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1108/kagis.2012.15.2.126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 Focused on the Use of Green Space -  

Lee, Woo-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Texas A&M University)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15, no.2, 2012 , pp. 126-13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using various spatial analysis methods and to establish the management zone for green space with service supply in the aspect of its use in Daegu. The total green space of Daegu is 48,936.1ha which is the second among 7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According to the imbalance analysis of green space,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area was not high, on the other hand,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population was high by above 0.6. According to an evaluation of service supply of green space in Dalseo-gu, the area within about 100m around large green space was supplied with green spaces of above $25m^2$/pop. On the other hand, the area such as Sangin, Jukjeon, and Yongsan was not almost supplied with green space. Finally, 'Rich zone', 'Fair zone', 'Poor zone', and Broken zone'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service supply for the management direction of green spa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construction priority of new green spaces.
Keywords
Green Space Planning; Spatial Analysis; Gini's Coefficient; GIS; Service Suppl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Van Herzele, A., and T. Wiedemann. 2003. A monitoring tool for the provision of accessible and attractive urban green spa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3:109-126.   DOI   ScienceOn
2 Yeh, A.G., and M.H. Chow. 1996. An integrated GIS and location-allocation approach to public facilities planning: an example of open space planning. Computers, Environments and Urban Systems 20:339-350.   DOI   ScienceOn
3 김수봉, 류연수, 이정연. 2007. 공단지역과 인접한 주거지역 주민들의 선호 공원녹지 분석: 대구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16(1):95-10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4 김형준, 정성관, 이우성. 2011.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4):18-27.   과학기술학회마을
5 박노경. 2002.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분석. 무역학회지 27(3):285-304.
6 박인환, 장갑수. 2002. 대도시 주변지역의 토 지이용변화: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1):1-10.
7 사공정희. 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2쪽.
8 성현찬, 신지영. 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경기도 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2):83-91.   과학기술학회마을
9 신지영. 2009. 도시공원 분포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지 12(2):40-49.   과학기술학회마을
10 엄상근, 조창제, 황경수, 최영국. 2008.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녹지총량 산정방안 연구. 국토연구 56:61-78.
11 오규식, 정승현. 2005. GIS 분석에 의한 도시 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국토계획 40(3):189-203.
12 오동하. 2005. 부산시 녹지총량관리제 도입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125쪽.
13 이경주, 임은선. 2009. 근린공원 입지계획지원을 위한 공급적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3:107-122.
14 이동현, 이경주. 2010. 부산시 도시공원 공급 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64-172.
15 이양주, 윤은주, 박나영. 2008. 녹지훼손에 대한 대체녹지의 합리적 조성방안 I: 관련 세제를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20쪽.
16 이우성. 2010.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9쪽.
17 이우성, 곽행구, 정성관, 박경훈. 2007. 물리적 환경인자를 활용한 도시의 쾌적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69-182.
18 정승현. 2004. GIS를 이용한 도시근린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쪽.
19 정성관, 이우성. 2008. 환경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녹지의 관리권역 설정: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6):64-73.   과학기술학회마을
20 최석주. 1996. 도시공원의 속성과 문제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05-217.
21 한상열. 2006.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탐방집중도 분석. 한국임학회지 95(4):476-483.   과학기술학회마을
22 홍성언, 박수홍. 2003. GIS와 AHP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 근린 공원의 입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5):849-860.   과학기술학회마을
23 황경수, 최영국, 엄상근, 조창제. 2007. 도시녹지의 분포특성에 기초한 녹지총량산정에 관한 연구: 수도권지역을 사례로.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111쪽.
24 권일, 류상규. 2005. 인구분포로 본 우리나라 국토불균형. 국토계획 40(2):23-32.   과학기술학회마을
25 Gallo, K.P., A.L. McNAB, T.R. Karl, J.F. Brown, J.J. Hood, and J.D. Tarpley. 1993.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2223-2230.   DOI   ScienceOn
26 Goodman, W.I., and E.C. Freund. 1968. Principles and Practices of Urban Planning. Washington D.C.: ICMA. 621pp.
27 Huff, D.L. 1963. A probabilistic analysis of shopping center trade areas. Land Economics 39:81-90.   DOI   ScienceOn
28 김대식. 2007. 현대 경제학원론. 서울: 박영사. 987쪽.
29 Kakwani, N. 1980.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Methods of Estimation and Policy Applica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32pp.
30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27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