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루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식물자원의 Prolyl Endopeptidase 저해활성 탐색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Prolyl Endopeptidase)

  • 김금숙;이승은;이희주;김이민;전소영;박춘근;성낙술;송경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04
  • 200종의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PEP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81종의 식물추출물은 $10{\sim}30%$ 범위의 저해율을, 28종의 식물추출물은 10%이하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총 200종의 식물추출물 중 약 55% 정도의 식물추출물이 30%이하의 낮은 PEP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Prunus mume (매화나무) 잎 (95.3%), 노루발과 (Pyrolaceae)의 Pyrola japonica (노루발) 잎과 줄기 (93.2%), 물레나물과 (Hypericaseae)의 Hypericum ascyron (물레나물) 지상부 (90.2%), 범의귀과(Saxifragaceae)의 Astilbe chinensis var. typica (노루오줌) 지상부 (90.1%),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Elaeagnus umbellata (보리수나무) 잎과 줄기 (90.1%)등 5종의 추출물들이 5 ppm에서 PEP에 대하여 90% 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GPS와 CDMA를 이용한 난대림의 출산 전후 암노루 행동권 및 서식환경 조사 (Home Range Size and Habitat Environment Related to the Parturition of Roe Deer at Warm-Temperate Forest in Jeju Island Using GPS-CDMA Based Wildlife Tracking System)

  • 김은미;권진오;강창완;송국만;민동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5-74
    • /
    • 2013
  • 난대림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gus)의 생태 연구 일환으로 제주도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주시험림에서 실시하였다. 노루의 행동권과 서식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 4월 24일부터 수컷 3마리, 암컷 3마리의 노루를 포획한 후 GPS-CDMA 기반 추적기를 목에 부착하여 방사하였다. 암컷 중 2마리는 임신한 상태였으며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에 위치한 시험림에서 포획 및 관찰하였다. 암노루의 위치 추적을 통해 출산 전에는 불규칙인 이동이 관찰되다가 출산 후 일정한 지점으로 되돌아오는 규칙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동권 분석은 ESRI ArcView GIS 3.2a의 MCP(minimum convex polygon)와 Kernel Method를 사용하였다. 5월 9일에 포획한 암노루는 MCP=67ha, Kernel 95%=0.5ha이고 7월 12일에 포획한 암노루는 MCP=82ha, Kernel 95%=0.9ha로 확인되었다. 행동권 면적 변화를 살펴보면, 출산직후 새끼노루와 암노루는 위험노출을 줄이기 위해 타 동물들처럼 즉시 이동할 수 있음에도 대단히 좁은 지역에서 한동안 머물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행동권을 점차 넓혀가는 경향을 보였다. 암노루는 사람출입이 잦은 탐방로의 반대방향으로 주로 이동하였다. 암노루가 출산한 지역은 40년생 삼나무가 식재된 인공림으로 2010년 숲가꾸기를 통해 삼나무를 제외한 하층식생이 제거되었다가 현재는 먹이자원이 되는 새로운 관목이 우거진 곳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시업이 노루의 출산과 어린새끼의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난대림에서 암노루의 출산 시기는 제주도 내 높은 고도에서보다 다소 빨랐으며 행동권 면적은 다른 국가의 선행연구에 비해 좁게 나타났고 새끼를 숨기는 은신처의 서식환경은 다른 나라에서 연구된 보고와 비슷하였다.

제주도 노루의 개체수 관리를 위한 확장적 피식-포식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an Augmented Predator-Prey Model to the Population Dynamics of Roe Deer in Jeju)

  • 전대욱;김도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95-126
    • /
    • 2011
  •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a System Dynamics model with an augmented predator-prey interaction structure to deal with the population management of roe deer in Jeju, Korea. Although people still regard the creature as one of the important tourist attractions, there has been much debate on the issues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population size of roe deers because they have been stigmatized as crop damagers, and roadkill/poaching victims due to their natural habit to move around from the top mountain to the lowland of the island. The model is therefore to incorporate these migrating and grazing behaviors into an augmented Lotka-Volterra model coupling roe deer population in both parts of the island to that of predators and preys of the species. The authors also provide a comprehensive set of dynamic hypotheses and relevant CLD/SFD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dynamics of roe deer and co-evolving species and perform the steady-state analysis of the proposed equation system to verify the model behavior of the numerical example lastly presented in this paper.

  • PDF

제주도 한라산 노루에 관한 시스템적 접근 (A systemic approach for Roe Deer in Jesudo)

  • 김도훈;홍영교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7권2호
    • /
    • pp.191-213
    • /
    • 2006
  • Increasing of the number of Roe Deer in Jesudo is regarded as an direct cause of the damages of Roe Deer - i.e. damages of crops and trees by Roe Deer and traffic accidents between human and Roe Deer. But, no study of the number of Roe Deer in Jejudo has been found and never has been progressed it and nobody convinces about the total number of Roe Deer in Jejudo. In this paper, we focus at the moving pressure which enforces Roe Deer to move the other places. Moving pressure is appeared when the habitat environment destruction of Roe Deer and it forces Roe Deer in hilly section to move the middle mountains section and the low section. This moving pressure promotes the moving of Roe Deer to the other places and then the total number of Roe Deer in new places are increasing. High density of Roe Deer makes the habitat environment bad and increases the competition of Roe Deer. These patterns are repeated continuously. The habitat environment of Roe Deer is related with human life area very closely. We should keep and preserve our nature and environment, and if we develop our nature then we must consider our ecosystem in all aspects. It'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us and Roe Deer and other living things.

  • PDF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환경조건과 화학적 처리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hemical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Astilbe koreana (Kom.) Nakai)

  • 장보국;조주성;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5-240
    • /
    • 2016
  • 본 연구는 절화, 관상 및 의약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은 자생 숙은노루오줌의 종자 번식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종자는 크기가 0.62×2.22 ㎜이며, 1,000립중은 40.5 ㎎으로 조사되었다. 종자의 기간별 수분흡수율을 조사한 결과, 2.57%였던 수분함량이 침지처리 24시간 만에 29.8%로 증가하였으며, 종피의 팽창이 관찰되었다. 숙은노루오줌의 종자는 저온요구성 광발아성으로 15℃, 명조건에서 최종발아율(40.8%)이 가장 높았으며, 발아상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아율은 낮아졌다. 암조건에서는 어느 온도조건에서도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종자에 생장조절제 및 무기염류를 처리한 결과, KNO3는 농도에 관계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발아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KNO3 20 mM 처리구에서 최종발아율(77.8%)과 발아세(96.1%)가 향상되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11.3일)와 T50 (6.5일)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HPLC를 이용한 노루오줌 추출물의 Avicularin 및 Quercitrin 분석법 개발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of Avicularin and Quercitrin in Astilbe chinensis Extract Using HPLC)

  • 권진관;정연우;서찬곤;홍성수;신현탁;정수영;최정준;김진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3-340
    • /
    • 2019
  • 본 연구는 노루오줌(Astilbe chinensis)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avicularin, quercitrin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고, 품질관리를 위해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용 칼럼은 Capcell Pak C18 MGII을, 이동상은 0.05% (v/v) trifluoroacetic acid (TFA)와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컬럼 온도는 30℃ 에서 유속 1.0 mL/min 로 검출파장은 254 nm에서 검출하였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CH) 가이드라인(version 4, 2005)을 근거로 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분석하여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avicularin 0.094 및 0.285 mg/mL, quercitrin 0.031 및 0.095 mg/mL로 나타났으며, 검량곡선은 상관계수 값이 avicularin 0.99990, quercitrin 0.99994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정밀성 분석결과도 avicularin 0.59%, quercitrin 0.63% 이하로 확인되었다. 또한, 회수율은 avicularin 100.97 ~ 101.77%, quercitrin 100.18 ~ 100.32% 범위로 정확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분석법은 노루오줌 추출물 지표성분의 분석법으로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한국 및 중국산 약용버섯류의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medicinal mushrooms produced in Korea and China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안기홍;한재구;이강효;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39
    • /
    • 2019
  • 한국과 중국에서 재배한 약용버섯인 노루궁뎅이, 동충하초, 영지의 열수추출물과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해서 DPPH 라디컬 소거능, 아질산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 베타글루칸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측정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열수추출물과 70% ethanol추출물에서 한국산 노루궁뎅이와 동충하초가 월등히 높았으며, 추출용매별로 비교하였을 경우, 노루궁뎅이와 동충하초는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효능이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한국산과 중국산 영지의 열수추출물에서 각각 41%와 39%로 나타나 70% ethanol 추출물에 비하여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한국산 노루궁뎅이와 동충하초는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영지의 경우는 70% ethanol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베타글루칸 함량은 한국산 동충하초가 45.11%를 보이며 가장 높았으며, 영지 역시 중국에서 재배한 것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노루궁뎅이는 중국산이 한국산에 비하여 높은 베타글루칸 함량을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각각의 버섯류에 맞는 최적의 용매를 사용해야 최대의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노루궁뎅이, 동충하초, 영지가 한국 및 중국에서 재배되는 버섯의 대표성을 나타내기에는 부족하나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비교샘플을 확보하여 약용버섯류에 대한 기능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