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도계

검색결과 2,742건 처리시간 0.027초

초임계 $CO_2$를 이용한 대두 Genistein의 추출 (Supercritical $CO_2$ Extraction of Genistein from Soybean)

  • 부성준;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90-494
    • /
    • 1999
  •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온도 및 압력, 유속 등을 변경시켜도 genistein은 추출되지 않았다. 유기용매로 soaking한 결과를 보면 1mL ethanol로 soaking한 경우, 7.8%의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 7.8%정도를 나타내었다. Methanol로 soaking한 경우 더 낮은 수율과 함량을 보였다.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로 추출한 결과 추출이 되지 않아서 보조용매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온도 압력 하에서 추출한 결과를 보면, ethanol이 methanol보다 효과가 우수하였다. 보조용매를 이용할 때 온도의 영향은 ethanol을 보조 용매로 사용한 경우, 압력 300bar일 때에 75$^{\circ}C$에서 56.4%의 최대수율을 나타내었고 함량은 55$^{\circ}C$일 때가 가장 높았다. 온도 35$^{\circ}C$조건에서 9%의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여 압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00bar에서 genistein은 48.1%의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함량은 200bar일 때가 가장 높았지만 300bar와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할 때 초임계이산화탄소 유량에 대한 영향은 유량이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간 증가하였다. 온도 35$^{\circ}C$, 압력 275bar에서 ethanol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an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였으나 19%이후부터는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보조용매를 첨가한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genistein을 추출하였을 때에 ethyl ether를 사용하여 추출했을 때와 비교해서 35$^{\circ}C$, 300bar, 30분간의 추출에서 genistein은 71% 추출수율과 31.5%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미역의 효과적 추출 (Effective Extraction of Sea Mustar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이석희;천재기;주창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40
    • /
    • 1999
  • 초임계 이산화탄소 및 보조용매를 사용하여 미역분말로부터 지방질의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지방질의 추출속도는 미역입자가 작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유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지방질의 추출수율은 주어진 조건에서 거의 일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범위에서 최적조건은 미역입자 300um,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온도 313K, 압력 13.8MPa 및 유량 30L/min이었고, 이 때 추출수율은 $1.45wt\%$이었다 동일농도의 보조용매를 사용한 경우 에탄을은 메탄올과 헥산보다 더 좋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첨가한 경우는 이산화탄소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2.21배의 추출수율의 상승효과가 있었다. 물질전달 매개변수 $k_fa$값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사용한 경우에 체류시간 또는 지방질의 평균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한 경우는 반대 결과가 되었다.

  • PDF

초임계 유체에서 L-Lactide의 Scale-up 중합 (Scale-up Polymerization of L -Lactide in Supercritical Fluid)

  • ;김세윤;최동훈;김수현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284-288
    • /
    • 2011
  • 초임계 유체에서 poly(L-Lactide) (PLLA)의 산업화 생산 공정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로 1-dodecano/stannous 2-ethyl-hexanoate(DoOH/Sn(Oct)$_2$)를 개시제로 하여 chlorodifluoromethane 초임계 용매 하에서 락티드의 개환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은 3 L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중합시간, 온도, 압력 및 단량체와 초임계 용액 농도에 따른 중합거동을 관찰하였다. 중합시간이 5시간 경과할 경우 얻어진 중합체의 반응 수율 및 분자량은 각각 72%, 68000 g/mol이었다. 단량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중합체의 수율 및 분자량은 증가하였으며 최대 각각 97%, 144000 g/mol이 얻어졌다. 반응기의 압력이 130에서 240 bar로 증가할 경우 PLLA의 수율 및 분자량이 증가하였다. 얻어진 중합체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탄올 처리 및 진공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PLLA의 열안정성을 향상시켰다.

Poly(ethyleneglycol)과 인산염용액이 형성하는 2상계에서의 단백질 분획에 관한 연구 (Protein Partition in an Aqueous Poly (ethyleneglycol)-salt Two-phase System)

  • 이삼빈;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5-289
    • /
    • 1987
  • Poly(ethylene glycol)과 인산염 용액(PPB)이 형성 하는 액상 이상계에서 단백질의 분획 거동을 관찰하였다. PEG(12%)/PPB(12%) 액상 이상계에서 단백질의 표면 소수성이 다른 BSA, ${\beta}-lactoglobulin$, ovalbumin 모두 PPB-rich phase인 하층부로 몰려 그 분획계수는 대단히 낮았다. PPB의 농도를 15%로 증가 시키면 하층부의 전위는 +50mV 에서 0으로 낮아져 단백질의 분획계수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PB의 제2인산염과 제일인산염의 몰 비율을 1.43에서 9.55로 증가시키면 이상계의 상 하층부 부피비(Vt/Vb)가 다소 감소되면서 분획계수는 증가하였다. PPB농도를 $14{\sim}26%$로 증가시키면 이상계의 부피비는 1.5에서 0.39로 현저히 감소하면서 단백질의 분획계수는 ${\beta}-lactoglobalin$의 경우 74배, BSA 32배, ovalbumin 12배, lysozyme 5배로 크게 증가하였다.

  • PDF

대한민국 담수계의 클로로필a와 피코시아닌 정량화를 위한 분광알고리즘 최적화 연구 (Optimizing the bio-optical algorithm for quantifying Chlorophyll-a and Phycocyanin in inland water, Korea)

  • 표종철;;이혁;박용은;조경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1-101
    • /
    • 2017
  • 근래에 대한민국 담수계에 조류 대발생으로 인한 수질악화 문재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남조류종이 우점하는 현상으로인해 수질문제와더불에 생태계와 인간의 건강도 잠재적인 위험을 받고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조류 대발생으로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해 효과적인 수질관리가 필수적이다. 원격탐사기술은 조류의 공간적인 분포를 해석하고 농도를 정량화하기위해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많은 분광알고리즘들이 개발되어 담수유역에 적용이 되고 있다. 수체마다 다른 분광특성 때문에 알고리즘내의 파라미터 및 분광밴드 조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선 파라미터와 밴드의 변경에 따른 결과향상에만 초점이 맞춰지고 있어 분광알고리즘내의 파라미터와 분광밴드사이의 관계 이해 뿐만아니라 알고리즘 최종 산출물에 대한 영향에 관한 설명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선, 대한민국 백제보를 대상으로 현장모니터링 및 조류추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5가지 클로로필a 알고리즘과 2가지 피코시아닌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알고리즘내에서 변수들의 관계와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민감도 분석 조건을 기반으로 one-objective 최적화 및 multi-objective 최적화를 실시하여 백제보수계를 대표할 수 있는 최적 변수들을 모의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후방산란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와 조류 생체량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가 다른 변수들 및 알고리즘 농도산정결과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multi-objective 최적화 결과가 one-objective 결과 및 reference 결과보다 대부분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흡광도 계수를 함께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백제보 수계의 분광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대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감도 분석을 활용하여 분광알고리즘 내의 변수들의 이해를 도모하였고, 최적화 기법 중, multi-objective 최적화 기법이 백제보의 분광특성을 대변하는 최적변수를 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나은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진위천수계의 오염총량관리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mprovement Effect According to TMDL in Jinwi River Watershed)

  • 임지혁;공동수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55-360
    • /
    • 2021
  • 국내 물관리정책은 농도 중심의 물관리에서 부하량 관리 중심의 오염총량관리로 전환되면서 수질 및 수생태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오염원의 변화와 유량 변동 등으로 총량제 시행 이후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이 개선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려워 로그선형모델과 생물지표(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를 활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위천수계의 BOD와 T-P농도는 각각 30%, 35% 저감되어 수질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저서생물지수(BMI) 결과 D등급에서 E등급으로 악화되었다. 진위천수계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생태하천을 가꾸는 노력이 필요하다.

생태위해성 평가를 위한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 (Toxicokinetic and Toxicodynamic Models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 이종현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2호
    • /
    • pp.79-93
    • /
    • 2009
  • 오염물질에 대한 생태위해성평가(ecological risk assessment)를 위해서는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와 함께 생물영향에 대한 평가(effect assessment)를 수행해야 한다. 노출평가의 경우는 지화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농도를 예측하기 위한 화학평형모델이나 다매체환경거동모델 등 다양한 평가 및 예측모델을 활용해 왔다. 이와 달리 생물영향평가는 실험실 조건에서 제한된 독성자료를 대상으로 외부노출농도에 기반한 농도-반응관계를 통계적 방법을 통해서 추정하는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에 주로 의존해 왔다. 최근에 와서 생체 내 잔류량을 기반으로 농도-시간-반응관계를 기술하고 예측하는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toxicokinetic-toxicodynamic model)과 같은 독성작용에 기반한 모델(processbased model)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종류의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을 소개하고, 이를 통계적 추론에 기반한 전통적인 독성학 모델과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종류의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로부터 도출된 노출농도-시간 -반응관계식을 비교하고, 동일 독성기작을 보이는 오염물질 그룹 내에서 미측정 오염물질의 독성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활성관계(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QSAR) 모델을 여러 독성동태 및 독성역학모델로부터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실험계획을 제안하였고, 앞으로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을 생태계 위해성평가에 활용하기 위해서 해결해야 될 연구과제를 검토하였다.

잉어 (Cyprinus carpio)의 다중바이오마커를 이용한 Benzo[a]pyrene의 영향평가 (Effect Evaluation of Benzo[a]pyrene on Multiple Biomarkers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김우근;김자현;염동혁;이성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3호
    • /
    • pp.171-178
    • /
    • 2008
  • 수백여 종의 개별물질이 불완전 연소 혹은 유기물의 열분해로 인해 발생되는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s)는 환경에서 중요한 오염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수서생태계에 벤조피렌(benzo[a]pyrene)과 같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통합적 결과 모델을 도출하였다. 즉, 잉어(Cyprinus carpio)를 이용하여 여러 농도의 벤조피렌(3, 12, $34{\mu}g/L$, 측정농도 기준)에 10일간 노출시킨 다음, DNA single-strand break, e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acetylcholine esterase (AChE)와 vitellogenin (VTG)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벤조피렌은 잉어의 DNA 손상을 유도하였고, 낮은 농도에서 EROD와 VTC의 유의적인 활성을 보였으나, 신경전달물질과 관련이 깊은 AChE 효소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star plot를 이용하여 통합 및 분석하였으며, 노출농도에 따른 통합 반응지수(integrated biomarker response value: IBR)로 나타내었다. 이런 다양한 바이오마커의 결과들은 벤조피렌에 대한 어류의 영향과 수생태 모니터링 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며, 통합반응지수는 생태위해성평가에서 유용한 도구로 쓰일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뱀장어 유어(Anguilla anguilla)에 있어서 말라카이트 그린의 잔류성

  • Bergwerff, Aldert A.;Kuiper, Raoul V.;Scherpenisse, Peter
    • 한국양식
    • /
    • 제19권1호
    • /
    • pp.43-51
    • /
    • 2007
  • 말라카이트그린(MG) 및 L-말라카이트그린(LMG)의 소멸은 뱀장어 Anguilla anguilla 유생에서 100일정도 걸린다. 실뱀장어(평균체중: 4.1 g)가 $23.0-26.5^{\circ}C$의 다양한 수온범위에 24시간동안 아주 낮은 농도(0.1 mg/l MG)에 약욕을 실시하였다. 처리한 후 실뱀장어는 말라카이트그린이 없는 깨끗한 물이 들어 있는 수조로 옮겼다. 뱀장어가 수용된 수조에는 순환여과 된 사육수를 공급하였다.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10마리의 뱀장어 및 사육수의 샘플은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으로 분석하였다. 말라카이트그린의 가장 높은 농도는 $435{\pm}59\;{\mu}g/kg(mean{\pm}S.D.)$로서 처리시작 후 6시간에서 나타났다. L-말라카이트그린(LMG) 대사물의 농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100\;{\mu}g/kg$), 처리시작 후 6시간 및 처리종료 후 1500시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최대농도는 $831{\pm}231\;{\mu}g/kg$이었다. 비록 뱀장어는 체중이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노출 후 24시간 후에도 L-말라카이트그린(LMG)은 여전히 전어체 kg당 $15{\pm}12\;{\mu}g/kg$ 함량이 존재하였다. 말라카이트 그린은 처리 이후 1920 및 2400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생물적 여과사육수와 순환여과시스템에서는 말라카이트그린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부가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11개월 된 뱀장어 두 마리를 샘플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두 마리의 뱀장어는 실뱀장어기(0.3g)일 때 $0.15\;mg\;l^{-1}$ 농도의 말라카이트그린이 처리되었었다. 뱀장어의 근육조직에서는 지질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광도계분석에 의해 말라카이트그린과 L-말라카이트그린이 측정 가능한 양으로 함유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0.2\;{\mu}g\;kg^{-1}$).

  • PDF

염산에칭폐액으로부터 Alamine336에 의한 구리의 용매추출에 관한 연구 (Solvent Extraction for the Recovery of Copper from Hydrochloric Etching Solutions by Alamine336)

  • 안재우;염재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6권3호
    • /
    • pp.9-14
    • /
    • 1997
  • 염산계 에칭폐액으로부터 추출제로 Alamine336(Tri-n-octylamine)을 이용하여 용매추출법에 의해 구리를 회수하기 위한 연구를 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로는 염산농도 및 염소이온농도, 추출제의 농도, 유기상과 수용액상(폐액상)의 상비 등 구리이온의 추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하여 실험을 하엿는데, 이 실험결과 추출제의 농도 및 상비가 구리의 추출에 큰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수용액상의 염산 및 염소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구리의 추출률이 증가하였다. 한편 McCabe-Thiele diagram으로부터 구리성분의 연속추출공정에 필요한 이론적인 추출단수를 결정하였다. 유기상으로 추출된 구리성분은 탈거제로 물($H_2$O)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탈거가 가능하였고 탈거제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구리성분의 탈거율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