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면 소음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Tire/Pavement Noise Simulator (도로포장면과 타이어간의 소음 재현장비의 개발)

  • Kim, Young-Kyu;Lee, Seung-Woo;Yoo, Tae-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9 no.3
    • /
    • pp.51-62
    • /
    • 2007
  • Recently various low-noise-pave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Since tire/pavement noise is the major source of traffic noise at high speed condition, the core-technology of low-noise pavement is to produce the road surface texture that can reduce tire/pavement noise. The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low-noise pavements are high costs and time to construct test roads, since vehicles have to travel on the test roads to evaluate the noise from a particular condition of pavement surface. Tire/Pavement Noise Simulator were developed to overcome those difficulties and the reliability of developed Tire/Pavement Noise Simulator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simulating and measuring the noise of tire-tined concrete pavement and tire-non tined concrete pavement.

  • PDF

Estimation of Tire-Pavement Noise for Asphalt Pavement by Mean Profile Depth (Mean Profile Depth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의 타이어-노면소음 산정 연구)

  • Hyun, Tak Jib;Hong, Seong Jae;Kim, Hyung Bae;Lee, Seung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631-1638
    • /
    • 2013
  • Distress data, IRI, etc.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pavement condition. Recently, the need to consider tire-pavement noise in PMS (pavement management system) is raised. Generally, tire-pavement noise highly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pavement texture. Therefore, estimation of texture characteristics may give useful information to predict tire-pavement noise. Measurement of MPD (Mean Profile Depth) by using PLP (Portable Laser Profiler) provide very fast. The texture characteristics by means of MPD can be in a short time. hence, It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give noise information, if MPD and tire-pavement noise have robust relationship. In this study, MPD and tire-pavement noise were simultaneously collected on the number of asphalt section to evaluate the tire-pavement noise due to the pavement texture characteristics. A set of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propose relationship between tire-pavement noise and MPD for asphalt concrete pavement.

Pattern Noise Prediction for Passenger Car Tire (승용차용 타이어 패턴에 따른 소음 예측 기법)

  • 이승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7.11a
    • /
    • pp.39-39
    • /
    • 1987
  •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여러 가지 발생원으로부터의 복합적인 것으로서 차량의 속도가 고속화하면서 타이어 소음의 기여도가 매우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이어 소음은 근본적으로 노면과 타이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데 타이어/노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마모상태, 차량속도, 하중, 공기압, carcass 구조, 타이어 온도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tread 모양과 노면의 상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용 155SR13 radial 타이어를 대상으로 하여 실내에 설치된 dynamometer를 이용하여 groove 의 개수, groove 길이, groove 폭, groove 깊이, groove 방향 등 트레드 패턴 인자가 발생소음에 미치는 기여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트레드 패턴형상에 따른 소음도를 예측할 수 있는 실험식을 구했다. 또한 단일 groove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시간신호를 측정하여 모델화하고 차량속도와 groove 사이의 간격에 따른 시간신호를 합성하고 이 신호로부터 FFT 알고리듬을 통해 소음 spectrum을 구하는 소음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비교적 단순한 tread 패턴에 대해 이를 적용한 결과 실험적으로 구한 spectrum과 상당히 유사함을 볼 수 있었다.

  • PDF

Mix Design of Small-Size Quiet Pavement (소입경 저소음 포장의 배합설계)

  • Jo, Shin Haeng;Kim, Nak Seok;Kim, Young Jin;Kim, Wan Sang;Lee, Suck H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8-178
    • /
    • 2011
  • 도로소음은 다양한 소음원에 의해 발생하며, 도로를 이용하는 사람과 도로 주변사람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보다 쾌적한 환경을 원하는 현대인에게 있어 도로 소음의 경감은 중요한 환경 공해로 작용한다. 도로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중 도로 포장의 개선을 통해 도로 소음을 경감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포장을 저소음 포장이라고 한다. 저소음 포장은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와 노면이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 발생의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저소음 포장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공극을 늘리는 것이다. 약 20%의 공극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에어펌핑음을 최소화 하며, 소리를 흡수하는 역할로 약 3dB의 소음 가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음을 감소시키는 또 하나의 방법은 노면의 표면 조직을 매끈하게 하여 타이어와 노면의 충격음을 줄이는 방법이다. 노면의 평탄성을 개선하기 위해 포장에 사용되는 골재의 최대크기를 줄이는 소입경 포장을 소음 가소의 목적으로 유럽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저소음 기능을 위해 공극률을 크게 하고 소입경 골재를 사용하는 소입경 저소음 포장의 현장 적용을 위한 배합 설계를 수행하였다. 소입경 저소음 포장의 최대 골재 크기는 현장 적용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10mm 골재를 사용하였으며, 수도권에서 입수한 4곳의 산지 골재를 분석하여 골재 합성 입도를 산정하였다. 10mm 저소음 포장의 골재 입도 범위는 공극률 15~18%를 목표로 하며, 이를 만족하기 위하여 배합 설계를 수행한 결과 5mm 통과 중량 백분율이 약 30%로 하는 개립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극이 증가함에 따라 포장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사용된 고점도 바인더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 및 시공온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굵은골재의 비율이 높은 개립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 운반과정과 포설 과정에서 온도가 빨리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온 첨가제의 사용을 통해 생산 및 다짐온도를 낮추고자 하였다. 소입경 저소음 포장의 배합설계 과정은 배수성 포장의 배합설계 과정과 유사하나, 칸타브로 손실률과 흐름실험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할 경우, 칸타브로 손실률과 흐름 손실률이 매우 작아 변곡점을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칸타브로 손실률과 흐름 손실률의 기준 만족 여부로 판별하고, 최적 아스팔트 함량은 공극률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온 첨가제를 사용할 경우는 중온 첨가제로 인한 점도의 변화를 감안하여 혼합 및 다짐 온도를 결정하고 배합 설계를 수행하며, 중온 첨가제의 특성과 양에 따라 최적 아스팔트 함량이 변화하게 된다.

  • PDF

Analysis of Vertical Vibration of a Passenger Car due to Road Excitation (노면가진을 받는 승용차의 진동해석)

  • 최영휴;김원석;민현기;이장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143-147
    • /
    • 1990
  • 자동차는 주행시에 노면가진으로 인하여 진동을 받게 되는 데 이러한 진동 은 운전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화물과 차량 부품을 파손시키 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노면가진력은 주로 현가장치를 통하여 차량에 전달 되어 차량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므로 승차감을 향상시키려면 노면가진을 효 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현가장치를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 문에서는 차량을 현가장치의 형식에 따라 3가지 종류로 구분한 다음 각각을 12자유도로 모델링하여 노면이 불규칙(random)한 도로를 주행할 때의 승용 차의 진동을 해석하고, 현가스프링의 강성과 쇼크 압소바의 감쇠 값이 자체 수직 가속도 유효치(rms value)와 현가장치 유효행정(rms stroke l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차량의 운동방정식은 현가장치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미소 각 운동의 가정에도 불구하고 비선형 방정식이 된 다. 운동 방정식의 해는 4차 Runge-Kutta 적분법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으로 구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Friction Noise between Road Surface and Tyre (포장노면 종류에 따른 타이어/노면 마찰 소음의 실험적 평가)

  • Kim, J.H.;Choi, T.M.;Moon, S.H.;Seo, Y.G.;Park, J.S.;Do, C.S.;Cho, D.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6 no.10 s.115
    • /
    • pp.1067-1073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noise measurement results of 8 vehicles. The measurement was done by a close proximity method attaching surface microphones on the test vehicle. For the 9 road surface types constructed at Korean highway test road, the vehicles were tested from 50 to 120 km/h at the interval of 10 km/h in normal steady state and inertia cruising conditions. Using the results, we evaluate and discuss the effect of vehicle noise gener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 conditions for vehicle type, speed, road surface and loading condition, especially focused on friction noise between tyre and road surface.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Friction Noise between Road Surface and Tyre (포장노면 종류에 따른 타이어/노면 마찰 소음의 실험적 평가)

  • Kim, J.H.;Cho, D.S.;Choi, T.M.;Mun, S.H.;Seo, Y.G.;Park, J.S.;Do, C.S.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05a
    • /
    • pp.428-433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noise measurement results of 8 vehicles. The measurement was done by a close proximity method attaching surface microphones on the test vehicle. For the 9 road surface types constructed at Korean highway test road, the vehicles were tested from 50 to 120 km/h at the interval of 10 km/h in normal steady state and inertia cruising conditions. Using the results, we evaluate and discuss the effect of vehicle noise genera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 conditions for vehicle type, speed, road surface and loading condition, especially focused on friction noise between tyre and road surface.

  • PDF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소음 예측기법과 노면 개량화 방안

  • Heo, Gwang;Kwon, Hyeok
    • Journal of KSNVE
    • /
    • v.5 no.2
    • /
    • pp.153-157
    • /
    • 1995
  • 1968년 경인고속도로를 시작으로 국내 도로환경이 변화하면서 교통소음이 주거환경에 문제로 제기되었으며, 80년대부터 시작된 포장재질의 콘크리트화 추세는 교통소음의 증가요인이 되었고, 신도시 고속도로 및 도시외곽 순환도로 등의 확충 사업은 주거환경 내에서도 교통소음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도로교통소음은 주거환경의 쾌적성을 침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1993년 국내 환경오염 피해진정 건수중 소음.진동의 민원이 약 44%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며. 문제가 교통소음의 발생원은 자동차 발생소음(power level)은 각 음원별 소음특성을 검토 하는 것이 중요하나 소음의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각 음원별 특성을 포함한 연구로 1970년대 이후 급속히 전개되어 왔으나, 최근 도로변 건물의 고층화 현상은 방음(전파경로)대책 수립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노면(포장)형태에 따른 자동차 주행소음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Noise reduction of Asphalt Concrete Pavement : Techniques and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아스팔트 저소음 포장의 개발 및 공용성 평가)

  • Ock, Chang-Kwon;Kim, Jin-Hwan;Lee, Jong-Sup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1
    • /
    • pp.29-37
    • /
    • 2010
  • Porous pavements can provide road users with beneficial characteristics such as skid resistance and surface water drainage under rainy condition, and they cause less tire-road noise than conventional hot mix asphalt(HMA) pavements. However, voids of porous pavements are easily clogged by road debris at early stages, which leads to frequent maintenance work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way of minimizing void clogging in porous pavements. During mixture design, the quantity of coarse aggregate has been increased to form many straight void conduits (SVCs) in porous HMAs. These SVCs were found to be effective resisting the void clogging problems. Four different porous HMAs(19mm, 13mm, 10mm, and 8mm) were developed and placed on highway roads. Their performances were validated with field tests during the past four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