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력성취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8초

지구과학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arth Science Scientists)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9-168
    • /
    • 2014
  • 본 연구는 90명의 고등학생들(성취도 상 중 하 수준의 각 30명)을 대상으로 GA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된 10개의 문항으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고등학생들은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나, 직업인으로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며, 자신의 진로로 연계하여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지구과학 학습의 실패는 지구과학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미래 진로로의 비연계로 이어졌다. 학교교육 현장에서부터 학생들이 지구과학자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으로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mployment Capability Reinforcement Programs for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성열훈;김성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55-363
    • /
    • 2013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북 소재 1개 대학교의 보건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 및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아진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적응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높아져 향후 취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 적응을 높이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 마련을 위해 학과 특성에 맞는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수학의 지필 평가에서 발생하는 오해의 분석적 연구 (An Analysis of Misunderstanding in Mathematics Pencil-Paper Test)

  • 라병소;주복향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9-76
    • /
    • 2002
  • 본 연구는 수학 지필 평가에서 발생하는 오해의 유형과 요인을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오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필 평가에서 나타난 오해는 편집의 부적절에 의한 오해, 체계의 부적절에 의한 오해, 형식적ㆍ전형적 습관에 의한 오해, 문제 상황의 부적절에 의한 오해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진다. 오해의 요인 유무에 따른 성취도를 보면, 오해의 요인이 있는 검사지 A형은 오해의 요인을 배제한 검사지 B형에 비해 성취도가 10% 이상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오해의 요인이 포함된 문항만을 따로 구분하여 성취도를 비교할 경우, 그 차이는 더욱 커서 약 22%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오해의 유형별로는 체계가 부적절할 경우 오해의 정도가 더 심각하게 나타났으며, 여러 가지 유형이 복합될수록 오해 사례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네 가지이다. 첫째, 교사는 정확한 평가를 위한 시험지 개발 노력에 힘써야 한다. 둘째, 교사는 학생이 문제 풀이 과정에서 느끼는 오해의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셋째. 지필 평가에서 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학생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는 일이다. 넷째, 교사는 학생들과의 원활한 의사 소통에 힘써야 한다.

  • PDF

PISA 2009 결과를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와 상하이의 수학교육 현황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Shanghai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2009)

  • 임해미;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863-88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OECD PISA에서 최상위 성취를 보이고 있는 상하이의 교육성과에 주목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음의 두 측면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중국 및 상하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을 토대로 상하이의 교육체제 및 수학교육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와 상하이를 중심으로 PISA 2009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보완해야할 부분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PISA 2009에서 상하이의 수학 평균점수는 600점으로 우리나라의 546점보다 50점 이상 높았으며, 수학 평가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요소의 문항에 대해 우리나라보다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특히 '수학적 과정'의 '반성'에서는 대부분의 성취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형식화하기'에서는 2수준과 6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당 수학적 과정은 고차원적 수학화 단계 및 실제 맥락에서 수학적 문제를 만들어내는 가장 핵심적인 모델링 과정인 만큼 이에 대한 교수 학습을 보완하고, 필요한 경우 상하이의 수학교육을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소양이 신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 피수영;도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65-71
    • /
    • 2017
  •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맞는 맞춘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부단히 노력해 오고 있다. 그러한 교수법 중의 하나로써 많은 연구자들은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방식이 i) 전통적 교육방식 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용한지 ii) 학생들의 영어성적에 상관없이 모든 영어레벨의 학생에게 적용되어 질수 있는지 iii)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일으키는데 도움이 되는 교수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학업성취에 있어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받은 학생 그룹 중 가장 성적이 좋은 그룹 학생들은 학업에 있어 많은 향상을 보인 반면 학업 성적이 가장 낮은 그룹 학생들은 오히려 성적이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플립드 러닝 교수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시에는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콘텐츠를 교수자가 개발해야한다고 본다.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콘테츠 개발이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일 것으로 본다.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 - 성취도 분석을통한 NCS 교육 개선 방안 (A Plan to Improve Hair Beauty NCS Education through Importance - Performance of Hair Beauty Field by NCS Ability Unit)

  • 최은화;이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73-784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교육 효과성의 확인과 향후 개선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그들이 평가하는 신입디자이너들의 성취도를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중요도-성취도 간의 차이와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결과 헤어미용분야의 NCS교육은 기존 41개 능력단위 중 중점 개선 항목 6개, 유지 강화 항목 21개, 장기개선 항목 14개, 개선 고려 항목 1개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창의성의 부족, 최신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부족 등이 나타나 NCS 교육현장에서 헤어디자이너로서의 창의적 능력개발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SCORM 기반 반복 학습 콘텐츠 및 문항 생성 시스템 설계 (Design of Iterative Learning Contents and Items Generation System based on SCORM)

  • 백영태;이세훈;정재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01-209
    • /
    • 2009
  • 기존 연구에서는 문제은행을 만들고 평가시스템을 구현하여 학습자의 성취도를 평가하고자 했다. 그러나 문항을 만들거나 이미 만들어진 문항을 가져오는 과정에서 문제은행을 구현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 종합평가 위주의 모의고시 형의 문항이 평가문항으로 제시 되다보니 소단원의 학습 주제에 대한 성취도 평가가 실시되기 어려웠다. 소단원이나 수학 원리등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문항 형태(Item Form)를 이용한 문제은행을 SCORM2004의 실행환경 RTE에서 데이터 모델 인터액션으로 구현한다. 학습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문항 형태의 정의에 따라 자동 생성된, 평가문항에 대한 성취도 검사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위하여 확신 인자 함수(Confidence Factor Function)를 사용한다. 실험을 위한 콘텐츠로 수학의 삼각 함수를 두 개의 실험 대비군에게 현장 적용을 하여 제안된 문항 생성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이 유의성이 있음을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정서, 학습몰입, 인지된 교수실재감이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ademic Emotions, Learning Flow and Perceived Teach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an Uncontacted Online Class Learning)

  • 정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75-83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정서, 학습몰입과 인지된 교수실재감이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간호대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정서, 학습몰입 및 인지된 교수실재감이 높을수록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의 주요 영향 요인은 학습정서, 학습몰입 및 인지된 교수실재감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온라인 학업성취도의 42.7%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운영 시 학습자의 요인 고려와 교수자의 개인적 노력 및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use, Learning Style Preference among High, Medium, Low Achievers in an Online Gifted Program)

  • 채유정;이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905-9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을 비교하여 성취도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2015년 3월~6월까지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이수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788명이며, 이들은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은 동기(동기적 선호, 학습목표 지향성) 관련 20개 문항, 자기조절전략(인지조절 전략, 행동조절 전략) 관련 27문항, 학습양식 관련 6문항, 학습자 배경변인 7문항으로 총 60개였으며, 설문 데이터는 SPSS 19.0를 이용해 기술통계 및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수학, 과학 과목에 대한 동기적 선호를 비교했을 때, 성취수준 상위, 중위, 하위집단 순서로 수학적, 과학적 내재적 동기가 높았다. 둘째,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 인지조절 전략 하위 요인별 활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교화 전략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력 및 시간조절 전략에서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상위 집단의 정교화 전략, 노력 및 시간조절 활용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 양식 선호의 차이, 즉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대한 집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 of college)

  • 이경희;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23-43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에서의 대학수학교과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를 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수학교과 학업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교과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A대학교 2014학년 1학기에 개설된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한 이과대학 및 공과대학 신입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성적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 대학생의 90%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 시 수학교과 선행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행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교과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신등급과 대학학업성취도 간 및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수학교과성적 간에는 미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만 있었다. 넷째, 고교성적(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