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4.424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Self-rated Health among Elderly -Focused on Psychological Dispositions, Social-Economic Status-  

Rhee, Ok-Jin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노인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ze and compare the effect siz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self-rated health among older adults. Also, to examine whether those effect sizes had been affected by certain moderator like gender through meta-regression analysis was attempted. A total of 487 effect sizes computed from 80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fore 2013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spousal support had the largest effects, followed by incom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support of children, assets, non-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Secondly, while the positive effect of non-family support on self-rated health increased for women than men, the positive effect of income decreased. Th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The importance of spousal support should be recognized for later life's health and the health support for those who had been bereaved must come first. Income security policies and non-family support for elderly women must be strengthened.
Keywords
Elderly; Self-rated Health; Socioeconomic Status; Psychosocial Factor; Meta-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2 M. W. Lipsey and D. B. Wilson, Practical Meta-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1.
3 이제영, "메타분석을 통한 영어 교과에서의 문법 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743-752, 2016.   DOI
4 김지영, 김정렬, "영어 동화를 활용한 읽기 교육의 효과성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741-756, 2016.   DOI
5 A. M. Aloe and C. G. Thompson, "The Synthesis of partial Effect Sizes," J. of the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Vol.4, No.4, pp.390-405, 2013.   DOI
6 정여진, 정영숙,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 노년학, 제34권, 제4호, pp.781-797, 2014.
7 M. R. DiMatteo, K. B. Haskard, and S. L. Williams, "Health Beliefs, Disease Severity, and Patient Adherence: a Meta-analysis," Medical Care, Vol.45, No.6, pp.521-528, 2007.   DOI
8 M. Pinquart and S. Sorensen, "Influence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 and Compet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Vol.15, No.2, pp.187-224, 2000.
9 김여진, 임연옥,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 권, 제15호, pp.195-209, 2000.
10 S. Duval and R. Tweedie,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95, No.449, pp.89-98, 2000.
11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Routledge. 1988.
12 정인숙, 전성숙, 황선경, 김동희, 하주영 역,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J H. Littell, J. Corcoran, and V. Pillai.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수문사, 2011.
13 정순둘, 김유휘, 최혜지,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2호, pp.63-90, 2013.
14 고영미, 조영태, "일반 독거노인과 저소득 독거 노인 간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인 차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0권, 제2호, pp.41-53, 2013.
15 강혜원, 한경혜, "부정적 가족 생활사건, 배우자 지지와 정신건강-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8호, pp.55-68, 2005.
16 남은우, Ikeda, Green, 문지영, 박명배, "Determi nants of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Healthy City Wonju, Republic of Korea,"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5권, 제5호, pp.65-77, 2008.
17 A. Ritsatakis, "Equity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t a City Level,"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24(suppl 1), pp.i81-i90, 2009.   DOI
18 김동배, 유병선, 이정은, "노인의 건강불평등: 교육불평등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대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1호, pp.117-142, 2012.
19 송미숙, 송현종, 목진용, "경로당 등록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제23권, 제4호, pp127-142, 2003.
20 P. Braveman, "What is Health Equity: and how does a Life-Course Approach take us further toward it?,"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Vol.18, No.2, pp.366-372, 2014.   DOI
21 P. McDonough and V. Walters, "Gender and Health: Reassessing Patterns and Explanation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52, No.4, pp.547-559, 2001.   DOI
22 강혜원, 조영태,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4호, pp.164-201, 2007.
23 임소영, 강민아, 조성일,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281-308, 2013.
24 강이주, 이영애,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6호, pp.1031-1044, 2010.   DOI
25 차승은,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차이: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7권, 제2호, pp.371-392, 2007.
26 한경혜,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국사회학, 제42권, 제3호, pp.86-118, 2008.
27 이정숙, 이인수,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 연구, 제27권, pp.231-253, 2005.
28 전해옥, 김옥수, "직업유무에 따른 노인의 건강 상태, 수면 및 우울의 비교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203-1211, 2012.   DOI
29 안옥희, 이종화,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86-290, 2008.
30 전해숙,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5권, 제2호, pp.35-53, 2012.
31 김승곤,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주관적 건강," 노인복지연구, 제28권, pp.187-206, 2005.
32 M. G. Taylor, "Timing, Accumulation, and the black/white Disability Gap in later Life," Research on Aging, Vol.30, No.2, pp.226-250, 2008.   DOI
33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DOI
34 M. G. Taylor, "Capturing Transitions and Trajectories: the Role of Socioeconomic Status in later Life Disability," J.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5, No.6, pp.733-743, 2010.
35 S. Haas and L. Rohlfsen, "Life Course Deter minants of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functional Health Trajectori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70, No.2, pp.240-250, 2010.   DOI
36 E. Grundy and G. Hol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older Adults: how should we measure it in Studies of Health Inequalities?," J.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55, pp.895-904, 2000.
37 박진욱, 한윤정, 김승섭, "고용형태의 변화에 따른 건강불평등," 예방의학회지, 제40권, 제5호, pp.388-396, 2007.
38 C. Segrin and S. A. Passalacqua, "Functions of Loneliness, social Support, Health Behaviors, and Stress in Association with poor Health," Health Communication, Vol.25, No.4, pp.312-322, 2010.   DOI
39 I. McDowell,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0 G. G. Fillenbaum, "Social Context and Self-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0, No.1, pp.45-51, 1979.   DOI
41 최영, "가구형태에따른노인의건강상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9권, pp.123-149, 2005.
42 장지연, 부가청, "우리나라 중.노년 인구의 건강 상태-주관적 건강상태의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인구학, 제30권, 제2호, pp.45-69, 2007.
43 한국건강형평성학회, 건강형평성 측정 방법론, 도서출판 한울, 2008.
44 E. Van Doorslaer and A. M. Jones, "Inequaliti es in Self-reported Health: Validation of a new Approach to Measurement," J. of Health Economic, Vol.22, No.1, pp.61-87, 2003.   DOI
45 M. Jylha, "What is Self-rated Health and why does it predict Mortality towards a unified conceptual Model,"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69, No.3, pp.307-316, 2009.   DOI
46 이인정, "노인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 연구- 건강,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 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5-50, 1999.
47 정연, 조영태, 오주환, "소득수준이 주관적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대별 차이: 2001, 2005년 서울시민보건지표조사 자료의 분석결과," 예방의학회지, 제40권, 제5호, pp.381-387, 2007.
48 박보현, 정민수, 이태진, "Associations of Inco me and Wealth with Health Status in the Korean Elderly," 예방의학회지, 제42권, 제5호, pp.275-282, 2009.
49 K. Shibuya, H. Hashimoto, and E. Yano, "Indivi dual Income, Income Distribution, and Self Rated Health in Japan: cross Sectional Analysi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4, No.7328, pp.16-19, 2002.   DOI
50 전경숙, 장숙랑, 이선자, "노인의 장애 및 주관적 건강의 남녀차이와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 예방의학회지, 제42권, 제3호, pp.199-207, 2009.
51 이성희, "대구시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13-124, 2012.   DOI
52 이미애, 김대철,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요인 및 건강행태 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7-49, 2013.   DOI
53 M. Borenstein, L. V. Hedges, P. T. Higgins, and H. R. Roth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A Jon Wiley and Sons, 2009.
54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55 M. Sverke, J. Hellgren, and K, Naswall, "No Security: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Job Insecurity and its Consequences," J.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7, No.3, pp.242-264, 2002.   DOI
56 N. Kondo, G. Sembajwe, I. Kawachi, R. M. van Dam, S. V. Subramanian, and Z. Yamagata, "Income Inequality, Mortality, and Self-rated Health: Meta-analysis of Multi-level Studies," British Medical Journal, Vol.339, pp.1-9, 2009.
57 우해봉, 윤인진, "한국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지위의 차이," 보건과 사회과학, 제9권, pp.66-107, 2001.
58 이미숙, "고령화 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제 25권, pp.5-32, 2009.
59 정혜주, Carles Muntaner, EMCONET Network, "고용관계와 건강불평등: 경로와 메커니즘에 관한 탐색," 한국사회정책, 제18권, 제3호, pp.245-28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