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ise reduction of Asphalt Concrete Pavement : Techniques and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아스팔트 저소음 포장의 개발 및 공용성 평가

  • 옥창권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포장연구팀) ;
  • 김진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포장연구팀) ;
  • 이종섭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포장연구팀)
  • Received : 2009.07.14
  • Accepted : 2009.11.20
  • Published : 2010.03.15

Abstract

Porous pavements can provide road users with beneficial characteristics such as skid resistance and surface water drainage under rainy condition, and they cause less tire-road noise than conventional hot mix asphalt(HMA) pavements. However, voids of porous pavements are easily clogged by road debris at early stages, which leads to frequent maintenance work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way of minimizing void clogging in porous pavements. During mixture design, the quantity of coarse aggregate has been increased to form many straight void conduits (SVCs) in porous HMAs. These SVCs were found to be effective resisting the void clogging problems. Four different porous HMAs(19mm, 13mm, 10mm, and 8mm) were developed and placed on highway roads. Their performances were validated with field tests during the past four years.

배수성 포장의 장점은 우천시 운전자에게 노면의 배수 기능과 타이어 노면의 마찰저항성과 같은 효과를 증대 시켜 일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타이어 노면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 해준다. 그러나, 배수성 포장은 공용 후 노면의 공극 막힘 현상 등으로 인하여 주기적인 유지보수 작업이 동반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저소음포장의 공극 형성은 굵은골재의 비율을 높여 공극형성을 직선화하여 투수 및 공극막힘 등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저소음포장인 19mm, 13mm, 10mm, 8mm 저소음포장은 현재 4년이 공용된 상태에서 양호한 포장상태를 보여주며, 특수성능은 신설수준인 투수성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미끄럼 저항성도 만족하는 우수한 공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2004
  2.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포장노면과 타이어간의 마찰음 분석 및 평가기법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3. 大西博文: 배수성포장의 소음저감에 관한 제특성, 자동차연구, Vol. 22, No.12, 2000
  4. 近藤升, 大西博文, 服部利周, 近藤晴彦: 배수성포장의 노면텍스쳐와 타 이어 근접음의 관계에 대해, 일본 음향학회 강연논문집, (사)일본음 향학회, 2000.9
  5. 장태순, '고속도로 방음벽 설치기준 개선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
  6. Rajib B. Mallick, Prithvi S. Kandhal, L.Allen Cooley. Jr, Donald E. Watson, 'Design,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New-Generation Open-Graded Friction Courses', NCAT Report No.2000-01,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