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놀이행위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아동의 독서 및 놀이 행태를 반영한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considering user behavior)

  • 송소라;반영환;정지홍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901-906
    • /
    • 2009
  • 어린이 도서관은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도서관 서비스의 수준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생활 친화적 문화기반 시설인 소규모 도서관(혹은 문고)시설이다. 즉 어린이 도서관은 접근성을 가장 큰 장점으로 하여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객중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여가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또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서가를 비롯한 입식. 좌식 테이블과 의자들은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가구의 새로운 쓰임을 발견하며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어린이만의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반조사 및 어린이 도서관 방문을 통한 정황조사(Contextual Inquiry)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생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과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행태를 관찰하여 Photo Based Research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 하였다.

  • PDF

유저 중심의 서사와 놀이에 의한 게임 구조에 대한 고찰 (A Study on Game Structure by User-Centered Narrative and Play)

  • 조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01-406
    • /
    • 2019
  • 최근 미디어 환경과 게임 제작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멀티 플랫폼 게임 환경이 일반화되면서 복합적인 융합 장르의 게임이 다수 제작되었고, 기존의 플랫폼에 의한 장르 구분은 그 경계가 모호해졌다. 게임 장르는 유저의 놀이적 참여로 인해 게임의 내용이 완성되는 유저 중심의 '서사와 놀이'라는 융합 콘텐츠이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에 대한 주체가 유저라는 본질적인 인식에 입각하여, 유저의 행위 유형에 따른 게임의 장르 구분을 제시하는 바이다. 유저의 행위는 각 장르마다 각기 다른 목표와 규칙체계 안에서 이루어지며, 이 때 상호작용은 게임 세계에 몰입하기 위한 중요한 행위가 된다. 그러므로 게임 장르별 유저의 행위 구분 및 인식은 게임 구조에 대한 파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며, 게임 설계 및 제작 방향을 제시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게임 구조의 재정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유아의 사회적언어 사용과 거친 신체놀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rough & tumble play and children's social language use)

  • 강영식;마지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25-6132
    • /
    • 2013
  • 본 연구목적은 사회적언어 사용과 거친 신체놀이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사회적언어를 활용하여 거친 신체놀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의 사회적언어 사용과 거친 신체놀이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사회적언어 사용은 거친 신체놀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충남 N시의 유아 90명이며 평균 78개월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거친 신체놀이 전체는 사회적언어의 하위영역인 제안, 평가, 주의집중, 차례지정, 경고, 명령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다만 달리기와 거부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중 유아의 도망가기 놀이에는 경고, 명령의 사회적언어, 놀리기는 평가, 명령의 사회적언어, 밀고 당기기의 놀이는 명령, 승낙, 추정의 사회적언어가 정적영향력이 있었으며 행위요구는 부적영향이 나타났다. 치기 찌르기의 놀이는 개인적 요망, 주장과 정적영향, 넘어지기는 제안, 명령이 정적영향이 있었으며 거부는 부적영향이 나타났다. 잡기는 제안, 주의집중이 정적영향이 나타났으며 행위요구는 부적영향이 나타났다. 달려들기는 경고가 정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거부는 부적영향이 나타났다. 몰래다가가 놀래키기는 예절표시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거친 신체놀이를 위해서는 사회적언어 사용 전략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어린이집 실내놀이 영역 계획을 위한 유아의 놀이행위 관찰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대상으로- (Observation Research on Preschoolers' Play Behavior for the Design Plan for the Indoor Play Area of Day Care Centers - Focusing on Preschoolers of Day Care Centers between Korea and US -)

  • 장상옥;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14-223
    • /
    • 2010
  • As the population of preschooler increases with the increment of employed women toda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reschooler as well as home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 suitable and desirable day-care environment for preschoolers, the using behavior of the preschoolers, who are the main user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cial design. In this research, play preference area of Korea and United States which have different physical environments are analyzed. Child behavior observation analysis technique, interview with the teacher in charge, floor plan and furniture arrangement plan of the day-care centers and photography were performed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63 preschoolers of 50 months old who are using Korean and American day-care centers and play of five minutes per preschooler was filmed for 3 days. Total 01 189 motion pictur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As a result, the physical environment, programs, preference area and finally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were clarified for each countries' day-care center. The Korean preschoolers preferred the block area most, the second most favorite area being art for the younger class and language for older class. According to the gender, girls preferred language area while boys chose block area. On the other hand in American preschoolers' case, due to the large variety of play area, the play preference was distributed among various area except several high preference area. Based on this research, when designing indoor play area of day care centers, the area of block, language, and art which are popular play pre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firsthand, and gender preference is also needed to be thought of.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planning the day care center play area in the future.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및 사용자 행태정보 모델링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and user behavior modeling)

  • 송소라;반영환;정지홍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38
    • /
    • 2008
  •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따라서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로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책상과 의자는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 PDF

놀이를 소재로 한 그림책에 대한 성인 독자의 반응 (Adult Readers' Responses to Picturebooks Portraying Play)

  • 현은자;이지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03-614
    • /
    • 2021
  • 본 연구는 인간 발달의 서사 모델에 따라 그림책 읽기가 성인 독자에게 자신의 어린 시절 놀이 경험을 회상하는 데 도움을 주는지, 그렇다면 회상된 놀이의 유형과 내용은 어떠한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성인 독자에게 놀이를 소재로 한 그림책을 제시하고 그림책을 읽기 전후로 회상한 놀이경험과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읽기 전에 성인들이 회상한 놀이는 주로 '규칙이 있는 게임'이었으며 야외에서 이루어진 동적인 놀이였다. 그러나 그림책을 읽은 후 대부분의 성인 독자들은 읽기 전과는 유형이 다른 유년기의 놀이를 회상하였다. 둘째, 놀이를 소재로 한 그림책을 읽기 전 성인들은 여러 놀이를 파편화된 상태로 회상하거나 한 개의 놀이 행위의 명칭만을 회상하였다. 그러나 그림책을 읽고 난 후의 놀이 회상에서는 서사의 요소인 등장인물, 배경, 플롯이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자들은 놀이를 소재로 한 그림책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정서적 반응 또는 미학적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이 유아부터 노인까지 전 연령이 향유할 수 있는 예술 장르이자 도서임을 확인하며 성인 독자가 유년기를 회상하며 자신을 재발견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매체임을 시사한다.

행위서사로서의 게임스토리텔링의 본질 (The Nature of Gamestorytelling as Action-Narrative)

  • 길태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1-4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플레이어의 행위의 관점에서 게임스토리텔링을 분석함으로써 행위서사로써의 게임스토리텔링의 본질에 대해 고찰하였다. 게임스토리텔링은 제작자에 의해 제공된 스토리 요소에 플레이어의 행위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으로써 소설, 영화 등의 서사물과 같은 보여주기나 말하기를 통한 표현이나 제시 중심인 서사물이 아니라 체험 중심적인 서사물이다. 곧, 게임스토리텔링은 플레이어의 행위적 참여를 통한 스토리 형성, '행위서사'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행위서사의 전통은 신화와 놀이에서 찾을 수 있다.

창의적 놀이 공간 구축을 위한 디자인 선호 요소 분석 (Analysis on Preferred Element on Constructing Creative Play Space Design)

  • 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89-396
    • /
    • 2020
  •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창의적인 놀이 행위를 위해 특정한 물리적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에 대해서 디자인하기 위한 필요 요소에 대해 조사하고, 주변 공간과 그 환경에 그 결과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놀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한 선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 AHP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양한 국내외의 놀이 공간 디자인의 사례 조사를 통해서 주요한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각 키워드를 그룹핑하고 상위 개념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최종 도출된 14가지의 키워드를 AHP를 활용하여 각 요소별 쌍대 비교한 결과를 통해서 놀이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선호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 공간의 형태적 속성에서는 "개방성", "안전성", "다양성" 등의 순서로 선호도가 도출되었으며, 놀이 공간의 콘텐츠적 속성에서는 "모험성", "오감 요소", "시각 요소", "상호작용성" 등의 순서로 선호도가 도출되었다.

아날로그 경험 중심의 디지털 기기 개발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멀티미디어 휴대폰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action design of digital device for analog-based experience -Focused on multimedia mobile phone-)

  • 성원규;양승무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90-295
    • /
    • 2006
  • 지금까지 디지털 기기의 진화 과정을 볼 때 오직 기능적 발전만이 추구되고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방식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부재하였다. 때문에 디지털 기기가 갖고 있는 버튼 위주의 획일적 사용방식은 사용자보다는 기기 중심의 디자인이 우선시되는 사회적 병리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반면 오랜 기간 인간이 다루어 온 전통적인 아날로그 도구들은 작업의 특성과 작업자의 상황에 맞도록 다양한 사용성을 고려하며 진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아날로그적 경험을 디지털 기기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시켜 보다 인간 중심적인 디지털 도구를 제안 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표는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대표적 디지털 기기인 휴대폰에 아날로그 경험을 접목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도구들과 같이 디지털 기기의 자연스러운 인터랙션 스타일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정된 디바이스로 다양한 기능들을 조작해야 하는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아날로그 경험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기호와 조합으로 이루어진 카드놀이 메타포에서 그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포로 제시한 카드놀이를 하며 일어나는 행위와 경험을 멀티미디어 휴대폰에 접목시켜 새로운 사용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뉴 선택의 경우 카드를 펼쳐 원하는 카드를 뽑으면 되는데 아래로 펼치면 그 카드의 수직 메뉴가, 옆으로 펼치면 그 카드의 수평 메뉴가 나타난다. 또 메뉴 안의 내용을 찾을 때는 카드를 뒤로 넘겨서 보게 되고 자신만의 개인적인 내용을 보고자 할 때는 카드를 은밀히 보는 듯한 행위를 취하면 된다. 즉 멀티미디어 폰 안의 내용뿐 아니라 사용하는 행위 자체도 하나의 즐거움이 되도록 카드놀이 경험을 새로운 인터랙션 스타일로 개발하여 그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PDF

기본환경에서의 그림자 놀이 도구 연구 (An Emotional-Shadow Playing Tool for Casual Environment)

  • 임양미;황지연;박진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13-5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특별한 스튜디오 조명이 아닌 가정용 혹은 학교용 조명 하에서 동작하는 감정 표현이 가능한 그림자 놀이 도구를 소개한다. 이 놀이는 사용자의 실사로부터 추출된 가상 그림자에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가상 표정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투영한다. 이 놀이 도구는 행위전시 등의 공연 환경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등의 일상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조명의 하나인 가정용 형광등과 백열등 환경을 가정하였고, 배경에 대해서는 어떤 제약도 가정하지 않았다. 사용자의 실사를 구분하는 과정에는 배경 차분화 기법을 사용하였고, 빛의 산란 및 실제 그림자의 영향 등으로 인한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몇 가지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적용하였다. 이 도구에서 가상 그림자의 표정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변화하며, 손동작 및 머리 위치의 추적을 위해 새로이 고안한 자질 기반 추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도구는 공연장에서의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 또는 공연, 아동 대상의 미술 교육,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