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랑

검색결과 10,538건 처리시간 0.043초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ornucopiae)의 영양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ents sources of Pleurotus cornucopiae)

  • 장인자;정기철;장현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5-78
    • /
    • 2005
  • 노랑느타리버섯 균사생장에 대한 영양원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탄소원은 maltose로 균사생장량은 357mg/25ml/15일이다. 2)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질소원은 peptone으로 균사생장량은 374mg/25ml/15일이다. 3)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유기산은 glutamic acid로 균사생장량은 389mg이다. 4)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비타민은 biotin으로 균사생장량은 399mg/15일이다. 5) 노랑느타리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C/N율은 40이다.

  • PDF

노인 소비자를 위한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lder's Daily Life as a Consumer)

  • 이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65-273
    • /
    • 2010
  • 본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노인들의 소비생활 상담이 증가하고 있고 소비자로서 이들의 기능과 역할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사회 지원 체계 마련의 1단계로 노인을 위한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로서의 노인을 정의내리고, 노인 소비자의 소비생활 실태와 교육 요구도, 노인 소비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토대로 노인을 위한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원리를 제시하였으며, 노인 소비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을 소개하였다. 구성 원리는 내용 구성 측면에서 경험의 원리, 생활화 사회화의 원리, 계열성의 원리이며, 실행의 측면에서는 자발성의 원리, 개별화의 원리, 경로의 원리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4개 영역으로 첫째, 노인 소비자 피해 예방교육 둘째, 올바른 소비자 상거래 방법 셋째, 피해 사례를 통한 상거래 방법 넷째,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 및 의무, 구매 의사결정 과정이며, 각 주제 영역은 기획자와 진행자 중심의 주요 내용과 준비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노인 학대의 유형별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Elder Abuse Types)

  • 정수일;박미란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1호
    • /
    • pp.91-103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노인문제가 사회문제화됨에 따라 노인문제 가운데 노인 학대는 반인륜적이고 반인권적 차원에서 심각한 현상으로 인식하고 노인 학대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로, 보건복지부에서 규정한 노인학대의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노인 학대의 유형으로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경제적 학대, 방임, 자기방임, 유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노인 학대의 유형은 일곱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유형들은 상호 간에 긴밀한 유기적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통해 효과적인 노인 학대 예방과 대처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이루었다.

이응노(1904~1989)의 회화론과 1950년대 앵포르멜 미술에 대한 인식 (Lee Ungno (1904-1989)'s Theory of Painting and Art Informel Perception in the 1950s)

  • 이장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172-195
    • /
    • 2019
  • 고암 이응노(1904~1989)의 회화 전개에서 1960년대의 파리 시절은 미술가로서 가장 전위적인 방식으로 매체의 실험 및 혁신을 이룬 시기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파리로 건너가기 직전에 개최된 이응노의 ${\ll}$도불${\gg}$전(1958. 3)은 이응노가 앵포르멜 미술을 처음 수용할 때의 회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아왔다. 이를 주목한 이응노 관련 연구는 1958년의 작품들을 앵포르멜과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으로 해석하는 관점과 이응노가 문인화로 처음 화업을 시작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문인화의 사의(寫意) 정신의 발현으로 보는 관점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고는 앵포르멜과 추상표현주의를 통칭할 수 있는 '추상회화'에 대한 이응노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시 이응노의 회화론을 되짚어보는 것이 필요하기에 이응노가 회화를 처음 학습했던 해강 김규진 문하와 일본 유학 시절의 회화론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응노는 매너리즘에 빠진 문인화풍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연을 깊이 관조하는 것을 회화 제작의 첫 번째 원칙으로 삼았다. 그의 이러한 사생론은 195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그리고 그는 '추상(抽象)'을 서양 미술사조의 '추상회화'라는 고유 개념이 아니라 일본 유학 시절 이후 강화된 사생론에 따라 '(자연에서) 형상을 추출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로 이해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응노 본인도 추상회화의 근간에는 자연의 형태가 있다고 밝힌 바가 있다. 즉 추상적인 회화와 '추상회화'는 다른 개념이기에 이를 구분하여 당시 이응노의 회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응노의 1950년대 추상회화를 문인화의 사의(寫意) 정신이 발현된 것으로 해석하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전통 문인화론을 현대의 이응노에게 직접 연결하는 것은 오히려 이응노 회화의 개성을 가리게 하고 전통서화와 현대회화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이응노는 회화 제작에서 사의를 강조하긴 했지만 이는 대명제로서의 언사(言辭)였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정작 1950년대에 제작한 작품들은 <자화상>(1956)처럼 이응노가 스스로 '북화(북종화)'라고 규정했던 회화 양식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은 문인화의 대명제로서의 '사의'와 '사의적 화법'을 구분해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점의 근거가 된다. 따라서 당시 그의 회화는 사의의 발현, 전통 문인화의 계승이라는 측면으로 보기보다 사의적 화법을 구사한 이응노식 추상회화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해석을 필요로 한다.

간호학생의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통제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Attitudes toward Elder Abuse)

  • 이유진;김윤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10-41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통제를 조사하고 노인 학대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 소재하는 D대학과 S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40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11월 20일부터 1월 26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4점 척도를 이용하여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은 3.60점, 주관적 규범은 2.69점, 지각된 행위통제와 태도는 각각 2.62점, 2.97점이었으며,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태도 모두 노인 간호와 관련된 과목의 교육여부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태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노인 학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 학대에 대한 인식(${\beta}=.185$, p<.001), 주관적 규범(${\beta}=.167$, p=.005), 지각된 행위통제(${\beta}=.161$, p=.007)와 학년(${\beta}=-.103$, p=.03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학대를 접했을 때 적극적 개입을 위한 인식,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노인 간호와 관련된 과목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며, 나아가 노인 학대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 하경분;주민경;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60-170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중국 한단시 자연성지 내 노거수의 특성과 관리방안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Old Big Trees in the Sacred Natural Sites of Handan City, China)

  • 석소정;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5-45
    • /
    • 2023
  • 첫째, 본 연구는 지역 원림국이 집계한 한단시 노거수의 수종과 수령 등 기본 정보를 결합해 노거수의 공간적 분포 특징을 ArcGIS 그림으로 분석하였다. 수종의 유형, 수령분포, 소유권 현황, 성장세 및 다양성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콩나무과의 회화나무속, 아카시아속, 쥐엄나무속, 자귀나무속이 다수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중 회화나무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회화나무는 한단시 각 현 및 구에 이르기까지 널리 또한 집중적으로 군락을 이루어 분포되어 있었다. 수령 및 분포를 보면 1000년 이상의 노거수는 회화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산뽕나무, 황단나무, 쥐엄나무, 황련목, 측백나무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각 유형의 노거수 현황에서 발견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노거수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단시 노거수보호 관리 체계, 보호 관리 과정 및 보호 관리 이점을 연구하여 자연성지 보호 관리에서 한단시 노거수의 역할을 분석하여, 노거수의 보호는 주로 지역사회를 주체로 하는 문화, 신앙적 보호형태를 보이며 보호상태는 성장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노거수 보호의 핵심 동력은 주로 노거수에 대한 숭배이다. 그 신성함을 노거수에 기탁하여 자연이 노거수에 부여한 자연적 성품을 사회 활동의 지도의식으로 승화시켜 자연의 '미(美)'와 인격의 '선(善)'이 잘 결합되어 있다. 노거수의 보호 상태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 정도 및 여러 문화 및 주체의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기간의 노거수 성장 과정에서 점차 주변 환경과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향식 및 하향식의 교차 지역, 다문화 및 다중 주체가 참여하는 '자연-문화-경관' 시스템이 자발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에서 노거수를 중심으로 자연성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국은 노거수보호와 회복 조치를 중점으로 하였지만, 노거수 자원의 관리 과정에서 노거수에 대한 역사, 문화적 가치, 식물 다양성 의의 및 사회적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부족하여 보호 관리시스템이 허술하다. 공간의 지역적 특징, 재산권 및 보호 상 특징, 가치상 특징의 세 가지 지표는 한단시 노거수의 자연성지 평가에 있어서 노거수를 중심으로 하여 자발적으로 형성 중인 자연성지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전통 의식 관리, 자원 보호 실천, 신앙 체계 구축, 생명공동체 가치 실현 면에서 높은 가치가 있다. 이들을 장기간 보호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관리 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넷째, 현재 중국에서는 보호 구역에 대한 인식이 아직 성숙하지 않아 '자연성지'는 자연보호구역 체계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연구 내용으로 다루어야 한다. 상향식 지역사회 참여를 주체로 하는 자연성지 관리 형태는 현재 중국의 하향식 자연보호구역 관리 유형에 대한 강력한 보완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노거수 보호를 자연보호구역 체계에서 천연기념물이라는 자연보호구역 형태에 포함해야 한다. 또한 자연보호구역 주변 지역 주민도 생물 다양성 보전의 주체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 신현우;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2호
    • /
    • pp.100-106
    • /
    • 2015
  • 연구목적 한국에서 자살률의 높은 상승은 주로 남성과 노인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의 자살률은 OECD 가입 국가들 중 가장 높았다. 이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2013년 6월과 2015년 7월까지 인제의대 일산백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한 총 336명의 20세 이상 성인과 노인 자살시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살시도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노인과 성인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기간 동안 71명의 노인, 265명의 성인 자살시도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였다.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자살방법은 약물중독, 몸맴, 자상, 투신 순이었으며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치명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과거 정신과 장애는 노인 자살시도자들보다 성인 자살시도자들에서 더 흔하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자살시도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자살시도자들이 높은 치명도를 보이는 자살시도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효과적인 노인 자살방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노인 인권 보호·증진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International Trend and Issues in Protecting and Promoting the Rights of Older Persons)

  • 최성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43-168
    • /
    • 2018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국제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처우를 인권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지만 국제사회의 노인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느리게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적 노인 인권 정책의 변화 노력을 전반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체계적 연구는 결여된 가운데 단편적 주제의 연구들만 이루어져 왔을 뿐이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자료 분석과 연구자의 국제 활동 경험을 통해 국제사회의 노인 인권 보장을 위한 전반적인 정책적 논의를 조망할 수 있는 체계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국제사회에서의 노인 인권 문제 제기 배경, 기존 국제사회의 노인 인권 관련 규정의 문제점 검토, 노인 인권 증진을 위한 개선방향과 쟁점을 정리하였다. 국제사회의 기존 인권 규정 가운데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세계인권선언, 권리 분야별 및 대상 인구별 국제협약과 정책권고가 있으나 노인에게 적용하기에 권리의 범위가 좁을 뿐 아니라 법률적 강제성이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이 문제이다. 국제사회는 노인 인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는 합의하고 있으나 그 방법론에서는 기존 국제 규정 이행을 강화하자는 것과 새로운 노인 인권 협약을 제정하자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으며 두 가지 방법에도 많은 쟁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새로운 노인 인권 협약 제정에 찬성하는 입장에서 한국사회에 대한 함의와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필리핀 코피노 어머니에 대한 편견: 한국과 필리핀의 비교문화연구 (The Prejudice against Kopino Mothers: A Cross-cultural Study of Korea and Philippines)

  • 배재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2호
    • /
    • pp.337-364
    • /
    • 2018
  • 필리핀에서는 기독교 율법에 의해 낙태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코피노가 잉태되었을 때 한국인 아버지는 낙태를 원하거나 부양을 포기하더라도 필리핀인 어머니는 부득이 출산하여 기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코피노를 혼자 양육하고 있는 코피노 어머니에 대해 한국인과 필리핀인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명시적 차원과 암묵적 차원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낙태를 금지하는 기독교가 점화되었을 때 코피노 어머니에 대한 한국 및 필리핀 참여자들의 평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필리핀 참여자들이 한국 참여자들보다 코피노 어머니를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더욱 좋아하였다. 그런데 필리핀 참여자들에 비해 덜 좋아했던 한국 참여자들도 코피노 어머니에 대해 내외현적으로 조금 좋게 평가하고 있었다. 단, 한국의 남성 참여자들은 코피노 어머니를 명시적으로는 좋아한다고 답했지만, 암묵적으로는 싫어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십자가 사진을 사용하여 기독교가 점화되었을 때 필리핀 참여자들은 코피노 어머니를 암묵적으로 더욱 좋아하게 되었지만, 한국 참여자들은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한국 여성들은 필리핀 사람들처럼 코피노 어머니에게 편견을 보이지 않지만 한국 남성들은 편견을 보이며, 십자가로 인한 점화효과가 문화마다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