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관리

검색결과 1,211건 처리시간 0.031초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 융복합적 접근 방안 모색 (Perception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geriatric hospital : for convergent approach)

  • 이덕자;고성희;이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461-470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적 접근을 위해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를 파악하고, 제변수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이다. Lee(2011)가 사용한 병원감염관리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0월 29일부터 11월 3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및 Correlation 으로 분석하였다. 병원감염관리 실천도의 평균 점수는 인지도 평균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영역별 인지도와 실천도는 손씻기 영역, 호흡기감염관리 영역, 소독 오염물품관리 영역, 감염성 폐기물관리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천도가 인지도보다 낮았다. 인지도는 연령, 학력, 감염관리지침서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실천도는 감염관리지침서 유무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병원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요양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지속적이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실제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과 병원감염관리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를 제기한다.

노인의 의치관리 교육이해에 따른 의치관리 실태 연구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Denture Management in Understanding of Denture Management Education of Elderly)

  • 이정화;김지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59-165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의치보철 사후관리와 관련하여 의치관리 교육이해에 따른 의치관리실태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2016년 10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대구지역의 65세 이상 의치 장착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치관리 교육이해는 연령, 교육 수준, 의치제작비용충당, 주관적 건강상태, 의치 위치, 상 하악 의치착용년수, 치과관리방문횟수, 구취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의치관리 교육이해을 종속변수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의치제작비용충당, 주관적 건강상태, 구취 정도가 부(-)적 영향을 주었고, 의치 위치가 정(+)적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의치 장착의 사후관리에 있어서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관리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공통된 관리교육 매뉴얼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의 간병인을 통한 구강건강관리 효과 (Effects of Oral Hygien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atients by Caregiver's in Rural Long-term Care Hospital)

  • 김경원;윤희정;김미령;이희경;이경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13-20
    • /
    • 2010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구강위생상태가 개선되기 위한 우리나라 노인의 실정에 맞는 구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07년 12월에서 2008년 6월까지 충북 목천에 있는 노인요양병원 한 곳의 노인환자 53명을 관리군으로 선정하여 구강검사 및 구강위생검사를 한 후, 간병인에게 잇솔질 교육과 의치관리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받은 간병인이 1일 1회 구강위생관리를 지도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에 있는 노인요양병원의 노인환자 52명을 선정하여 관리군과 같은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월간의 구강위생관리 실시 후, 구강관리의 효과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강위생관리를 실시 전 대조군과 관리군의 일반적인 특성, 질병의 유병률, 구강상태, 구강위생상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아우식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개월 후의 두 군을 비교한 결과, 치면세균막점수는 구강관리 실시 후 관리군에서 19.0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에서는 1.2점 증가하였다(p=0.566). 구강관리 실시 전 치면세균막점수를 통제한 후 그 효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리군과 대조군 간에 구강위생, 치면세균막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구강위생상태의 변화는 대조군에서 치면세균막이 중등도 이상 발견된 비율이 82.7%에서 76.9%로 4.8%P 감소했고 관리군은 84.9%에서 58.5%로 26.4%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4). 설태가 다량 발견된 비율은 대조군에서 90.4%에서 94.2%로 3.8% 증가했고, 관리군은 90.6%에서 59.1%로 31.5%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의치 오염도는 대조군에서 중등도 이상인 비율이 75%에서 78.8%로 3.8% 증가했고, 관리군은 73.6%에서 43.4%로 30.2%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이 연구는 장기요양 노인 환자들에게 3개월 동안 간병인을 통한 구강관리를 시행한 결과, 구강위생상태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요양 노인환자에 대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독서요법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 노인들의 우울정서를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for Depressed Older Adults)

  • 유해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7년도 제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4
    • /
    • 1997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정신적 갈등 및 우울정서를 개선하기 위한 독서요법의 처치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65세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검사척도표를 통해 실험에 적합한 연구대상자을 모집하고,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상호협력적 독서요법과 독자적 독서요법의 처치효과를 T-검증 및 MANOVA등을 통해 비교분석한다.

  • PDF

동아리 활동을 통한 감성마을 사례 연구

  • 정봉선;송인방;김연종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한 사례로 경상남도 화동군 화개면 대성리 의신마을의 노인주민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유산 개발과 자발적(생산적) 문화주체발굴 및 양성을 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2017년부터 2019년의 3년차 사업으로 지역의 마을회(영농회, 부녀회, 청년회, 노인회)와 체험시설 관리운영, 체험행사 관리, 가공시설장 활용, 체험 프로그램 기획/운영, 마을기반조성사업 및 관광체험을 주요활동으로 하는 영농조합법인의 유기적 협력을 통하여 주변의 특산물, 자연환경, 산업환경 및 지리산을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역사 문화환경이 연계되어 진행되는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이다. 특히 농악/낙차 동아리, 사진동아리, 그림동아리, 압화동와리와 같은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산골의 지역적인 약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을 향유하려는 시대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발전을 지속하고자 함이 취지이다.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감성지능의 변화에 의한 지역공동체의식과 6차산업 기업가 정신 및 노인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U-SilverCare용 노인 건강관리 시스템 구현 (U-SilverCare Silver Health Care System Implementation)

  • 손소희;김주관;이승제;김영만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3-506
    • /
    • 2008
  • 현대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접어들면서 노인에 대한 의료 복지 서비스의 필요성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의료비 상승과 관련 인력 부족으로 노인 의료 환경 조성에 대안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IT 기술을 이용한 U-Health 시스템이 발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속도 감지 센서와 무선 통신, 인터넷을 이용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USilverCare용 노인 건강 관리 시스템의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구현한다.

  • PDF

노인 건강과 재활을 위한 디지털 실버케어 (A Disital Siver Care for the Health and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1-86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구현하는 실버케어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노인건강과 재활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을 기술함으로서 향후 디지털 기반의 실버케어 상용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활동장애나 건강상의 문제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에브리데이 테크놀러지(Everyday Technology)를 활용한 건강관리와 재활을 위한 실버케어로는 첫째, 자신이 살던 집에서 독립생활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디지털기술이나 IT기술을 통해 가능한 스마트 주거 서비스인 건강지원 스마트 홈(Health smart home)을 들 수 있다. 둘째, 인공지능과 로봇을 활용한 기술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고도화된 지능에 기반한 로봇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보조하고, 건강상태를 체크하며, 양질의 의료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지원하여 노인들의 건강과 재활을 위한 보조역할이 가능하다. 이들 실버케어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노인의 신체적 능력과 건강상태 등 현재 상황에 맞는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디지털 소외계층인 노인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실사용 노인들의 요구를 반영한 필수적인 기술 활용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노인에게 필요한 영양소는 따로 있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2권3호통권352호
    • /
    • pp.26-27
    • /
    • 2008
  • 노년기에 들어서더라도 신체가 요구하는 기본적인 영양소는 변하지 않지만 열량 요구는 감소된다. 이는 젊었을 때보다 활동량이 적어지는 노년기의 환경적 원인과 함께 체질량 감소 및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지방세포 때문이다. 지방세포는 비지방세포와 비교해 늦게 대사되며 칼로리도 신속히 소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노인일수록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되 열량은 줄이는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