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lay Flow

부모 놀이참여와 유아의 친화적 놀이주도성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변수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여성가족본부) ;
  • 임지영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아동가족학,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22.09.26
  • Accepted : 2022.11.30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affect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children's play flow.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76 children between the age of 3 and 5 their parents in Daegu city and Gyeonsan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children's play flow, and execu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and family income. Second,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children's play flow.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how children's play affects executive functio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various programs that can promote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and play flow, which affect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숙, 방은령 (2014).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443-467.
  2. 강명화, 한진주 (2017).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하는 놀이의 의미: 어머니의 관점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1(4), 541-563. https://doi.org/10.21459/kccr.2017.21.4.541
  3. 강유진 (2013).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윤지, 김명순 (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한국아동학회, 34(1), 175-189. https://doi.org/10.5723/KJCS.2013.34.1.175
  5. 공영숙 (2012).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실행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공영숙, 임지영 (2013). 유아의 기질과 실행기능이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Latzman의 문제행동 이론 검증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2(4), 5-24.
  7.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8. 권두리 (2021). 유아기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EEF)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계수 (2010). AMOS 18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10. 김나래, 최미숙 (2022). 유아 놀이몰입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7(5), 195-218. http://doi.org/10.20437/KOAECE27-5-08
  11.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12. 김정운 (2006). 노는만큼 성공한다. 21세기북스.
  13. 김진경 (2020). 놀이를 통한 실행기능 증진과 놀이몰입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나은숙 (2013). 유아 놀이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589-608.
  15. 나은숙, 한수정 (2011).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1), 59-78.
  16. 노윤미 (2006).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 및 놀이참여와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류희정, 이진희 (2013). 유아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8(2), 47-64. https://doi.org/10.16978/ecec.2013.8.2.003
  18. 박진희 (2019). 방과후 놀이유치원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도성과 놀이몰입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 1103-1122.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4.1103
  19. 박형신, 김정주 (2017). 아버지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유아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8(5), 501-522. https://doi.org/10.22143/HSS21.8.5.28
  20. 변혜원 (2017). 유아의 억제통제 및 기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CLASS)이 또래주도성에 미치는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변혜원, 성지현 (2017). 유아의 또래주도성 척도 개발 및 내적 구조 탐색. 한국심리학회지:발달, 30(3), 1-24.
  22. 신유림 (1995). 유아의 상상놀이에서 주도적, 추종적 놀이스타일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2), 23-36.
  23. 안미현, 김정미 (2017). 유아의 놀이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213-228. https://doi.org/10.22155/JFECE.24.4.213.228
  24. 안서희, 정윤경 (2019). 놀이 상황에서 어머니의 인지적.정서적 지지와 유아의 인지적 유연성 간의관계: 흥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3), 99-119. https://doi.org/10.35574/KJDP.2019.09.32.3.99
  25. 안소영, 최윤정 (2009). 놀이중심 유아교육: 유치원에서 하루 종일 놀이에 몰입 하도록 지원하기. 아동과 권리, 13(4), 555-577.
  26.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7. 원희영 (1997).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8. 이봉주, 김선숙, 김낭희 (2010).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1, 107-140.
  29. 이선경, 심성경 (2016).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의 놀이몰입 및 자기효능감. 육아지원연구, 11(3), 5-28. https://doi.org/10.16978/ecec.2016.11.3.001
  30. 이소연, 위영희, 유재령, 정윤주, 이영애, 김리진 (2018). 영유아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척도 타당화연구. 놀이치료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21(4), 491-507. https://doi.org/10.17641/KAPT.21.4.4
  31. 이숙재 (1984).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이유미, 신나리 (2019). 유아의 또래주도성이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5), 69-86.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5.069
  33. 이윤아, 이완정 (2015).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135-151. http://doi.org/10.14698/jkcce.2015.11.135
  34. 이윤정, 공영숙, 임지영 (2014). 부.모의 양육행동의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2(1), 13-26.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3
  35. 이지연, 곽금주 (2008).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151-165.
  36. 이채호, 최인수 (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3-37.
  37. 장수진 (2008). 유아의 기질, 인지능력, 실행기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8. 정은진 (2019). 유아의 실행기능과 수학이야기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37-55.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1.037
  39. 조다연, 성지현 (2020). 유아의 실행기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41(4), 61-73. https://doi.org/10.5723/kjcs.2020.41.4.61
  40. 차미숙 (2018). 유아의 실행기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학교준비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차미숙, 김광웅 (2018).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115-138.
  42. 차유미, 이진희 (2016). 어머니들이 구성한 유아 바깥놀이의 의미: 안전과 위험부담 딜레마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8(1), 15-35.
  43. 최남정, 오정희 (2010).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몰입과 미적경험-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1), 173-196.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1.007
  44. 최미숙, 황윤세 (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45. 최유석 (2018). 부모의 놀이참여 및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최은정, 김은향 (2019). 가족상호작용, 부모-자녀상호작용,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1-21. https://doi.org/10.20437/KOAECE24-2-01
  47. 최태산, 조미정 (2009). 아동의 놀이성 관련 연구 경향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1994년~2008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4), 75-96.
  48. 홍윤정 (2017).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석사학위논문.
  49. 홍현명, 권혜진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참여가 놀이신념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11(3), 145-165. https://doi.org/10.34226/gcl.2021.11.3.145
  50. 황윤세 (2022). 유아의 실행기능과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놀이주도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2(4), 349-364. https://doi.org/10.18023/kjece.2022.42.4.014
  51. 황혜련, 송현주 (2013). 아동기 실행기능과 부모양육태도. 재활심리연구, 20(2), 149-167.
  52. Barnett, R. C., & Baruch, G. K. (1988). Correlate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In P. Bronstein & C. P. Cowan (Eds.), Fatherhood today: Men's changing role in the family (pp. 66-78). Wiley.
  53. Black, B. (1992). Negotiating social pretend play: Communication differences related to social status and sex. Merrill-Palmer Quarterly, 38(2), 212-232.
  54. Brown, S., & Vaughan, C. (2010).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윤미나 옮김). 흐름출판. (원판 2009)
  55. Carlson, S. M., & Wang, T. S. (2007). Inhibitory 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Cognitive Development, 22(4), 489-510. https://doi.org/10.1016/j.cogdev.2007.08.002
  56. Cemore, J. J., & Herwig, J. E. (2005). Delay of gratification and make-believe play of preschooler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9(3), 251-266. https://doi.org/10.1080/02568540509595069
  57. Coolidge, F. L., Thede, L. L., & Young, S. E. (2000). Heritability and the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behavioral disorders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17(3), 273-287. https://doi.org/10.1207/S15326942DN1703_1
  58.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Capricorn Book, G. P. Putnam's Son.
  59. Diamond, A., & Taylor, C. (1996). Development of an aspect of executive control: Development of the abilities to remember what I said and to "Do as I say, not as I do.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315-334. https://doi.org/10.1002/(SICI)1098-2302(199605)29:4<315::AIDDEV2>3.0.CO;2-T
  60. Fein, G. G., & Fryer, M. G. (1995). Maternal contributions to early symbolic play competence. Developmental Review, 15(4), 367-381. https://doi.org/10.1006/drev.1995.1014
  61. Gioia, G. A., Isquith, P. K., & Guy, S. C. (2001).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In R. J. Simeonsson & S. L. Rosenthal (Eds.),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Assessmen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ronic conditions (pp. 317-356). The Guilford Press.
  62. Golub, T. L., Rijavec, M., & Olcar, D.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functions and flow in learning. Studia Psychologica, 58(1), 47-58. https://doi.org/10.21909/sp.2016.01.706
  63. Goncu, A. (1993). Development of inter-subjectivity in the dyadic play of preschool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99-116.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100-0
  64. Goncu, A., & Kessel, F. (1984). Children's play: A contextual functional perspective.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84(25), 5-22. https://doi.org/10.1002/cd.23219842503
  65. Hughes, C. (1998).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Links with theory of mind and verbal ability.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233-253.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8.tb00921.x
  66. Hughes, F. P. (1995).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Allyn and Bacon.
  67. Kelly, R., Dissanayake, C., Ihsen, E., & Hammond, S.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play and executive function in young children.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6(2), 21-27. https://doi.org/10.1177/183693911103600204
  68.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Rupiper, M. L., & Gregory, K. M. (2015).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교문사.(원판 2015)
  69. Lamb, M. E. (1986). The Father's Role: Applied Perspectives. Wiley.
  70. MacKinnon, D. P., Krull, J. L., & Lockwood, C. M. (2000).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 Prevention Science, 1(4), 173-181. https://doi.org/10.1023/A:1026595011371
  71.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5). Predic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ention, memory, and planning in first graders from experiences at home, child care, and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41(1), 99-114. https://doi.org/ 10.1037/0012-1649.41.1.99
  72. Nilsen, E. S., Huyder, V., McAuley, T., & Liebermann, D. (2017). 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 A parent-report measure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ing skills. Psychological Assessment, 29(1), 50-64. https://doi.org/10.1037/pas0000308
  73. Russell, A., & Saebel, J. (1997). Mother-son, mother-daughter, father-son, father-daughter: Are they distinct relationships?. Developmental Review, 17(2), 111-147. https://doi.org/10.1006/drev.1997.0456
  74. Schwartzman, H. (1978). Transformations : The anthropology of children's play. Plenum press.
  75. Segal, M., & Adcock, D. (1981). Just pretending: Ways to help children grow through imaginative play. Englewood Cliffs, Prentice Press.
  76.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77. Smilansky, S. & Shefataya. (1990). Facilitating play:. A medium for promoting cognitive, socio-emotional and academic developmental in young children. Psychosocial and Educational Publish.
  78. Sokol, B., Muller, U., Carpendale, J.. Young, A., & Iarocci, G. (2010). Self-and social-regulation:Social inter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interaction, social understanding and executive fun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79. Stevenson, M. B., Leavitt, L. A., Thompson, R. H., & Roach, M. A. (1988). A social relations model analysis of parent and chil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24(1), 101-108. https://doi.org/10.1037/0012-1649.24.1.101
  80. Toub, T. S. (2012). What Good is Pretending? Adding a Pretense Context to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Publication No. 3552865)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oQuest Dissertation and Theses Global.
  81. Towe-Goodman, N. R., Willoughby, M., Blair, C., Gustafsson, H. C., MillsKoonce, W. R., & Cox, M. J. (2014). Fathers' sensitive parenting an d the development of early executive function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8(6), 867-876. https://doi.org/ 10.1037/a0038128
  82. Trawick-Smith, J. (1988). "Let's say you're the baby, OK?" Play leadership and follow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43(5), 51-59.
  83. Welsh, M. C., Pennington, B. F., & Groisser, D. B. (1991). A normative developmental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 window on prefrontal function i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2), 131-149. https://doi.org/10.1080/87565649109540483
  84.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Sage.
  85. Zelazo, P. D., Carter, A., Reznick, J. S., & Frye, D. (1997). Early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A problem-solving framework.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2), 198-226. https://doi.org/10.1037/1089-2680.1.2.198
  86. Zelazo, P. D., Muller, U., Frye, D., Marcovitch, S., Argitis, G., Boseovski, J., & Carlson, S. M. (2003).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8(3), i-151. https://doi.org/10.1111/j.0037-976x.2003.0026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