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 메타 분석: 전체·단기·장기 효과성의 비교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s for Car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Four Countries: A Comparison of the Total Effectiveness, Short-term Effectiveness, and Long-term Effectiveness

  • 박승민 (옥스퍼드 대학교 노년학 연구소)
  • 투고 : 2011.04.29
  • 심사 : 2011.08.02
  • 발행 : 2011.08.30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4개 국가에서 이뤄진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의 전체, 단·장기 효과성의 메타 비교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한국의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AMED, EMBASE, Ovid Medline, PsycInfo에서 두 차례에 걸쳐 체계적 검토 방법을 통해 추출된 총 10건의 RCT 연구 논문이다. Review Manager를 사용한 메타 분석 결과, 첫째,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효과적이었고(OR=0.47, 신뢰도 95%, 신뢰구간 0.36-0.61), 둘째, 단기적으로도 효과적이었으며(OR=0.37, 신뢰도 95%, 신뢰구간 0.26-0.54), 셋째, 장기적으로도 효과적이었다(OR=0.61, 신뢰도 95%, 신뢰구간 0.41-0.89).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한국의 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세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첫째, 전체적으로 높은 성공률(53%)이 입증된 외국의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의 한국적 응용을 모색하면서 장기적 효과성이 담보되지 못함(24% 감소)에 주의하여 한국의 노인을 위한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은 장기적 효과성도 담보 될 수 있는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장기적 효과성이 담보된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남성 노인에게는 전반기에, 여성 노인에게는 후반기 적용에 보다 더 큰 관심이 요구된다. 끝으로, 새로운 노인 우울증 관리 프로그램은 기존의 의료적 모델에 사회적 지지 모델의 핵심 요소들을 결합한 형태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atively meta-analyze the total, short-term, and long-termeffectiveness of cases involving care of the elderly depression in the age range of 60 and over in the four countries, and to identify the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for developing depression care programmes for Korean older people. Ten studies conducted by RCT were found via AMED, EMBASE, Ovid Medline, PsycInfo. Use of Review Manager(5.5 version) shows that the interventions for caring depression were all effective: total effectiveness is OR=0.47(95% CI), short-termeffectiveness is OR=0.37(95% CI), and long-term effectiveness is OR=0.61(95% CI). This research provides three policy implications: Firstly, elements for increasing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depression care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all new programmes for caring elderly depression. Secondly, more focused depression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during the first half period of care programmes for elderly men, whilst the focus should be shifted to the last half period for elderly women. Finally, new interventions for caring depression that integrate both the medical and social support model of depression should be designed for elderly Korea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