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놀이성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8초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Free Play in Fores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ality)

  • 부은순;오창홍;정동욱;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855-48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숲에서 유아들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시 H 유치원의 만 4세 유아 24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매회 2시간씩 자신들의 흥미와 요구에 따라 자발적으로 숲에서의 자유놀이를 하였다. 이 자유놀이는 매주 2회씩, 총 12주에 걸쳐 수행되었다. 숲에서의 자유놀이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후검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에서의 자유놀이활동은 유아의 사회성을 향상시켰다. 둘째, 숲에서의 자유놀이활동은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협동성, 조망수용능력, 자율성, 그리고 상호작용 모두에 유의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숲은 유아들 스스로 다양하고 새로운 놀이를 만들 수 있는 풍부한 자연물을 제공하며, 숲에서의 이러한 놀이활동은 유아들 상호간에 활발한 교류를 통해 원만한 친구관계를 형성하게 할뿐만 아니라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병원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 미치는 펀 리더십과 근로자 놀이성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 of Playfulness and Fun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Hospital Employees)

  • 박희태;배성윤;지재훈;이기효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5-39
    • /
    • 2011
  • 본 연구는 병원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 미치는 펀 리더십과 근로자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병원조직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부산지역 2개 병원에 근무하는 근로자(의사 제외)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207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설문 문항에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특성, 펀 리더십, 근로자 놀이성, 소진 등을 측정하는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조절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펀 리더십은 직접 효과는 물론 조절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근로자 놀이성은 소진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변수임과 동시에, 낮은 유의수준(p=0.053)에서지만 직무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진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병원 근로자의 업무 수행과 관련해 비교적 관심을 받지 못했던 펀 리더십이나 근로자 놀이성 등과 같은 성격적 특성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유효한 조절변수가 될 수 있음을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다만 후속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디어 콘텐츠와 아동의 놀이: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을 중심으로 (Media Content and Children's Play: Focused on Carrie And Toys)

  • 고유미;김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3-65
    • /
    • 2017
  • 요즈음 아동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콘텐츠 중 하나는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이다. 이 콘텐츠는 아동에게 모방 놀이를 유발했다. 이 놀이에는 몇 가지의 특징이 있었다. 첫째, '캐리 놀이'를 하는 아동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즐거움을 추구했다. 그런데 그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했다. 둘째, 놀이에 대한 동기 근원이 모호했다. 놀이하는 사람을 따라하는 놀이이다 보니 놀이를 즐기는 장면에서는 내적 지향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만 놀이자를 따라하는 놀이에서는 외적 요인인 타인의 시선을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이 놀이는 규칙성은 높고 자유도는 낮았다. 아동들은 전형적인 순서와 대사를 따라 놀이를 진행했다.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는 영역은 종종 축소되었고, 확장되어도 정형화 된 형태로 마무리 되었다. 넷째, '캐리 놀이'는 견고한 놀이 세계를 구축했다. 시공간적으로 분리된 놀이 세계가 확립되었고, 참여자들은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세계는 확산성이 없었다.

주제중심 블록놀이 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heme Centered Block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Sociality)

  • 신수경;김현정;박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7-66
    • /
    • 2012
  • 본 연구는 주제중심 블록놀이 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와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총 60명으로 평균월령은 73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주제중심 의 블록놀이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자유 블록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메타인지' 검사와 '사회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 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주제중심 블록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메타인지와 사회성 점수가 자유 블록놀이 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이 교수창의성과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Autonom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 정유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513-518
    • /
    • 202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교수창의성,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와 영향에 대해 밝혀보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사를 252명을 임의 표집하고, 직무자율성, 교수창의성과 놀이지원역량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 교수창의성과 놀이지원역량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직무자율성은 교수창의성과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직무자율성이 교수창의성과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중심, 유아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환경조성과 유아교사의 직무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창의적 놀이 공간 구축을 위한 디자인 선호 요소 분석 (Analysis on Preferred Element on Constructing Creative Play Space Design)

  • 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89-396
    • /
    • 2020
  •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창의적인 놀이 행위를 위해 특정한 물리적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에 대해서 디자인하기 위한 필요 요소에 대해 조사하고, 주변 공간과 그 환경에 그 결과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놀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한 선호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 AHP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양한 국내외의 놀이 공간 디자인의 사례 조사를 통해서 주요한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각 키워드를 그룹핑하고 상위 개념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최종 도출된 14가지의 키워드를 AHP를 활용하여 각 요소별 쌍대 비교한 결과를 통해서 놀이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선호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 공간의 형태적 속성에서는 "개방성", "안전성", "다양성" 등의 순서로 선호도가 도출되었으며, 놀이 공간의 콘텐츠적 속성에서는 "모험성", "오감 요소", "시각 요소", "상호작용성" 등의 순서로 선호도가 도출되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y)

  • 이상은;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1-85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132 4 or 5-year-old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cruited from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maternal parenting influenced children's peer competency. Seco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fluence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y. Third, the association between overprotective and permissive maternal parenting styles and young children's leadership abilities were negative only in the low cognitive playfulness group. Fourth,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rejective and negligent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ibility were found to be negative only in the low physical playfulness group.

수학 교과서의 '재미있는 놀이' 차시의 내용 및 지도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Lessons and Actual Teaching of 'Game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윤수련;강완;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2권1호
    • /
    • pp.39-55
    • /
    • 2009
  •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재미있는 놀이’ 차시 활동을 학습 준비물, 학습 구성원 조직, 놀이 구조, 내용과의 관련성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교사들의 지도 실태 분석을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중에는 학습 준비물 활용, 놀이의 구조 등에 있어 편중되어 있었다. 이는 놀이의 다양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면을 보이는 것이다. 내용과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놀이 활동과 단원의 내용을 연결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보여주고 있으나 앞차시의 반복된 활동을 놀이로 제시하거나 내용과의 관련성이 떨어지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단원이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수학 학습에서 놀이의 효과를 알고 있으나 ‘재미있는 놀이’ 차시에 대한 지도에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주고 있었다. 이는 놀이의 다양성과 놀이를 위한 사전 준비 부족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수행평가로서 제시된 ‘재미있는 놀이’ 차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유아놀이 관련 연구동향 탐색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lay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종훈;박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96-303
    • /
    • 2020
  • 누리과정 개정으로 인해 유아놀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의 양적 증대와 더불어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교육학 및 유아교육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생활과학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발행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하여 시기별 유아놀이 관련 연구의 핵심단어를 도출하고 핵심단어의 중심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놀이관련 연구는 1기(2009~2013년)에 비해 최근 5년 간 큰 폭의 키워드 증가를 나타내었고 주제 분야별 학술지 게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교육학, 유아교육, 생활과학, 아동보육, 사회과학 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1기(2009~2013년)에는 놀이성, 역할놀이, 유아, 창의성, 놀이, 또래놀이상호작용 등이 중점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2기(2014~2018년)에는 놀이성, 유아, 놀이, 또래놀이행동, 또래놀이상호작용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1기와는 다르게 2기에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언어능력, 행복감, 인지능력, 유아교육 등의 키워드가 새로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아동간호학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놀이신념, 놀이성 및 상호작용과의 관계 (A study on play beliefs, playfulness and interact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hild nursing practice)

  • 오재우;전미경;김민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69-76
    • /
    • 2022
  • 본 연구는 아동간호학 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상호작용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와 놀이신념이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력은 36.0%였다. 전공만족도가 높고 놀이신념이 긍정적이고 높을수록 상호작용을 잘 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과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놀이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가질 수 있는 아동간호학 실습 교육과정이 요구되며, 아동간호학 실습 전 이론 교육과정에서 놀이요법에 대한 지식 습득 및 필요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