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력성취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Character Education in Various Interaction-based Mentor Program: Focusing on "Becoming a Science Teacher" Activity (다양한 상호작용 기반의 멘토멘티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인성 교육 가능성 탐색 -"과학 선생님 되어보기" 활동을 중심으로-)

  • Kim, Sunhee;Shin,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9 no.1
    • /
    • pp.13-3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the character education and the concrete implementation proces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demand for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tri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character elements appearing in various science learning situations and to understand the qualities of each specific character elements that can be emphasized through science learning and the aspect of expression process in related learning situations. The researchers selected 11 students from the 7th and 8th graders in Seoul and developed and applied the 'Become a Science Teacher' mentor program in 2014 and 2015.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class recordings, mentor teachers' and assistant teacher's journal, artifacts, student journals, student portfolios, class listeners' essays for science class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 we extracted 11 character elements and reorganized them into 16 specific character elements revealed in various learning situation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haracter el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ight specific character elements that can be emphasized through science learning and related learning situations. The eight specific character elements ar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behavior due to hierarchy of scientific knowledge structure, communication for forming scientific concept, empathic concern based on science learning experience, cooperation for promoting rationality of inquiry method, positive perception of scientific endeavor, respect for scientists' attitudes toward research, confidence in future scientific research, persistence in trial and err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research methods of character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On the Problem of Virtue in Confucian and Neoconfucian Philosophy (유학 및 신유학 철학에서의 덕의 문제)

  • Gabriel, Werner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0
    • /
    • pp.89-120
    • /
    • 2013
  • The concept of virtue seems to be one of the rare cases where the European and the Chinese traditions coincide. The meaning of the Latin word virtus and of Greek $aret{\acute{e}}$ seems to be similar to the Chinese $d{\acute{e}}$德. Most striking in virtue is that it is a capacity for self-realisation through action which is unique to man. On the other hand, there is something physical about it. It is the strength to do something. This strength overcomes the resistance of what is naturally given, it transforms the world, turns the natural world into a human one. In the Chinese tradition, $d{\acute{e}}$ 德, i.e. virtue, is therefore always connected with $da{\grave{o}}$ 道, the totality of natural forces. In the Chinese tradition, as opposed to the European one, virtue is itself considered to be a natural force that is present in man. This force sustains man's connectedness, unity and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world. Things exist through the unity of principle理 and ether氣. But the knowledge of this unity is due to principle. Moral and legal norms are shifted totally to the sphere of principle. Therefore their have found the final dissolution from a heroic models. Above all the classical Confucians, but also the other schools, would reply to this that there is nothing more precise than a concrete successful action. Its result fits the world perfectly. The difference is due to the differing interest of ethical thought. In the case of the Confucians the path is more direct. The actor establishes a precise pattern for other actions. Education therefore lies in detailed knowledge about forms of behaviour, not so much in conceptual differentiation. It is quite possible that generalisation may be a methodical prerequisite for success in this endeavour. That problem, too, is discussed. But the success of conceptualisation lies in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individual actions, not in shaping actions in accordance with normative concepts.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Challenges with the Perspective of Structure and Agency When Implementing Social Action-Oriented SSI Education Classes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시행하면서 직면하는 초등 교사의 어려움 탐색 -구조와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 Lim, Sung-Eun;Kim, Jong-Uk;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2
    • /
    • pp.115-131
    • /
    • 2021
  • As the global climate change emergency is escalating, the need for 'Social Action-Oriented SSI (SAO-SSI) on climate change topics' in science education that can change society through social activity is increasing. By employing sociocultural theory, this study explores the challenges of limiting teacher's agency in implementing SAO-SSI on climate change topics in science education.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for 46 lessons,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field notes, and teacher reflection notes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e of into micro- (classrooms), meso- (school), and macro- (Korea society) level. At the micro-level, the teacher's new attempts of SAO-SSI on climate change topics class made it difficult for him to identify student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because they have a low sense of perception that climate change is also their problem. In addition, the teacher had difficulties leading students' into an engagement for social action because students were skeptical about the feasibility of planned social behavior by positioning themselves as children or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ocial action and sympathizing with its values. At the meso-level, a school culture that encourages the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similar to that of colleagues,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one's own curriculum. And it was difficult to develop expertise without the support and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who revealed the burden of unfamiliar science topics of climate change. In addition, conflicts aros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out-of-school social actions with the principal's passive support. At the macro-level, the insufficient proper material resources for SAO-SSI on climate change topics class, and negative perceptions on the students' social action in the society were acting as constraints. We offer implications for what kind of structural support and efforts from various subjects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should be provided to implement SAO-SSI on climate change topics class in science education.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Directions of Implementing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Local Regions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 Seol, Moon-Wo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6
    • /
    • pp.103-149
    • /
    • 2010
  • Documentation strategy has been experimented in various subject areas and local regions since late 1980's when it was proposed as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methods by archival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Though it was criticized to be too ideal, it needs to shed new light on the potentialities of the strategy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in digit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lementation issues of documentation strateg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of Ko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trategy. The documentation strategy which was developed more than twenty years ago in mostly western countries gives us some implications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even in current digital environments. They are as follows; Firstly, documentation strategy can enhance the value of archivists as well as archives in local regions because archivist should be active shaper of history rather than passive receiver of archives according to the strategy. It can also be a solution for overcoming poor conditions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Secondly, the strategy can encourage cooperation between collecting institutions including museums, libraries, archives, cultural centers, history institutions, etc. in each local region. In the networked environment the cooperation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than in traditional environment where the heavy workload of cooperative institutions is needed. Thirdly, the strategy can facilitate solidarity of various groups in local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ategy projects, it is essential to collect their knowledge, passion, and enthusiasm of related group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strategy. It can also provide a methodology for minor groups of society to document their memori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documenting local regions in consideration of current archival infrastructure of Korean as follows; Firstly, very selective and intensive documentation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comprehensive one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Though it is a very political problem to decide what subject has priority for documentation, interests of local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professional group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seriously. Secondly, it is effective to plan integrated representation of local history in the distributed custody of local archives. It would be desirable to implement archival gateway for integrated search and representation of local archive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archiv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try digital documentation using Web 2.0 technologies. Documentation strategy as the methodology of selecting and acquiring archives can not avoid subjectivity and prejudices of appraiser completely. To mitigate the problems, open documentation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reflecting different interests of different groups. Fourth, it is desirable to apply a conspectus model used in cooperative collection management of libraries to document local regions digitally. Conspectus can show existing documentation strength and future documentation intensity for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 Using this, documentation level of each subject area can be set up cooperatively and effectively in the local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