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놀이행위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considering user behavior (아동의 독서 및 놀이 행태를 반영한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 Song, So-Ra;Pan, Young-Hwan;Jeong, Ji-H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01-906
    • /
    • 2009
  • 어린이 도서관은 일상생활 가까이에서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도서관 서비스의 수준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생활 친화적 문화기반 시설인 소규모 도서관(혹은 문고)시설이다. 즉 어린이 도서관은 접근성을 가장 큰 장점으로 하여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고객중심의 공공도서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여가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또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서가를 비롯한 입식. 좌식 테이블과 의자들은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가구의 새로운 쓰임을 발견하며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어린이만의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반조사 및 어린이 도서관 방문을 통한 정황조사(Contextual Inquiry)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생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과 독서 및 놀이 행위 시 행태를 관찰하여 Photo Based Research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 하였다.

  • PDF

A Study on Game Structure by User-Centered Narrative and Play (유저 중심의 서사와 놀이에 의한 게임 구조에 대한 고찰)

  • CHO, Il-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8
    • /
    • pp.401-406
    • /
    • 2019
  • Recently, as multi-platform game environments become common, many games of convergence genre have been produced, and the boundaries of genre division by existing platforms have become blurred. The game genre is convergence content consisting of user-centered 'narrative and play'. In this paper, we propose a game genr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user 's behavior type based on the essential recognition that the subject of the game is the user. The user's actions are done in different genres and goals and rules, and the interaction is an important act for immersion. Therefore, the user's behavioral classification and perception by the game genre are important and expected to help redefine the game structure.

The relationships of rough & tumble play and children's social language use (유아의 사회적언어 사용과 거친 신체놀이의 관계)

  • Kang, Young-Sik;Ma, Ji-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2
    • /
    • pp.6125-6132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rough and tumble play and children's social language use. The subjects were 90 children in a nursery school in N c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ough and tumble play, and the children's social language use. Second, the children's social language use' sub valuables had an effect on rough and tumble play. In particular, 'demand of action' has negative effects on the 'pull and push', and 'catch'. Furthermore, 'rejection' has negative effects on 'collapse' and 'rush'. This suggests that a rough and tumble play program can be developed to enhance the children's social language use.

Observation Research on Preschoolers' Play Behavior for the Design Plan for the Indoor Play Area of Day Care Centers - Focusing on Preschoolers of Day Care Centers between Korea and US - (어린이집 실내놀이 영역 계획을 위한 유아의 놀이행위 관찰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대상으로-)

  • Jang, Sang-Ock;Shin, Kyung-Joo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9 no.6
    • /
    • pp.214-223
    • /
    • 2010
  • As the population of preschooler increases with the increment of employed women toda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reschooler as well as home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 suitable and desirable day-care environment for preschoolers, the using behavior of the preschoolers, who are the main user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cial design. In this research, play preference area of Korea and United States which have different physical environments are analyzed. Child behavior observation analysis technique, interview with the teacher in charge, floor plan and furniture arrangement plan of the day-care centers and photography were performed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63 preschoolers of 50 months old who are using Korean and American day-care centers and play of five minutes per preschooler was filmed for 3 days. Total 01 189 motion pictur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As a result, the physical environment, programs, preference area and finally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were clarified for each countries' day-care center. The Korean preschoolers preferred the block area most, the second most favorite area being art for the younger class and language for older class. According to the gender, girls preferred language area while boys chose block area. On the other hand in American preschoolers' case, due to the large variety of play area, the play preference was distributed among various area except several high preference area. Based on this research, when designing indoor play area of day care centers, the area of block, language, and art which are popular play pre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firsthand, and gender preference is also needed to be thought of.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planning the day care center play area in the future.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and user behavior modeling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및 사용자 행태정보 모델링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 Song, So-Ra;Pan, Young-Hwan;Jeong, Ji-Hong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3 no.1
    • /
    • pp.33-38
    • /
    • 2008
  • The major users of children's library are children and housewives. Recent increasing frequency of their visit to the library expands the function of it from the place where they borrow and read books further to the cultural space where each family unit can enjoy leisure activities. Though the children's library basically is a quiet place for reading books, peers' establishing friendship and emotional bond with the parents, and such plays as small scale muscular movements take place in addition to reading activities because the major users are infants under six or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us, in order to study the features and requirements that are inherent in the various behaviors of the children who use furniture, 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r factor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hildren's library and the user context must precede. In reality, though the fixed form of the desks and chairs in the library was made by a small number of designers, a large number of children are using them in tremendously various ways beyond the ways that the designers had intended, adapting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al contex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ildren's using way of seats when they do reading and playing activities based on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nd, after modeling of the children's behavior data, to understand the demands inherent inside the various behaviors of children who use furniture.

  • PDF

Adult Readers' Responses to Picturebooks Portraying Play (놀이를 소재로 한 그림책에 대한 성인 독자의 반응)

  • Hyun, Eunja;Lee, Ji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4
    • /
    • pp.603-61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reading picturebooks portraying children's play assists adult readers to recall their childhood play memories according to the narrative model of human development. In this study, adult readers recalled their play memories before and after reading a picturebook depicting children's play. Adult readers' responses to the picturebooks were also collected. The types of play from their memories were categorized and the respons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before reading picturebooks portraying children's play, the type of play that adult readers mostly recalled was games with rules which happened outdoor. Second, after reading a picturebook, adult readers recalled new play memories which contained more detailed elements of narratives. Third, most adult readers responded to picturebooks either emotionally or aesthetically. This study suggests the perspective on picturebooks as a literature and art genre for readers from birth to death. In addition, as an evocative object, a picturebooks could assist adult readers to recall and rediscover their childhood.

The Nature of Gamestorytelling as Action-Narrative (행위서사로서의 게임스토리텔링의 본질)

  • Kihl, Tae-Su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3
    • /
    • pp.31-42
    • /
    • 2011
  • This article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gamestorytelling as action-narrative through analyzing player acting in game context. Gamestorytelling is a narrative product which makes up of acting by players with story elements by producers, in a different such as novels, movies that express of showing and telling. The tradition of action-narrative can be found in myth and play.

Analysis on Preferred Element on Constructing Creative Play Space Design (창의적 놀이 공간 구축을 위한 디자인 선호 요소 분석)

  • Han, Hyun-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0
    • /
    • pp.389-39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perspectives that children can provide by utilizing specific physical spaces for play, and to study how to effectively apply them to surrounding spaces and environments. AHP was used to analyze the preferred elements for effectively designing a play area. The main keywords were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play space designs, and each keyword was grouped and a keyword of a higher concept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14 keywords that were finally drawn using AHP for each element were used to derive the priority for the preferred elements. As a result, preference was derived in the order of "Openness", "Safety", and "Diversity" in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play space, and "Adventure", "Five senses elements", "Visual elements" and "Interactivity" in the content properties of the play space.

A study on interaction design of digital device for analog-based experience -Focused on multimedia mobile phone- (아날로그 경험 중심의 디지털 기기 개발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멀티미디어 휴대폰을 중심으로-)

  • Sung, Won-Kyu;Yang, Seung-M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90-295
    • /
    • 2006
  • 지금까지 디지털 기기의 진화 과정을 볼 때 오직 기능적 발전만이 추구되고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방식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부재하였다. 때문에 디지털 기기가 갖고 있는 버튼 위주의 획일적 사용방식은 사용자보다는 기기 중심의 디자인이 우선시되는 사회적 병리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반면 오랜 기간 인간이 다루어 온 전통적인 아날로그 도구들은 작업의 특성과 작업자의 상황에 맞도록 다양한 사용성을 고려하며 진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아날로그적 경험을 디지털 기기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시켜 보다 인간 중심적인 디지털 도구를 제안 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표는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대표적 디지털 기기인 휴대폰에 아날로그 경험을 접목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도구들과 같이 디지털 기기의 자연스러운 인터랙션 스타일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정된 디바이스로 다양한 기능들을 조작해야 하는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아날로그 경험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기호와 조합으로 이루어진 카드놀이 메타포에서 그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포로 제시한 카드놀이를 하며 일어나는 행위와 경험을 멀티미디어 휴대폰에 접목시켜 새로운 사용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뉴 선택의 경우 카드를 펼쳐 원하는 카드를 뽑으면 되는데 아래로 펼치면 그 카드의 수직 메뉴가, 옆으로 펼치면 그 카드의 수평 메뉴가 나타난다. 또 메뉴 안의 내용을 찾을 때는 카드를 뒤로 넘겨서 보게 되고 자신만의 개인적인 내용을 보고자 할 때는 카드를 은밀히 보는 듯한 행위를 취하면 된다. 즉 멀티미디어 폰 안의 내용뿐 아니라 사용하는 행위 자체도 하나의 즐거움이 되도록 카드놀이 경험을 새로운 인터랙션 스타일로 개발하여 그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PDF

An Emotional-Shadow Playing Tool for Casual Environment (기본환경에서의 그림자 놀이 도구 연구)

  • Lim, Yang-Mi;Hwang, Ji-Yeon;Park, Jin-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513-51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특별한 스튜디오 조명이 아닌 가정용 혹은 학교용 조명 하에서 동작하는 감정 표현이 가능한 그림자 놀이 도구를 소개한다. 이 놀이는 사용자의 실사로부터 추출된 가상 그림자에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가상 표정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투영한다. 이 놀이 도구는 행위전시 등의 공연 환경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등의 일상 환경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조명의 하나인 가정용 형광등과 백열등 환경을 가정하였고, 배경에 대해서는 어떤 제약도 가정하지 않았다. 사용자의 실사를 구분하는 과정에는 배경 차분화 기법을 사용하였고, 빛의 산란 및 실제 그림자의 영향 등으로 인한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몇 가지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적용하였다. 이 도구에서 가상 그림자의 표정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변화하며, 손동작 및 머리 위치의 추적을 위해 새로이 고안한 자질 기반 추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도구는 공연장에서의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 또는 공연, 아동 대상의 미술 교육,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