-processed snacks, breads and noodles was high, which differed from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their 60s.

A Study on the Agri-food Consumers' Type using the SNS (SNS를 활용한 농식품 소비자 특성 연구)

  • Kim, Young-Chul;Lee, Seog-Won;Oh, Sang-Heon;Hwang, Dea-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25-1128
    • /
    • 2012
  • 최근 FTA 체결은 국내의 농식품 소비자들을 값싼 외국산 농식품으로 소비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유통시장의 변화 즉, 소비자-생산자 간의 직거래 형태는 개인이 프로슈머로서 농식품 관련 컨텐츠의 제작과 생산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하며 소비자들이 구매의사 결정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농식품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읠 수립 및 실행을 위하여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고 인식하지 못한 욕구가 있는지 소비자 유형을 분석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식품 소비자 구매의도를 통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이용의도로서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위해 교류빈도, 친밀감, 호혜성, 감정의 강도라는 SNS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유기농 이유식 제품 제조 기술 현황과 소비 전망

  • Sin, Hyeon-Ho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29-45
    • /
    • 2006
  • 최근에 들어 웰빙(well-being)과 함께 로하스(LOHAS: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란 개념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만족하는 식품으로 친환경 농산물과 유기 가공 식품이 대두되고 있다. 여러 마케팅 조사에서도 친환경 농산물과 유기 가공 식품의 소비자 선호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우리의 2세에게 더욱 안전하고 좋은 품질의 이유식을 제공하고 나아가 한계에 이른 '지구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지속가능 한 소비'를 유도하고자 업체들은 유기농 이유식을 개발하고 있다. 유기농 소비자 10명 가운데 7명은 최근의 웰빙 붐 때문에 유기농에 관심을 가지게 됐으며,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가족의 건강을 위해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를 막론하고 친환경 농산물과 유피 가공 식품의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반 제품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며, 국내는 인증 제도가 없으나, 유기 가공 식품표시기준에 따라 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유식이라 함은 식품공전에서 영 ${\cdot}$ 유아용 곡류 조제식만을 말하지만 넓게 축산물의 조제유류, 영아용 조제식, 성장기용 조제식, 기타 영 ${\cdot}$ 유아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농 이유식 제조 현황을 살펴보면 동결, 분무, 드럼 등의 건조와 퍼핑이나 Extruder를 통한 알파화로 원료를 가공하여 은 살균, 멸균, 균질, 혼합, 건조, 냉각, 포장 등의 다양한 공정으로 이루어진 분무건조나 유동층이나 연속식 과립기를 사용하여 분말이나 입자형 이유식을 생산하며, 동결 건조를 하여 열수를 가해 죽 상태로 먹을 수 있도록 한 제품, 데워서 떠 먹일 수 있도록 병조림이나 레토르트 유동식 제품, 바로 마실 수 있는 쥬스류, 두유류, 과자 등으로 생산하고 있다. 주된 메이저4사는 일동후디스, 남양유업, 매일유업, 파스퇴르유업으로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으며, 두유를 위주로 한 정식품, 연세우유와 종근당건강, 다양한 다국적 기업들의 제품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유식 시장도 96년 하반기부터 정체를 보이는 상태다. 2002년도 이유식 시장은 약 1,300억원 규모로 업체들의 고가 신제품과 유기농 이유식 출시로 판매 금액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판매 수량은 큰 변동이 없다. 저출산에 따른 양육비 집중과 유기농 제품에 대한 저변이 크게 확산돼 베이비 웰빙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거니와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선 유아에 그치지 않고 아동까지 유기농과 고급 원료를 사용한 고가의 웰빙 제품이 봇물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어서 유아식 시장은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할 것이며, 국내 식품 업체들이 너도나도 유기농 제품과 매장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유기 가공 식품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1) 국내산/수입산 공통으로 인증 제도가 도입되고 원료 농산물뿐만 아니라, 모든 공정이나 공장에 대한 종합적 관리와 동일한 인증 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정부 부처의 이기를 타파할 수 있는 법정부적 기구나 대책이 필요하다. (3) 유기 가공 식품을 취급하는 업계에서는 기존 3%의 비의도적 혼입치의 고려나 상한선 재설정을 요구하고 진정한 유기 가공 식품으로 공정 경쟁한다. (4) 활발한 인증심사원의 교육과 배출로 인증이나 심사기관의 민간 이양을 적극 장려하고 국가관 상호 신뢰를 구축한다. (5) 각 소비자 단체나 소비자는 환경을 살리고 생명체의 공생이라는 관점에서 최선의 길이 유기농 제품임을 인식하고 소비하여 우리의 다음 세대에게서 빌려온 소중한 환경을 물려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