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인교육

검색결과 1,364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 대상의 스마트폰 활용교육용 앱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App for Elderly Smartphone Uses)

  • 김동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21-123
    • /
    • 2018
  • 노인복지회관에서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법 도움 봉사활동을 하면서, 어르신들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관심 주제 및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 대해 사전에 진행된 조사 결과[1]를 바탕으로 그 오프라인에서 반복적으로 교육되던 내용과 노인 대상의 UI설계 사항들을 고려하여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활용교육용 앱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 앱은 기존의 오프라인 봉사활동와 연계하여 사용한다면 시간과 비용, 그리고 내용면에서 더 효율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martphone Education on th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Well-being for the Elderly)

  • 서상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65-171
    • /
    • 2019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교육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일대일 교육 방식을 적용한 스마트폰 교육의 긍정적인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 기간은 2018년 5월 14일~6월 11일 까지로 총 5주간 일주일에 1번, 1시간 30분 동안 진행하였고, 노인 1명과 봉사자 1명으로 구성하여 일대일 멘토링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교육을 통해 노인들의 자기 효능감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행복감과 삶의 질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들을 긍정적인 삶의 유지를 위해 정보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노인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노인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a Geriatric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고지운;양지원;정미영;차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63-372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 돌봄에 대한 이론과 실습교육이 융합된 노인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 간호실천 의지 및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로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 A시 소재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9명이었다. 인성함양, 역량개발, 글로벌 역량개발, 지역공헌을 포함한 노인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은 2017년 8월 28일부터 2017년 12월 8일까지 80시간 동안 진행 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Z=-.46, p=.66), 노인 간호 실천(Z=-.64, p=.53), 글로벌 역량(Z=-1.08, p=.2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노인간호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노인과의 경험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 형성을 위하여 교과목 간 융합과 연계 및 노인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실습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고찰 (Review of educa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desirable attitude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 염현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61-571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의 학부 간호교육에서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강화하기 위해 시도된 새로운 교육적 접근법을 고찰하고 국내 간호교육에서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PubMed, CINAHL의 검색엔진을 사용해 미국 John A. Hartford 재단의 지원으로 노인간호교육을 위한 획기적인 전략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 간호대학의 연구 8편과 그 외 다양한 교육적 방안을 고찰한 논문 4편을 포함한 12편의 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간호에 대한 올바른 태도형성을 위해 제시된 교육적 접근법은 다음의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노인간호에 대한 간호전공교과 간의 연계교육, 2) 지역사회 노인의 교육적 멘토 역할, 3) 시청각 매체의 활용, 4) 자기성찰을 통한 토론학습. 향후 응용: 국내 간호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연계교육을 위한 간호전공교과목 간의 긴밀한 협의 및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을 위한 교육행정부서의 협조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기관과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이 교육적 멘토로 참여하는 방안을 적용해 나갈 수 있다. 무엇보다,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형성을 위한 간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자의 교육역량강화와 새로운 교수법 개발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요구된다.

치과위생사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도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박정란;권선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9-286
    • /
    • 2009
  • 본 연구는 일부 경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53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1일에 시행 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제고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하는 목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알고 있는 응답자는 41.9%였으며, 치과위생사가 장기요양요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는 31.6%로 낮았다. 또한 향후 장기요양요원으로 참여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는 43.1%이였으며, 방문간호센터에서 근무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도 43.1%로 나타났다. 장기요양 요원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의사를 보인 응답자는 76.7%이였으며,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적정한 연령용 40~50대가 가장 적당하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48.6% 가장 많았다. 2. 노인환자 구강관리 경험여부에서는 자주하는 경우는 51.8%로 조사되었으며 노인환자에 대한 친밀도에서는 편안하다라고 느끼는 경우는 31.6%로 나타났다.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경우는 33.6%이었으며 재학시절 노인과 관련 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경우가 34.8%, 재직 중에 노인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경우는 90.9%, 노인의 구강건강문제 관심도에서는 68.6%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인환자의 구강관리에 대한 경험여부와 치위생(학)과 재학 시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은 장기요양요원의 적정연령의사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p<0.01, p<0.05). 또한 조사대상자의 자원봉사경험여부와 재직 중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여부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이해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4. 노인구강건강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 장기요양요원 활동정보에 대한 이해,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근무의사여부, 방문간호센터 근무의사여부, 장기요양요원 별도교육 필요여부, 장기요양요원 적정연령의사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p<0.01, p<0.001).

  • PDF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 하경분;주민경;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60-170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 전명숙;태명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23-33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노인 여가참여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한국고령화 연구패널조사(KLoSA)" 4차 조사에 참여한 총 7,48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인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의 경우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둘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인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노인의 여가참여라는 매개변수의 효과를 통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노인의 경우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높을수록 여가참여 수준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Elderly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Career Barriers)

  • 장경미;조아랑;현영섭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679-698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영향에 대한 소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소득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D시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위해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진로장벽에 부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평생교육에 참여하거나 참여한 노인은 능력을 발전시키고, 인정받음으로써 진로장벽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소득은 진로장벽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이 많을수록 진로장벽의 부적 관계가 강화됨을 확인했다. 셋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국노년학』의 교육 분야 연구동향 (Critical Review on Research on Educational Gerontology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한정란;김영석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685-70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년학의 30년(1980년-2008년)간의 노년교육 분야 논문을 분석한 한정란(2008) 이후 최근 10년간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노년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노년교육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미래에 노년교육학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28권 3호(2008년 8월)부터 27권 4호(2017년 11월)까지 게재된 총 655편중에서 노년교육 관련 논문 70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노년교육 관련 연구는 "한국노년학"에 전체 게재된 연구 중 10.7%에 불과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0세 이상) 일반노인(52.9%)이, 연구유형은 실험연구(41.4%)가,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조사(42.9%)가, 자료분석방법은 처치-실험집단 간 차이검증(22.9%)이,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는 노인을 위한 교육(72.9%)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향후 노년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비형식 교육을 넘어서 삶의 경험과 무형식 학습을 통한 교육과 관련한 연구 진행, 노인 집단 내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 진행, 비판적 시각을 통해 노년교육에 대한 새로운 견해 제공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 미디어 교육을 통한 '여성 - 되기' 사례 연구 -노인 미디어 학습동아리 <은빛둥지> 활동을 중심으로 (Case Study of 'Becoming Women' through the Media Education -Media Education Club for Seniors )

  • 장유정;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0권
    • /
    • pp.277-305
    • /
    • 2015
  • 후기구조주의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는 소수성과 소수자에 관한 논의를 통해 현대사회는 이미 소수자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즉, 노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이자 특이성을 지닌 소수자들의 '- 되기'를 제시하고 있다. '- 되기'는 어떻게 하면 기존의 동일성에서 분열하여 다른 삶, 다른 주체로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방법론이다. 연구 목적은 '여성 - 되기'를 위한 노인 미디어 교육을 탐색하여 노인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노인 미디어 교육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론적 논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주요 개념과 사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유를 전제하는 이유는 기존의 양적 기준으로 정의되었던 소수자와 소수성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소수자로서 노인여성들의 욕망을 '- 되기'라는 생성의 차원으로 재조명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노인 미디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