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 우울증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5초

독거노인의 일반의약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Over-the-Counter Medication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 윤여송;백기청;이경규;이석범;김경민;이정재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72-178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에서의 비처방 일반의약품의 사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예측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일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099명을 대상자로 시행되었다. 비처방 일반의약품의 사용행태, 인구사회학적 정보, 신체 건강상태(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 인지기능, 기분 장애 등을 자가설문지와 훈련된 간호사의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비처방 약물 사용행태나 인구학적 변인에 대해서는 기술적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비처방 약물 사용과 관련된 예측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자의 35.4%가 비처방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진통제는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물로서 비처방 약물 복용군의 38.3%가 진통제를 처방받았다. 우울증(OR=1.44, 95% CI=1.10~1.87)과 누적질환평가척도(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로 측정한 신체건강 중증도(OR=1.08, 95% CI=1.03~1.12)가 비처방 약물 사용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결 론 독거노인에게서 우울장애와 신체건강 중증도는 비처방 약물 사용의 예측인자가 될 수 있으며 임상가는 노인의 비처방 약물의 사용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노인들의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 요구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Computer Game Needs in the Elderly)

  • 임경춘;이윤정;안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75-486
    • /
    • 2009
  • 만성질환 및 비만 관리와 낙상예방 등을 위한 간호중재의 하나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운동게임 등의 기능성 게임을 질병예방 교육과 치료보조, 재활 등에 응용하는 방안은 점차 중요영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요구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훈련된 연구보조원들의 면접조사와 전문조사기관의 온라인조사 결과 778명(평균 연령: $61.4\;{\pm}\;5.6$)의 대상자가 참여하였는데, 그 중 68.6%가 남자였다. 분석결과 남성(55.4%), 고졸이하(66.2%), 2명 이하의 가족수(32.5%), 월평균 35만원 이상(40.1%), 경증 우울증(51.7%), 온라인 응답자(68%) 그룹에서 게임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게임을 통해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고 싶어했다. 상관성 분석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 이용 경험이 있을수록, 컴퓨터/인터넷 활용이 능숙할수록 운동게임이나 기능성 게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노인그룹을 위한 여가활용 차원에서의 즐거움과 건강증진의 효과를 모두 가져올 수 있는 노인용 기능성 게임이 개발된다면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노인의 우울증과 여가활동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대구시 북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 in Bukgu District, Daegu City -)

  • 권원안;김한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0권4호
    • /
    • pp.51-59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and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ore in the elderly. Methods: We surveyed elderly (>60 years old) people who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using interviews in Bukgu district, Daegu city.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1 - 31 May, 2008.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which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Common leisure activities scored 'often' and 'very often' were family conversations, offspring visiting, eating out, plant cultivation, entertainment, conversation, walking or jogging, and TV or radio. It was investigated at the rate of 19.2% in the moderate depression and 8.3% in the severely depression. Depression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wspaper or magazine, family conversation, offspring visiting, social service, movie & theater, exercise and tour. Conclusion: Most elderly people surveyed indicated they were depressed, which should recommend significant leisure activities for elderly to reduce depression in Bukgu district, Daegu city.

  • PDF

노인의 우울증과 일상생활동작능력의 관련성 (Correlation of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 정순미;박래준;노효련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2호
    • /
    • pp.31-38
    • /
    • 2010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the ability to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Methods: Subjects (n = 182) were 60 years or older and who attended the Senior College of Gimhae Senior Welfare Center. We collected data via a questionnaire, through a Self- recording method an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e collected data on person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level of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Among all subjects, 51.1% reported having depressionMild depression was reported by 29.7% (54 subjects), moderate depression by 13.2% (24 subjects), and severe depression by 8.2% (15 subjec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ing walking, climbing stairs, standing from a chair and sitting on and using toilets, using a telephone, bathing, shopping, cleaning house, and managing mon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lderly subjects who were depressed (p<0.05). The great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less able they were to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These findings may help us achieve early detec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provide mediated arbitration so that they can have better health condition and greater ability to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4주간 훈련이 노인의 균형 및 보행 능력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4 Weeks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 on Balance and Gait Ability,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 이상열;이수경;김용훈;채정병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2호
    • /
    • pp.41-46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4 weeks training of virtual reality game on balance and gait ability,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elderly people over 65 age. The subjects were treated by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 (during 60 minutes, 3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long with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s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es. Results : In comparison of depression, gait and balance abilit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Our study finding indicate that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 could improve balance and gait ability,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According to our study,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 is judged to be used for elderly people with gait and balance problems, depression to prevent fall down.

화장행위가 갖는 심리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sychological Effects which Make-up Behavior Has on Women)

  • 김명리;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7-134
    • /
    • 2005
  • 화장은 인간의 기본적인 미적 욕구충족 뿐만 아니라 사회적 대인 관계, 심리적 작용, 자기 강화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화장을 통한 만족도는 대인 관계의 성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화장 행위의 다양한 기능들은 모두 심리학적 효과를 가지며 다양한 사회적 효용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용분야, 화장품, 보건 분야, 의류학 분야의 심리 연구는 많이 되고 있으나, 화장 심리, 화장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화장은 외모뿐만 아니라 마음을 장식하고 움직일 수 있는 심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화장의 심리학적 접근으로 많은 연구를 하여, 화장 심리에서 적극적인 화장 치료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우울증 환자나 치매 노인, 화상 환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화장 치료법과 특수 화장품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적극적인 화장의 효과성에 대한 검토도 아울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화장 행위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하며, 앞으로 화장의 심리적 효용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웃음요법이 건강한 삶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Healthy Life: A Meta-analysis)

  • 황성호;정현철;황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91-29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의 메타분석을 통해 웃음요법이 인간의 건강한 삶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국내 외 학술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건강의 궁극적인 목적인 "삶의 질"을 중심으로 국외 495편, 국내 199편의 문헌을 검토하였다. 최종 7편의 문헌이 추출되어, 분석은 R version 3.5.1로 수행하였다. 추출된 표본의 평균차이(효과크기)분석을 활용하여 실험군의 사전 사후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SMD=0.23, p<0.01)를 보였으나, '웃음요법의 처치회기와 기간'을 설명변수로, '웃음요법의 처치효과'를 결과변수로 설정한 메타회귀분석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험군의 사전 사후 비교분석에서 '웃음요법'이 '삶의 질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지니고 있고, 특히 노인, 우울증을 앓고 있는 중년 이상의 여성에게 유용한 중재기법임을 규명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고령자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의 Smart Aging 시스템의 연구 (A Study on Smart Aging System for the Elderly based on Metaverse)

  • 조면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61-268
    • /
    • 2022
  • 최근 급격한 고령화, 핵가족화 현상에 따라 외로움과 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독거노인 인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고령자에게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따라 IT의 도움으로 최적의 고령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smart aging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의학의 발달로 건강한 노년층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 속에서 활동적으로 생활하고자 하는 고령자뿐 아니라, 시설에서의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에 대해서도 IoT, AI(인공지능) 기술 및 메타버스 환경을 십분 활용하여 선진적인 고령자 맞춤형 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시스템은 병원(요양) 시설 및 재택으로 외로움으로 고통 받는 고령자에게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맞추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 사회적 연결(social connection)을 제공하여 인간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급변하는 사회 환경 변화에 AI와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하고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smart aging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지향적 노인복지정책의 새로운 길을 제시할 수 있다.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회적고립 (Life History of the Socially Isolated Male Elderly Living Alone)

  • 임승자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25-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되기까지의 과정과 삶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생애사 방법의 하나인 'Mandelbaum(1973)의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s), 적응(adaptation)'이라는 개념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은 가족 관계 단절, 빈곤, 열악한 일자리, 건강악화 등의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삶의 영역에서 고립 전의 원가족과의 삶에서 부모와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나 부재, 가족의 빈곤, 주위 사람들과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 등의 경험이 있었다. 노동시장에서 막노동, 배달, 장사, 허드렛일 등의 좋지 않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전환점의 영역에서는 외환위기, 부모의 이혼과 죽음, 배우자 외도, 경제적 어려움 등의 여러 원인으로 원가족과 배우자와의 분리로 인한 가족과의 단절을 경험하게 되었다. 적응의 영역에서 참여자들은 삶의 각 전환점에서 변화된 삶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타협하고 절충하면서 적절히 적응하려는 노력을 해나가고 있었다. 국민기초수급자라는 사회적 안전망 제도에 들어왔고 그 안전망을 지키기 위해 한곳에 머무르는 지금의 삶이 더 안정적인 삶을 살게 만들었으며 개인적인 취미생활과 네트워크를 통한 대리만족으로 적응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기존연구에서 고립된 노인들이 우울증과 고독사의 위험에 심하게 노출되었다는 연구결과와 다소 다른 결과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립감이 낮은 노인을 인터뷰한 본 연구의 특성을 동시에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 및 만성 의학적 질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on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a Rural Community)

  • 채철호;이상수;박철수;김봉조;이철순;이소진;이동윤;서지영;안인영;최재원;차보석
    • 생물치료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184-193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on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a rural community. Methods :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on 173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lived alone in a rural community and were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as collected and analyzed.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Korean Form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Additionally, the current prevalence of chronic medical conditions that interfere with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examin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of social support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with depressive symptoms. Results : Social support(odds ratio: OR, 0.96;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0.92-0.99)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OR, 1.59; 95% CI, 1.23-2.0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all subjects. When analyzed by gender, social support served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men only(OR, 0.91; 95% CI, 0.83-0.99),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women only(OR, 1.74; 95% CI, 1.26-2.40). Furthermore, osteoarthritis and lumbar pain were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in all subjects(OR, 2.24; 95% CI, 1.10-4.56 and OR, 2.10; 95% CI, 1.08-4.12) and in elderly women(OR, 4.07; 95% CI, 1.68-9.84 and OR, 3.34; 95% CI, 1.47-7.57), respectively.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s that improving the social support and managing the chronic medical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re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 Additionally,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 depression-prevention strategies for elderly men and women living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