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의 자산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2초

노인의 자산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sset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Activities)

  • 강시온;한창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15-43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산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이 사회활동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자산효과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노인의 자산과 사회활동의 관계를 이해관계자이론에 의해 설명하고 있으며 노인의 사회활동과 우울의 관계를 활동이론에 의해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2014년 제 5차 고령화 연구패널조사 자료가 이용되었고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 및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자산이 많은 노인일수록 우울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자산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활동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증대시키고 우울을 줄일 수 있도록 자산형성프로그램의 확대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중 고령자를 대상으로 노후 자금을 준비할 수 있는 저축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고 또한 노후 자산운용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금융교육서비스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A Longitudinal Causal Rrelationship Study on the Elderly's Assets, Depression and Llife Satisfaction: : The Appl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이형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513-52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효과를 분석하고, 노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자산과 우울의 영향력을 종단적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제9차년도(2014년), 제11차년도(2016년), 제13차년도(2018년) 가구원용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분석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자산, 우울 및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자산(B=.694, B=.725, p<.001), 우울(B=.258, B=.331, p<.001) 및 삶의 만족(B=.264, B=.265, p<.001)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회귀계수를 통해 분석대상 기간에 걸쳐 노인의 자산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가 상호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이전 시점의 노인의 자산은 이후 시점의 우울(B=.010, B=.011, p<.001), 이전 시점의 노인의 자산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B=.128, B=.124, p<.001)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산관리서비스와 지속적인 자산활용 교육 등의 우울 예방서비스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자산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hysical Health and Asset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 이형하;류은실;송민엽;이근형;최진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79-180
    • /
    • 2019
  • 본 연구는 5차국민노후보장패널 데이터(KReIS)를 활용하여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자산(총자산-총부채=순자산)이 우울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늘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65세이상 노인 3,960명이다. 주요 분석변수는 독립변수로 신체적 건강, 순자산, 매개변수로 우울감, 종속변수로 삶의만족을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할 것이다.

  • PDF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자산이 미치는 영향: 비동거 자녀와의 경제적, 정서적 지지교환의 매개효과 (Assets of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s: Mediating Effects of Financial and Emotional Support with their Children Not Living Together)

  • 원도연;노재현;신용석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87-705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자산의 영향력과 이들의 관계에서 비동거 자녀와 교환하는 경제적,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로부터 수집된 제5차 자료에서 자녀와 분거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1,977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산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노인의 자산은 자녀와의 경제적 지지교환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노인의 자산은 자녀와의 정서적 지지교환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자산관리 및 노부모-자녀 간 지지교환측면의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국 노인층의 자산 상속 계획 - 유언장 준비를 중심으로 - (Estate Planning among the U.S. Elderly - Focusing on Wills -)

  • 이지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3-131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노인층을 중심으로 자산 분배 계획(estate planning)의 한 형태인 유언장 작성 현황 및 유언장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시간 대학 Survey Research Cutter에서 조사하고 National Institute on Aging에서 지원한 1994년 미국 노인층의 자산과 건강역동성에 관한 조사(Assets and Health Dynamics Among the Oldest Old) Wave 1을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70세 이상의 5,365 노인가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1) 유언장을 준비한 노인들의 profile을 작성하고, 유언장 준비 여부별 노인들의 financial portfolio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2) 유언장 작성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조사하며, (3) 본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경제학자 및 가계 재무상담자에게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결과는 (1) 자산 분배 계획(유언장 준비, 증여, 종신보험 가입등) 정도는 노인층들에게서 조차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나이가 많으며, 부유하고 교육수준이 높으며, 백인이고 건강한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유언장 준비를 할 확률이 높았으며, (3) 이타심(altruism)의 proxy 변수인 자선봉사 활동 참여와 기부여부도 유언장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 재무 advisor가 있고, 자녀수가 적은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 유언장을 준비할 가능성이 높았다. (5) 그리고, 종신보험에 가입했거나, 지난 10년간 자녀에게 증여를 한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 유언장을 준비할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계 재무 상담자 및 후속 연구 위한 제언들이 제시되었다.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지식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Nursing Homes)

  • 이혜진;모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398-40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에 기업의 경영방식 중 하나인 지식경영을 접목해 지식경영의 요인인 인적 자산과 구조적 자산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충청남북도 소재의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22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적 자산의 하위요소인 공유문화와 프로세스의 영향력이 높았고 나이, 직위, 운영주체가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적 자산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프로세스 수준이 높고, 공유문화가 발달되고, 나이와 직위가 높을수록, 개인보다 의료와 종교 법인이 운영할수록 조직성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요양시설의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유문화를 높이기 위한 조직 간의 적극적 지식공유에 대한 협조가 필요하고, 기관은 프로세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소득, 지출 및 자산 충분성 분석을 통한 취업노인가계와 비취업노인가계의 재정상태 비교 (Comparison of Financial Status of Employed Elderly Households versus Unemployed Elderly Households Focused on income adequacy, expenditure adequacy and wealth adequacy)

  • 정순희;김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3-122
    • /
    • 2002
  • This study compared the financial status between the employed-elderly households and the unemployed-elderly households, focused on income adequacy, expenditure adequacy and net wealth adequacy. Using data from 1997 KHPS, the lower financial status of the unemployed elderly households were found. Nine measures of financial status were used : income, per capita income, income-to-needs ratio, expenditure, per capita expenditure, expenditure-to-needs ratio, net wealth, net wealth-to-income ratio and net wealth- to-expenditure rati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employed elderly households had 68%~77% of income adequacy and 72%~83% of expenditure adequacy for employed elderly households. Holding for gender, age, education, earners in the household, living area and home ownership constant, although the gap was getting small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nemployed-elderly households and the employed-elderly households were persi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unemployed-elderly households and the employed-elderly households can not be regarded ac homogeneous group when public policies are developed.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Poverty of the Elderly : Utilizing the Panel Data Model)

  • 최옥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5-2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노인으로만 구성된 가구를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설명변수를 투입하고, 패널분석(panel data model)을 활용하여 노인의 특성별로 이들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연령, 학력, 혼인상태, 자산, 거주지역 등과 함께 과거의 직업력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노인의 특성별로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노후의 상황만을 고려한 노인의 탈빈곤정책은 사후적이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따라서 잠재적으로 노인 빈곤층이 될 수 있는 현재의 근로빈곤층에 대한 정책의 중요성과, 현재 보험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적연금제도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시사한다.

  • PDF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경제적 지위, 심리사회적 요인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Self-rated Health among Elderly -Focused on Psychological Dispositions, Social-Economic Status-)

  • 이옥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24-4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 사회경제적 지위, 심리사회적 요인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 방법으로 비교하고, 이러한 효과크기들이 조절변수인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메타 회귀분석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 논문 80편에서 추출된 총 487개의 효과크기이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배우자지지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소득, 교육수준, 직업, 자녀지지, 자산, 가족외 지지, 가족지지, 사회활동 순이었다. 둘째, 여성노인일수록 소득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긍정적으로 미치던 영향력이 감소하고, 가족외지지의 영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제언은 노년기 건강에 있어서 배우자지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의 건강지원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점과, 여성노인을 위한 소득보장정책과 가족외지지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중·고령자의 자산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old aged' Asse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이형하;송현주;윤정희;이근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71-79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 중고령자(45세 이상)를 대상으로 자산과 삶의 만족 간에 관계에서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 5차 본조사(2013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5.0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고령자의 자산은 우울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우울감은 삶의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고령자의 자산은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고령자의 자산은 우울감의 매개를 거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세대의 자산형성 지원 프로그램 도입과 노인세대의 기초연금의 보편적 실시와 점차적인 급여인상 등의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