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the Theme Centered Block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Sociality  

Shin, Su Kyung (남부대학교 유아교육과)
Kim, Hyun Jeong (남부대학교 유아교육과)
Park, Yun (남부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8, no.5, 2012 , pp. 47-6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me centered block play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socialit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total of 60 five year 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in Gwangju.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3 month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me centered block play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free block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sociality. Therefor, it might be concluded that theme centered block play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etacognition and sociality of young children.
Keywords
Theme Centered Block Play Activities; Metacognition; Soci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곽노의(1996). 유아발달 수준검사. 국립교육평가원. 75-112.
2 김귀순(2003). 초등학교 아동의 무용 참여가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노재민(2008). 주제중심 산책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박경희(1989). 유아의 유니트블록 놀이 유형과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박선영(2006). 쌓기놀이에서 또래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박찬옥. 정남미, 곽현주(2002). 놀이지도. 정민사
7 신상인(1991). 적목놀이 항목에서의 교사 개입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신수경(2008). 놀이유형에 나타난 유아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적 행동 및 문제해결 능력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신영균(1999). 웹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에 있어서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메타인지가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신유경(1999). 유치원에서 주제가 제시된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오은순(1994). 블록의 유형과 수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이경순, 최석란(2004),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5(5), 95-110.
13 이은정(2004). 한국 민속무용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지은(2001). 무용특별활동 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화도(2004).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 속에 나타난 메타인지적 개입양상에 대한 분석. 유아교육연구, 24(6), 67-87.
16 전경문, 강훈식, 노채희 (2004).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문제 해결 전략의 효과. 대한학회지. 48(2), 182-188.
17 조규영(2011). 과학교과에서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지성애, 이규림, 안지영, 이연주, 조은정,(2009). 주제 중심 블록놀이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1), 67-86.
19 지성애(2002), 유아놀이지도. 서울: 정민사
20 진명희(1986). 유아의 블록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최정인, 여성희, 심규철, 소금현(2012). 중학생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 중등교육연구, 60(1), 51-82.
22 하정희(1997). 연령집단구성에 따른 쌓기놀이에서 유아의 사회적 참여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허지은(2004). 생활주제 중심 인터넷 탐색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4 허해옥(1998). 주제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Artzt, A. F., & Armour-Thomas, E.(1992). Development of a cognitive-metacognitive framework for protocal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splving in small groups. Cognition and Instruction, 9(2)
26 Baird, J. R.(1986). Improving learning through enhanced metacognition: A classroom study.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263-282.   DOI
27 Bender, J.(1978). Large hollow block: Relation of quantity to block building behavior. Young Children, 33(6), 17-23.
28 Cartwright, S.(1988). Play can be the building blocks of learning. Young Children, 43, 44-47.
29 Chi, S. A.(1991). A comparision of the effect of play material on preschool chidren's social play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Collage, Mass.
30 Cohen, L. E.(2006). Young children's discourse stragegies during pretend block play: A sociocultural approach. PH. D, New York: Fordham University.
31 Dau, E.(1999). Child's play: Revisiting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32 Johnson, H. M.(1996). The art of block building. In E. S. Hirsh(Ed). The block book(3rd ed.). Washington, D.C.: NAEYC.
33 Katz, L. G., & Chard, S. C.(1989). Engaging Children's mind. NY: Ablex.
34 King, N. R (1992). 유아의 놀이에 대한 상황의 영향. In M. Sapon-Shevin(Ed). Reconceptualiz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Brgining the dialogue. 신옥순.염지숙 역(2000).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 그 대화의 시작(pp. 111-141). 서울: 창지사.
35 Klein, D. C.(1998). The Effect of self-Monitoring and Multifle Context instruction on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Transfer Among Middle Students(CSC Tech. Rep. No. 466).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36 Lindberg, L., & Sweiow, R.(1980). Early childhood education: A guide for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2nd ed.). NY: Allyn & Bacon Inc.
37 Pramling, I.(1990). Learning to learn: A study of Swedish preschool children. Springer Verlag. NY.Inc.
38 Roger, D. L.(1985). Relation between block play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0(4), 245-261.   DOI   ScienceOn
39 Schirrmacher, R., & Fox, J. E.(2009). Art &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6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40 Schoenfeld, Alan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Inc.
41 Schraw & Graham(1997). Helping gifted students develop metacognitive awareness. Roeper Review, 20(1), 4-9.   DOI   ScienceOn
42 Shigemastsu, K., & Katsumi, Y.(1993). Metacognition: The role of the "inner teacher"(5): Reasearch o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of "inner teacher". PME Conference, 17(2), II-278-II-285.
43 Thomas, G.P.(2003). Conceptualis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the metacognitive orientation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The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Scale-Science(MOLES-S). Learning Environments Reasearch. 6, 175-197.   DOI   ScienceOn
44 Winsor, C. B.(1974). Block as material for learning through play-The contribution of Caroline Pratt. In E. S. Hirsch(9ed.), The Block Book(pp. 87-99). Washington, D. C: NAEY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