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 on Geriatric Depressive Symptom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요인과 건강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 이현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상경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준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보라매병원 정신과)
  • Received : 2008.08.31
  • Accepted : 2008.11.10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s socioeconomic and health-behavioral risk factors of geriatric depression diagnosis. Sample consists of 964 elders aged 65 and over, living in an urban community. Using the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study subjects were screened for geriatric depression to those who presented 10 points and over in SGDS. Descriptive statistics shows that about 22.2% elders are estimated to suffer from geriatric depression. Predictors of geriatric depression diagnosis were examin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elders who live with family, who have medical insurance, who have higher education, who don't smoke, and who do more physical activities were less likely to suffer from geriatric dep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cioeconomic position such as health insurance,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physical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to geriatric depression, suggesting that interventions on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may be effective to reduc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 뿐 아니라 근접요인으로써 건강행태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보다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 도시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96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노인우울증 진단에는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의 절단점 10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우울증의 유병율($SGDS{\geq}10$)은 22.2%(남성 18.4%, 여성 23.3%)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노인우울증에 대한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동거가족 수가 적을수록, 의료보호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을 지속하고 있을수록, 신체활동이 불충분할수록 노인우울증의 유병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사회경제적 차이를 고려하여 노인우울증 개입을 위한 표적집단을 정해야 하고 더불어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행태 특히 흡연이나 운동에 대한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 개입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