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후에 대한 인식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19초

노후불안인식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Aging Anxiety: Comparison among Age Groups)

  • 정순둘;정주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365-383
    • /
    • 2018
  • 본 연구는 노후불안인식의 수준과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각 연령집단별로 살펴보고, 노후불안을 낮추기 위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7 연령통합 설문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17명의 조사대상자를 청년층 307명, 중년층 357명, 노년층 353명의 3개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노후불안인식 영향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연령집단 간 노후불안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노후불안인식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 노후불안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낙인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가능연령은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공정성인식은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통합인식과 고령친화적 환경 변인은 노년층에서만 노후불안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불안에 대해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노년기에 대한 인식과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의 연관성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후인식수준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 of College Students Knowledge on the Elderly and Recognition of Retirement on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 박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1-6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노후인식, 노인에 대한 지식 및 노후준비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노후인식 및 노인에 대한 지식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 B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노후인식 및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후준비와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노인에 대한 지식(β=0.21, p=.012), 남성인 경우(β=0.28, p=.001), 노후인식수준(β=0.23, p=.005) 순이었으며, 이들 영향요인은 대상자의 노후준비 정도를 17.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9.14, p<.001).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노후준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야 함을 의미하며, 중재안 구성 시에 성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 만족도가 자기효능감 및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승현;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9
    • /
    • 2023
  • 국내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본격화하며 국내 시니어들의 은퇴후 평생직업 대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며 창업이 그 대안으로 부상하였지만 주로 자영업창업 중심이어서 효과적인 대안이 되지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시니어들이 노후 대책으로 재대로 된 창업을 준비하도록 창업교육을 통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창업기회를 인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로서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둘째, 창업교육만족도가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가설검증 결과로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는 하위 변위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셋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시니어 창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노후준비도를 살펴봄으로써 시니어가 가진 노후준비 특성이 창업기회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시니어의 창업 활성화 및 노동력 활용 방안으로 창업교육의 확대 필요성과 시니어 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등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와 제도적 지원 및 프로그램 설계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국가 ·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의 노후준비 영향 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Aging Preparation Between National and Private Medical Workers)

  • 심현진;이일현;이현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65-374
    • /
    • 2013
  • 본 연구는 노후에 대한 인식이 국가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노후인식이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의 보건소와 병 의원의 근로자 7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국가 민간의료기관의 근로자간에 노후에 대한 인식,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 노후준비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국가 근로자가 민간 근로자 보다 더 잘 인지하고, 만족하며, 비교적 준비하고 있었다. 또한 노후에 대한 인식과 정부정책 만족도는 모두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지만, 노후 준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국가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 근로자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가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준비에 대한 교육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려한다.

국가·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의 노후준비 영향분석 (A Study on affect Retirement prepare among National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 workers)

  • 심현진;이일현;이태로;이현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2
    • /
    • 2013
  • 본 연구는 노후에 대한 인식이 국가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의 보건소와 병 의원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노후에 대한 인식,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 노후준비에 대해서 국가의료기관이 민간의료기관 보다 더 잘 인지하고, 만족하며, 잘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노후준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국가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 간에 영향 요인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 PDF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Degree of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of Public Servants)

  • 박현숙;임정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48-260
    • /
    • 2012
  •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공무원 중 편의표본 추출한 30대 및 40대를 중심으로 7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노후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노후의 1차적 부양책임은 본인 및 배우자라는 응답은 83.9%였다. 노후생활 지역은 대도시 근교의 전원생활이라는 응답이 25.9% 였다. 노후생활에 예상되는 경제력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매우 문제가 될 것이다라는 응답이 33.0% 였다. 여가활동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그저 그렇다라는 응답이 43.4% 였다. 공무원들이 노후생활 경제력에 대해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75.0%였다.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가 56.0%, 적정하다가 17.2%, 모르겠다가 26.8%였다.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409명 56.0%)가 이였으며, 공적연금의 충족정도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내용은 먼저 공적연금 외 경제적 대책 준비정도와 공적연금의 충족정도 군별로 비교한 결과 부동산 투자, 부족분 자녀도움, 자신의 보유자산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중년층이 노후의 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는 개인 스스로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마련하고 실천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다.

초고령사회 일본의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인식과 노후 생활 인식 - 연령계층별 차이에 주목하여 - (Expectations for Social Security and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in a Superaged Society :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J apan)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3호
    • /
    • pp.39-5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령계층별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인식과 노후 생활 인식의 차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 자료는 일본 생명보험 문화센터가 실시한 「생활보장에 관한 조사, 2019」이며, 이 자료는 전국 18~69세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연령계층에서 건강보험에 관한 기대수준이 다른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적연금에 대한 기대수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60대에서 평균점이 가장 높았다. 셋째, 공적건강보험, 공적연금, 공적개호보험, 유족연금에 대한 평균점이 가장 낮은 연령계층은 4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 남성의 노후 생활 인식의 평균점이 높았다. 넷째,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기대가 노후 생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 및 연령계층에서 다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공적건강보험 기대수준이 노후 생활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첫째, 건강보험의 유용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고령세대의 가계소비지출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 등 고령세대의 의료비 지출 규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청년층과 고령층의 중간에 해당하는 40대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보장제도 및 노후생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 노후생활인식과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의식에 미치는 영향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Effect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Consciousness of Later Life and Social-Leisure Activities on Their Preparation Perception for Their Later Life in Choongchungnam-Do)

  • 문미;송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79-38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생활인식과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노후준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충청남도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 355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과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적 노후준비의식은 여가활동이 많고 사회활동이 많으며 노후에 대한 생각과 노후계획을 많이 할수록 높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신체적 노후준비의식은 여가활동이 많고 노후계획 준비를 많이 할수록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높았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의식은 사회활동이 많고 노후계획 준비를 많이 할수록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의 노후준비의식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책 입안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인식과 생활만족도 매개효과 중심 (The Influence of Elderly People's Health Promoting Behaviors on their Successful Aging: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ccessful Aging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 장홍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5호
    • /
    • pp.109-12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로 가는 경로에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구체화하고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성공적 노후에 유의미한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경기도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5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설정한 인과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이러한 인과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성공적 노화인식, 생활만족도,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주었고,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인식은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생활만족도는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매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함의는 건강증진 지원 전문가,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노인의 다양한 유·무형적 요인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고, 경제 및 현재 건강 수준에 맞게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Public Perceptions of Aging Korean Societ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 정순둘;정윤경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41-557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가치체계와 세대차이의 맥락 속에서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을 대상으로 할당표집을 통해 추출된 20세 이상 성인남녀 1,498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령화 사회 인식의 8개 영역 중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영역은 세 개 이하였다. 노화에 대한 지식, 부양인식, 노후불안, 세대 갈등으로 측정된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변수들 중, 노후에 대한 불안이 모든 연령 집단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 연령 집단이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이 20~44세, 45~64세 집단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대갈등 변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대 갈등적인 인식은 20~44세와 45~64세 집단들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65세 이상 집단에서는 두 요인 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의 고령화 사회 인식의 전환의 방향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