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 우울증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9초

장기요양기관 노인들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mpacts of Depression Among the Aged in the Long-Term Care)

  • 김경우;최건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79-188
    • /
    • 2012
  • 본 논문은 노인 장기 요양기관에서 노인들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서울시에 소재하며 노인 장기요인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360여 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노인복지학회의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 우울증환자의 수는 13%에 이른다고 보고한 바 있다. 여기에 사회적 지지가 이러한 정서적 불안을 해소하는데 주요한 관건으로 보고 있다. 그 결과 인지된 사회적 지지와 우울증과의 관계가 강한 정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건강상태와 우울증이정(+)의 관계였다. 그리고 높은 건강상태는 낮은 정도의 우울증을 유발하고 네트워크의 크기나 접근의 빈도는 노인우울증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장기요양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사회사업실천에 있어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어떻게 실천하여야 하는가를 암시하고 있다.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요인과 건강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 on Geriatric Depressive Symptom)

  • 이현주;강상경;이준영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129-1145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 뿐 아니라 근접요인으로써 건강행태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보다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 도시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96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노인우울증 진단에는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의 절단점 10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우울증의 유병율($SGDS{\geq}10$)은 22.2%(남성 18.4%, 여성 23.3%)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노인우울증에 대한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동거가족 수가 적을수록, 의료보호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을 지속하고 있을수록, 신체활동이 불충분할수록 노인우울증의 유병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사회경제적 차이를 고려하여 노인우울증 개입을 위한 표적집단을 정해야 하고 더불어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행태 특히 흡연이나 운동에 대한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 개입이 필요하다.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 메타 분석: 전체·단기·장기 효과성의 비교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s for Car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Four Countries: A Comparison of the Total Effectiveness, Short-term Effectiveness, and Long-term Effectiveness)

  • 박승민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553-571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4개 국가에서 이뤄진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의 전체, 단·장기 효과성의 메타 비교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한국의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AMED, EMBASE, Ovid Medline, PsycInfo에서 두 차례에 걸쳐 체계적 검토 방법을 통해 추출된 총 10건의 RCT 연구 논문이다. Review Manager를 사용한 메타 분석 결과, 첫째,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효과적이었고(OR=0.47, 신뢰도 95%, 신뢰구간 0.36-0.61), 둘째, 단기적으로도 효과적이었으며(OR=0.37, 신뢰도 95%, 신뢰구간 0.26-0.54), 셋째, 장기적으로도 효과적이었다(OR=0.61, 신뢰도 95%, 신뢰구간 0.41-0.89).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한국의 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세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첫째, 전체적으로 높은 성공률(53%)이 입증된 외국의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의 한국적 응용을 모색하면서 장기적 효과성이 담보되지 못함(24% 감소)에 주의하여 한국의 노인을 위한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은 장기적 효과성도 담보 될 수 있는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장기적 효과성이 담보된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남성 노인에게는 전반기에, 여성 노인에게는 후반기 적용에 보다 더 큰 관심이 요구된다. 끝으로, 새로운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은 기존의 의료적 모델에 사회적 지지 모델의 핵심 요소들을 결합한 형태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중재가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분석 (Combined Impac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on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 오정윤;양정옥;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8-213
    • /
    • 2024
  •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신체활동과 운동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가속화되어 가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우울증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노인의 우울증은 젊은 층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으며 노화로 인한 신체적 질병의 증가와 신체적 장애에 의한 자존감 저하로 더욱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인들의 우울증 관리, 노쇠로 인한 우울증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요한 매개 변인인 수면장애와 우울증, 우울증에 대한 운동과 해마의 연관성, 우울증 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및 운동의 과학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후 노인의 우울증 개선과 자살예방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일도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자들에서 우울증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of Elderly Welfare Facility Users in a City)

  • 신애린;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133-139
    • /
    • 2016
  • 연구목적 노인 우울증의 증가에 따라 예방 및 관리 대책이 시급한 상태이나 초기 우울증의 선별이 어려워 조기 발견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일도시지역에 노인 복지 시설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PHQ-9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파악하고 더 나아가 노인 우울증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일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PHQ-9의 검사와 면담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나이, 주거형태, 자녀 수, 동거인 유무, 교육 수준, 질병 상태)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PHQ-9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PHQ-9의 우울증 진단의 절단값인 10점을 기준으로 이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주거 형태(자가 vs. 비자가)와 교육 수준(초등학교 졸업 미만 vs. 초등학교 졸업 이상)에 따른 PHQ-9 점수평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사하게 PHQ-9 점수 10점을 기준으로 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비교에서도 비자가에서 거주하는 경우, 그리고 초등학교 졸업 미만인 경우 PHQ-9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이 연구는 노인 우울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이해와 노인 우울증의 조기 평가 및 개입을 통한 대책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 우울에 귀 자극 요법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urative Effect of the Ear Reflex Therapy to the Depression of Elderly)

  • 정혜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9-380
    • /
    • 2016
  • 본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들의 사회적, 경제적, 건강상의 복잡한 문제로 발생되는 정신병 문제가 대두되고 있고. 그중 우울증은 노인들의 자살로 이끄는 중대한 질병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자가 치료가 가능한 귀자극 요법을 활용하여 노인들의 우울증에 대한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한다.

  • PDF

음악요법을 이용한 노인의 우울증 완화 로봇 'BOOGI'의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for the Robot that Relieves Depression in the Elderly Using Music Therapy)

  • 정유화;정성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4-85
    • /
    • 2015
  • 타악기가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우울증을 겪는 노인에게 자아 존중감의 증가 및 우울증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음악 요법을 로봇에 접목하여 노인들이 음악을 직접 연주할 수 있게 하는 타악기 로봇의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노인의 우울증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로봇의 콘텐츠로써, 노인과 로봇의 상호작용 요소가 도출되었다. 회상을 자극할 수 있는 노래가 선정되었고 노래의 연주에 따른 타악기의 타격에 대한 점수체계가 개발되었다. 또한 상호작용 요소 중 노인들의 감성적 자극요인이 될 수 있는 로봇 표정 요소가 디자인되었다. 표정은 무표정, 기쁨, 아주기쁨으로 구분되며 타악기의 연주 참여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여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노인이 로봇에서 나오는 음악을 따라 연주하고 참여도의 정도에 따라 노인과 로봇이 상호작용할 수 있다면 단순한 음악 게임기가 아닌 우울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로봇으로서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혜 깊어지는 건강_활기찬 실버 세대: 유행처럼 번지는 노인성 우울증 가족의 따뜻한 관심으로 예방

  • 최희찬
    • 건강소식
    • /
    • 제35권8호
    • /
    • pp.24-25
    • /
    • 2011
  • 대한민국은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을 정도로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노인성 질환 역시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이것은 개인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에 커다란 고통과 부담을 주고 있다. 그중에서도 우울증은 노인정신 질환 중에 가장 흔하며 노인자살의 원인이 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 PDF

고의적 자해 노인 환자의 우울증 관련 요인 (Factors for Intentional Self-harm among the Elderly Patients with Depression)

  • 이현숙;이제정;김상미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83-893
    • /
    • 2019
  •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우울장애와 자살의 연관성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 목적은 고의적 자해로 입원한 노인 우울증 환자 특성을 분석하였다. 질병관리본부(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의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를 활용하여 3,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 STATA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여(OR, 0.694; CI, 0.583-0.827)], 거주지[중소도시(OR, 0.078; CI, 0.648-0.935)], 자해결과[사망(OR, 0.461; CI 0.315-0.674)]의 경우에 우울증이 적었으나, 위험 요인[재정적 문제(OR, 3.485; CI 2.500-4.857), 정신적 문제(CI 2.917; CI 2.356-3.612), 육체적 질병(OR, 2.678; CI 1.869-3.836), 가족구성원과의 갈등(OR, 1.828, CI 1.437-2.325)], 발생장소[거주지 외(OR, 1.416; CI 1.182-1.695)], 자해수단[중독(OR, 1.695; CI 1.345-2.317)]의 경우 우울증이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기관은 고의적 자해 환자 입원시 우울증을 사전에 감지하고 이를 최소화 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독서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도와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 S 독서치료연구회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 (Effects on the Bibliotherapy for Depressed and Remark of Dotard Dementias Old Adults)

  • 황인담;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05-522
    • /
    • 2008
  • 본 연구서는 인지장애나 경증 치매로 의심되는 65세 이상 90세 이하의 남녀 노인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6개월간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독서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도와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한국판 MMSE-K와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치매노인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인지도는 향상되고 우울증은 감소함으로써 독서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증상을 호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