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놀이주도성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Activities on Children's initiativeness)

  • 최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1-238
    • /
    • 2011
  • 본 연구는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 만5세 두 학급의 유아 34명이었다. 실험을 하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에게 주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도성은 정서능력, 의사소통, 성취동기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연극놀이 활동은 실험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비교집단에는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표준 보육과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에는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극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에 비해 주도성의 하위 영역인 정서능력, 의사소통, 성취동기 등 하위 요소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Playfulness, Leadership and Communicative Ability)

  • 고윤지;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5-18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play behaviors in terms of their levels of playfulness, leadership and communicative ability. The subjects were 152 children aged between 3 and 4, and their 20 teachers at 10 child 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lay behaviors were related to the level of playfulness, leadership and communicative ability in 3 and 4 years old children. Among these children, those who scored highly in terms of their playfulness, leadership and communicative ability were involved more frequently in both 'group play' and 'symbolic play' whereas those who achieved lower scores were more frequently involved in 'solitary play' and 'functional play'. However, in case of 'constructive play', significant results were not found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named in this study. 'Parallel play' and 'games with rules' were the only categories within which the findings revealed that children's play behaviors have shown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and to the levels of thos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mentioned above.

3D캐릭터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가상놀이공간 구축 (Constructing an Interactive Virtual Amusement Land along with 3D characters)

  • 김보경;조은경;진성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11-116
    • /
    • 2003
  • 초고속통신망의 확대와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가상공간상의 교육, 오락, 문화 등 콘텐츠의 다양성 및 효율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대부분 가상공간상의 놀이공원은 2차원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2차원적인 구조는 사용자들이 놀이공원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아야 하며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엔터테인먼트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은 인터페이스 구조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적인 인터페이스와 3D 아바타가 주도하는 가상놀이공간을 구축한다.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생동감 있는 web3D 기반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개발한다.

  • PDF

은유(metaphor)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 김혜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57-362
    • /
    • 2023
  •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놀이중심교육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놀이중심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4년제 및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들로 최종 18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놀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 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적 표현 범주에서 교수학습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환경, 즐거움·행복, 자율, 성장발달, 상호작용관계, 유아주도, 삶의 본, 흥미, 창의성, 잠재력, 가변성, 일상, 시작과 끝의 모호성, 자연스러움, 기타 순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중심교육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비유아교사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것이다.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 김정겸;신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3-181
    • /
    • 2014
  •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유아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2회 7주간 전래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조성, 사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보다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충동억제력, 낙관성, 문제해결력, 공감능력, 자기 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만 5세 유아의 로봇 놀이 경험의 의미연구: 자유놀이와 구조적 집단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Robot Play Experience of 5-Year-Old Children: Focused on free play and structured group activities)

  • 이효주;남기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1-48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5세 유아의 자유놀이시간 로봇 놀이 경험의 의미를 교사의 구조적 집단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5세 유아 경험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총 32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7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주 3회 1시간씩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교실에 놀잇감으로 로봇을 지원하였으며, 유아들은 자유놀이시간에 자유롭게 로봇 탐색과 놀이를 경험하였으며,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로봇의 기능을 알려주고 로봇에 탑재되어 있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연계된 월별 주제에 기반한 구조적 집단활동을 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유놀이에서 로봇 활용이 유아의 창의성에서 독창성, 유창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놀이성에서 즐거움의 표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주도적인 자유놀이를 지향하고 있는 유아교육에서 놀이자료로서 로봇이 의미가 있으며 향후 이러한 자유로운 상황에서의 유아들의 로봇 경험을 연구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모 놀이참여와 유아의 친화적 놀이주도성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lay Flow)

  • 변수영;임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7-5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affect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children's play flow.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76 children between the age of 3 and 5 their parents in Daegu city and Gyeonsan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children's play flow, and execu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and family income. Second,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children's play flow.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how children's play affects executive functio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various programs that can promote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and play flow, which affect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on Peer Competency and Self-Regulation)

  • 최태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85-193
    • /
    • 2019
  • 유아들은 또래와의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사회 및 정서발달을 촉진한다. 본 연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G구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27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참기, 기다리기, 순응의 자기조절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인 변인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유치원에서는 원내 및 실외에서 유아들이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정보보호 학습을 위한 롤-플레이 기반 문제중심학습 (A Role-play base PBL(Problem-Based Learning) for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 이병록;지홍일;신동화;조용환;이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85-92
    • /
    • 2006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은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구성주의 모델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학습하기 위하여 캐릭터를 이용한 역할놀이 기반 PBL을 제안하였다. 역할놀이 기반 PBL은 학습자의 특성, 학습과제의 특성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다른 PBL 모델과 차별화된다. 또한 인터넷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주체가 되어 학습하는 학습지원 시스템이다. 실험결과 제안 방법이 정보보호에 대한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수업 방식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 협동학습, 콘텐츠 메이킹, 몰입성에서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아동 놀이성향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ildren's Play Disposition Scale)

  • 성지현;변혜원;남지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06-62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이 양식 및 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아동 놀이성향 척도(CPD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으로, 만 5-7세 아동(월령 범위 51~106개월)의 부모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다중지능이론과 관련 척도를 검토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를 통해 문항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확인받은 뒤, 문항들은 탐색적 요인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6요인의 2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6요인은 각각 주도성, 언어성, 탐구성, 예술성, 운동성, 감수성이다.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CPDS의 각 요인과 유아용/초등용 다중 지능 체크리스트의 하위 요인 및 총점간의 관계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CPDS 각 요인의 신뢰도 범위는 .53~.79이다. 본 척도는 아동의 발달적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아동 발달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아동의 놀이 콘텐츠 제공과 놀이방법 등을 적절하게 지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