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지

Search Result 1,21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ssessment Method of No Net Loss of Greenness for Urban Ecosystem Health Improvement (도시생태계 건전성 증진을 위한 녹지총량 평가법 개발과 적용)

  • Kim, Seung-Hyun;Kong, Hak-Yang;Kim, Tae-Ky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4
    • /
    • pp.311-316
    • /
    • 2015
  • This study defined and classified no-net-loss-of-greenness (NNLG) based on the law, and then assessed the NNLG index by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after estimating NNLG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introduction of NNLG for health improvement of urban ecosys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NLG was the comprehensive meaning that was included in the greenbelt and park greenbelt and the green area which was defined by the Act on Urban Parks, Greenbelts, etc. and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respectively. Second, NNLG was classified as a park greenbelt which was included urban parks and greenbelts such as buffer greenbelts, scenic greenbelts, and connecting greenbelts, green areas which was included in green conservation areas, green production areas, green natural areas, and green coverage which is included forests, grasslands, and wetlands that were occupied by vegetation such as trees, shrubs, and plants. Third, NNLG index by cities and provinces was assessed based on the estimation of NNLG evaluation indicators, which included parks and greenbelt areas per capita, green areas per capita, green coverage per capita, ratio of parks and greenbelts, ratio of green areas, and ratio of green coverage. As a result, Sejong city got the highest point of NNLG index and Seoul and Daegu got lowest points of NNLG index among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Chungbuk got the highest point of NNLG index and Kyonggi and Jeju got lowest points of NNLG index among provinces in Korea.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Vegetation and It' Ecological Management Proposal (도시녹지의 실상과 생태학적 관리방안)

  • 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30-239
    • /
    • 1997
  • 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4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원녹지분야의 양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면 21세기에는 질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도시계획의 틀속에서 최소한의 공원녹지가 지정,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지정된 공원녹지가 사유지인 곳이 많기 때문에 공원조성 뿐만 아니라 적절한 녹지관리가 어려워 자연보호식 녹지보호나 식묵행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변화하는 시민 요구와 도시환경에 발 맞추어 도시환경보전과 경관보전을 위한 녹지체계 수립이나 관리목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도시녹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이고도 질적인 도시농지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저확한 녹지실태 조사와 수요를 토대로 녹지체계정립, 녹지종류의 조정, 녹지종류별 생태학적 관리목표설정 및 세부지침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

  • Han, Bong-Ho;Kwak, Jeong-In;Park, Seok-Cheol;Hur, Ji-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2
    • /
    • pp.128-141
    • /
    • 2014
  • This study established a plan to establish the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and enhancing of urban greenery in Songpa-gu. As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treets, that of the parks, the green axes, sidewalk in Songpa-gu were analyzed. This study derived 19 parks by the roadside and 13 lines to connect green axes. The result of roadside greenery status were selected 56,546m lines by natural green space and constructed green space. The result of sidewalks width were selected 8,600m lines that sidewalks width more than 5m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in Songpa-gu. For enhancing the urban green network lines were selected: Olympic Expressway, Songpa-daero, Nambusunhwan-no and Wiryeseong-gil. To improve the street planting strips, two pla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green structures of the street planting strips mainly with shrubs and to effectively create street planting strips through the green spaces along the streets. A plan to promote the amount of planting street trees in Songpa-gu analyzed the streets. Complements the understory layer sections were the highest the entire length of 34,206 m of 63.6% in strengthening for network streets. Greenspace network streets were calculated for planting of volume by promotion plan. Planting volume increased 4,708 trees before expand planting plan, so the total tree was considered 9,518 trees.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and Planting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녹지배치 및 식재구조 변화 연구)

  • Lee, Dong-Wook;Lee, Kyong-Jae;Han, Bong-Ho;Jang, Jae-Hoon;Kim, Jong-Yu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4
    • /
    • pp.1-17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improved method by analyzing the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and planting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12 survey sites, which have obvious differences, we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change of floor area ratio, underground parking place, and green space ratio. We divided the survey sites into four types that high green ratio(over 40%) apartment on natural ground, low green ratio(under 40%) apartment on natural ground, low green ratio(under 40%) apartment on artificial ground, and high green ratio(over 40%) apartment on artificial ground each period based on green space ratio and ground structure, plant crown volume, planting density, and planting pattern. The main factors of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were green space ratio and ground structure. The Green space ratio was changed by the floor area ratio with constructing underground parking place and floor area ratio was adjusted by government policy and economic status. Average width of front green area has been changed from 10.0m in high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for 3.5m, 2.7m, and 4.5m each period. The average width of the buffer green area has been changed from 15.0m in high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of 7.7m, and 2.7m by extending parking place in the low green ratio apartment of artificial ground, so buffer green areas have been reduced and disconnected. So buffer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es has been extended that the average width of the buffer green area was 3.8m caused by growing recognition of green since 2001. The ratio of native plant in canopy layer was increased from 45.1 % in the case of the high green ratio apartment of natural ground in 1980~1983 to 55.6%. Average plant crown volume increased from $1.27m^3/m^2$ in high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for $3.47m^3/m^2$ in a low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But average plant crown volume is $0.27m^3/m^2$ in the high green ratio apartment of the artificial ground plant density of canopy layer was changed from 5 individuals per $100m^2$ to 14.5 individuals per $100m^2$. We should construct the buffer green area with natural ground and get the function of ecological and beautiful environment regarding to garden concept in case of front green area, width 4.5m. We should get the function of increasing green volume by multi-layer planting with shade woody species and flower woody species in case of back-side green area, width over 5.0m. We should get the function of covering the wall and increasing green landscape by planting with high woody species in case of side green area. We should apply the ecological planting technique to buffer green area and connect buffer green area to inner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es.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 Focused on the Use of Green Space -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권역 설정 -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

  • Lee, Woo-Sung;Jung, Sung-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126-13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using various spatial analysis methods and to establish the management zone for green space with service supply in the aspect of its use in Daegu. The total green space of Daegu is 48,936.1ha which is the second among 7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According to the imbalance analysis of green space,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area was not high, on the other hand,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population was high by above 0.6. According to an evaluation of service supply of green space in Dalseo-gu, the area within about 100m around large green space was supplied with green spaces of above $25m^2$/pop. On the other hand, the area such as Sangin, Jukjeon, and Yongsan was not almost supplied with green space. Finally, 'Rich zone', 'Fair zone', 'Poor zone', and Broken zone'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service supply for the management direction of green spa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construction priority of new green spaces.

기기냉각수 최저온도와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 개도에 관한 설계분석

  • 김도현;이중섭;오종필;오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444-449
    • /
    • 1995
  •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의 정지냉각운전시 최대냉각율은 75$^{\circ}$F/hr(41.7$^{\circ}C$/hr)로 기술사양서에 규정되어 있다. 정지냉각운전 냉각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중요한 변수는 정지냉각계통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과 기기냉각수의 온도다. 이중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은 butterfly형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개도에 따른 throttle 능력이 중요한 인자다. 또 기기냉각수의 온도는 해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므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와 기기냉각수 온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냉각능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 울진 3&4호기 정지냉각계통 열 교환기 및 조절밸브 둥의 설비를 기준으로 기술사양서 상의 냉각율 75$^{\circ}$F/hr(41.7$^{\circ}C$/hr) 유지가 가능한 최저 기기냉각수의 온도를 찾아보았고, 아울러 기기냉각수의 온도와 조절밸브의 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울진 3&4호기 조절밸브를 최저개도로 조절할 때 약 57$^{\circ}$F(13.9$^{\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도 냉각율 제한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최저조절가능 유량이 약 2000 gpm(7570 l/min)일 경우에는 낮은 기기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최대냉각율을 초과하므로 한 train을 정지시키고 한 train만으로 운전할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최저 약 56.5$^{\circ}$F(13.6$^{\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향후 기기설계사양서나 운전지침서 등에 반영되어 실제 발전소 설계 및 운전절차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 PDF

The Characteristic of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in China (중국의 도시녹지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에 관한 법제도의 현황과 특성)

  • Shin, Ick-S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1-1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Chinese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and analyzed the specificities of them intending to provide basic data to suggest bringing in or not the relevant Chinese Laws to Korea.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hinese urban green spaces(g.s.) classified by 5 kinds(park g.s., production g.s., protection g.s., attachment g.s., the others g.s.) placed the park and green spaces in the same category unlike the Korean urban green spaces that only distinguishes between park and green spaces. The Chinese Urban Park is classified by 4 kinds(composite park, community park, special park, linear park) at the 'Standard for urban green spaces classification' which is below in rank of the legal system. Second, in case of calculation for green spaces ratio of urban green spaces in China, the green rooftop landscaping area should not be included as a green spaces area except the rooftop of a basement or semi basement building to which residents have easy access. The green spaces requirements and compulsory secure ratio by 3 habitat kinds(habitat, small habit, minimum habitat) of when to act as a residential plan is regulated. Third, the green spaces system is obligated to establish at habitat green spaces plan and is specified to conserve and improve existing trees and green spaces. The green spaces ratio on reconstruction for old habitat is relaxed to be lower than for new habitat and a gradient of green spaces is peculiarly clarified. The details and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and the minimum area intending for each classes of the central green spaces(habitat park, children park, minimum habitat's green spaces) are regulated. Especially at a garden style of minimum habitat's green spaces, interval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houses and a compulsory security for green spaces area classifying into two groups(closing type green spaces and open type green spaces) by a middle-rise or high-rise building are clarified. System of calculation for green spaces area is presented at a special regulation. Fourth, a general index(area/person) of public green spaces within habitat to achieve by 3 habitat kinds is determined, in this case, the index on reconstruction for a deterioration zone can be relaxed to be lower to the extent of a specified quantity. A location and scale, minimum width and minimum area per place of public green spaces are regulated. A space plot principle including adjacent to a road, greening area ratio against total area, security of open space and the shadow line boundary of sunshine are also regulated to intend for public green spaces. Fifth, the minimum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underground cables and the surrounding greening trees are regulated as the considerable items for green spaces when setting up the underground cables. The principle to establish green spaces within public service facilities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kind of service contents. It shall be examined in order to import or not the special regulations that only exist in Chinese Laws but not in Korean Law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gain the domestic landscape architect's' sympathy of the research related to Chinese urban green spaces laws requiring immediate attention and will be a good chance to advance in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Laws.

Development of Applied Indicator according to Locational Type for Secure of Parks and Green Areas in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District (택지개발지역의 입지유형에 따른 공원녹지확보 적용지표 개발)

  • Han, Bong-Ho;Choi, Jin-Woo;Yeum, Jung-Hun;Ahn,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1
    • /
    • pp.34-4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ecure indicator of parks and green area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location. There were 31 study areas where negotiation was finalized from 2001 to 2008. The location types were divided by land use type before development and the ratio of mountainous and constructed parks, the ratio of green change and so forth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ose types. As a result, loc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mountainous type, arable land type, urban district type. In terms of locational property, even though the ratio of parks and green areas was the highest at 24.9% in arable land type, the ratio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thers. Mountainous type depends on the ratio of mountainous park with 10.5%, and arable land type, and urban district type has high ratio of constructed parks. And, the ratio of green change arable land type is degraded by 32.8% and the ratio of mountainous green change is serious in the mountainous type.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of negotiation indicator, arable land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ratio of parks and green areas and the ratio of green change; mountainous type, the ratio of park and green, the ratio of mountainous green change and the ratio of constructed park and green; urban district type, the ratio of green areas.

도시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 김기호;김수봉;조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77-179
    • /
    • 2003
  • 기존 자연녹지인 앞산, 금호강/낙동강, 와룡산과 대상지내 산재해 있는 공원녹지를 연결하여 환상형(環狀形)의 그린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그린네트워크 조성에 따른 기존 자연녹지와 공원녹지 사이의 연계 방안으로 도시내 오픈스페이스인 학교용지를 선택하고 이를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원녹지의 위치상 1면이상이 도로와 접하고 있어 이를 연계하기 위한 가로공간의 녹화를 추진하여 녹지축을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시내 자연녹지 중 도시하천의 역할을 분석하여 본 결과, 대상지내 그린네트워크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하천변을 녹화하는 계획을 추진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