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년기 부부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노년기 가족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현황과 과제 (Family Relations in Later Life : A Review and Prospect of Research During the Past 15 Years)

  • 조병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59-75
    • /
    • 2007
  • This review synthesizes research during the past 15 years on the family relations of older persons. After discussing two background issues-sociodemographic changes of later life families and the status of the elderly-the following topics are addressed; relationships between aged parents and adult children, couple relationships, grandparents' relationship with their grandchildren and sibling relationships. Family relationships are vital support systems providing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in the lives of older persons. Mutual assistance and affection among family members were found to be common characteristics. Although research on family gerontology has increased in quantify, there are feater needs to develop qualitative, longitudinal and theory grounded studie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family life. Other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older persons' family relationship are presented.

노년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Tasks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 송현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5호
    • /
    • pp.51-73
    • /
    • 2011
  • Korean society with low fertility rate and high aging rate crisis has been tried very hard to find out alternatives to solve these social problems. These efforts resulted in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The education for the elderly have been development in various different academic fields. Therefore, this is the time to establish database for education programs which develop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For this purpose, 62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hich developed so fa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The topics of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 a marriage enrich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married couples, leisure programs, death educa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programs, economic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programs for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asks of future research about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presented.

노년기 젠더관계와 심리적 복지감: 유배우 노인의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의 영향에 대하여 (Gender Rel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 김영혜
    • 한국인구학
    • /
    • 제27권1호
    • /
    • pp.1-30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젠더관계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Psychological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노인부부의 젠더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을 측정하였고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우울도와 행복감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배우자와 동거하고 자녀와는 동거하지 않으며, 부부 모두 직업에서 은퇴한,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476명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보다 평등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노인부부의 가사노동 수행에 있어 성별 분절현상이 나타난다. 2)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남녀 노인 모두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일치할수록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3) 남녀노인의 성역할태도는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심리적 복지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남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오히려 그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한다.

노년기 부부의 결혼적응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에서 성인자녀관계의 매개효과 : 자기상대방효과 상호의존모형 적용(APIM) (Mediating Effects of Adult-Child Relationship and th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Couples : An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이주연;정혜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129-147
    • /
    • 2013
  • The primary focus of the study assesses how individual spouses' and their partners' marital adjustment influence their own and their mental health. The study also examines whether this influence was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with their adult-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271 dyads of elderly couples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Marital adjustment was measured in terms of intimacy and comparison level of marriage. Mental health was measured in terms of depressive mood, anxiety, and somatizati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nalysis revealed that marital adjust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s own mental health and with one's own relationship with their adult-children, but not with their partner'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with adult-childre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s own and with their partner's mental health. Furthermore, analysis of the mediating model using APIM indicated that marital adjustment through one's own adult-children relationship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one's own mental health.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wives' mental health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ir partners' relationship with adult-children. However, the effect of the husbands' mental health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highlight dyadic interdependence among spouses' perceptions of marital and adult-children relationship with their mental health. Th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clinicians working with elderly couples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health.

중노년기 거주형태에 따른 건강행동프로파일 유형화 (Living Arrangement and Health Behavior Profiles Among Midlife and Older Adults)

  • 김본;오승은;민주홍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691-70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기 한국 성인남녀의 건강행동프로파일을 살펴보고, 거주형태에 따라 건강행동프로파일이 유의하게 다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패널 6차(2016) 조사에 응답한 55세 이상 7,405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건강행동프로파일의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거주형태 (독거, 부부가구, 그 외 가족동거가구)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건강행동프로파일 유형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고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 (4%)" "중간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28%)" "저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65%)" "높은 신체활동유형(3%)"의 4가지 건강 행동프로파일로 유형화되었다. 거주형태와 건강행동유형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홀로 사는 경우에 비해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 높은 신체활동유형에 비해 저수준 및 중간수준의 건강유해행동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가족원과 함께 사는 경우, 부부만 사는 경우에 비해, 높은 신체활동 유형에 비해 고수준 건강유해행동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나 지원 서비스 등을 개발하는데 있어 프로그램 참여자의 거주형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이나 수요에 따른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남녀노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부관계 만족도와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among older adults)

  •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51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tterns of gender role attitude among older men and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dentified patterns on marital quality for each gender. Method: The Third National Survey of Korean Families was utilized and 981 men and 752 women aged 60 and above, who have been married for over 20 years and have at least one child, were analyzed. Using Mplus 7.3,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identified latent profiles of gender role attitude for each gender. Then, using SPSS 23.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dentified patterns on both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Result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wo patterns of traditional and partially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s each for the older men and women. Also, means on items relevant to the male breadwinner model and the male-oriented family culture were relatively low for both men and women regardless of the patterns. For the older men,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were both significant; those individuals with the partially egalitarian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reported higher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lower levels of marital conflict than those individuals with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However,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were both not significant for the older women.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olitic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promote an egalitarian family culture for older adults. Moreover, its findings may be useful in the field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seek to improve marital quality in later life.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연구 (A Influence Effect of Mid-life Religious Life and Faith Maturity on the Couples' Life Satisfaction)

  • 정진오;변상해;김종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88
    • /
    • 2009
  • 본 연구는 인생의 봄은 지나고 인생의 가을을 맞이하는 중년기부부관계는 결혼 전의 영향도 있지만 결혼 후에 발생하는 갈등요인이 더 많이 있다. 이유는 부부 사이의 태도와 안정되고 적절한 수입 그리고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이 부부생활만족과의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C. G. Jung은 인생의 전반기를 자기확산기로, 후반기는 자기수렴기로 구분하였는데, 자기 확산기에는 외부적.물질적 자아에 몰두하는 반면, 자기 수렴기에는 종교적 철학적 직관적 정신세계에 몰두해야만 인생전체가 균형과 통합을 이루는 중년기로 보았다. 이는 중년기의 발달과 심리적 위기를 잘 극복하고 보내면 노년기를 행복하게 맞는다. 본 연구는 중년기의 정의와 중년기의 발달특성, 중년기에서의 종교와 종교에서의 부부관계와 중년기 부부변화가 무엇인가를 연구한 후 종교에 대한 이해를 중점으로 중년기부부 생활만족도에 대한 이론들을 문헌연구로 제시하였다. 양적연구는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변인들이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내에 있는 35세 부터 60세 까지의 중년기를 연구대상으로, 2009년 3월 25일 부터 4월30일 까지 400명에게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그리고 부부생활만족도 등을 설문하고 통계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관계에서 신앙성숙도의 봉사, 관계, 영성은 종교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 결과는 영성적, 개인적, 공식적종교 활동은 신앙성숙도에 영향이 있음을 말한다. 둘째,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종교 활동(t=31.36, p<.001)이 신앙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과 종교활동(t=33.81, p<.001)이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그리고 신앙성숙도(t=28.64, p<.001)가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말한다. 셋째,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생활만족도에 대해서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사이에 주요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교 활동(F=15.95, p<.001)과 신앙성숙도(F=23.94, p<.001)는 부부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 사이에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기독교 불교 천주교의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적응과정에서의 개인적 성장 (Personal Growth through Spousal Bereavement in Later Life)

  • 장수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165-19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의 성장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후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143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배우자 사별 후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중심현상은 '우울', '막막함', '생활상의 스트레스', '심리적 위축감', '회한', '홀가분함' 등의 심리적 반응이었다. 이러한 사별 직후의 심리적 손상 정도는 인과적 조건으로서 사별 전의 '부부관계', '개인의 독립적/의존적 성향', '사별에 대한 마음의 준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맥락적 조건에는 '친밀한 인간관계 구축에 대한 욕구', '독립성 유지에 대한 욕구'가 존재하였다.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에 대한 직시'와 '새로운 삶을 위한 노력'이었으며, 이를 촉진, 제어하는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지지'와 '신앙생활'이었다. 나타난 결과, 즉 성장의 내용은 '삶의 의미 찾기', '자존감의 향상', '인간관계의 강화', '포용과 수용'이었다.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성장의 과정은 시간 순에 따라 '슬픔과 절망단계', '끌어안고 나아가기 단계', '성장단계'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유형분석의 결과, 배우자 사별 후 성장과정은 '적극적 변화형', '발전적 적응형', '포용형', '답보형', '원망형'의 5가지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성장은 노년기에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발달적 위기 이후의 삶의 통합과정으로서, 배우자 사별 직후의 절망을 딛고 일어서 삶의 주체자로서 새로운 삶을 모색하고 더욱 강해진 자아를 발견해 나가며, 배우자를 포용해 나가는 과정"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 PDF

중·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상대방 효과: 건강행동 및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The Actor-Partner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Coup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 이은지;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15-63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couples via their health behavior and health.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2,108 couples, aged 57 and over, from the eighth wave of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marital satisfaction, health behavior,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and wives were measured to conduct the analysi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with the bootstrapping technique being used as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ow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health behavior and health. However, no significant influences regarding the health of the participan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ir spouses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middle-aged and older couples to improve their marital relationships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both parties. Doing so will help husbands and wives lead healthier lifestyles based on their positive relationships.

노년기 부부갈등과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ital Conflic and Depression in Old Age)

  • 전길양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1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depression and conflict bvetween married couple in old ag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married couple over 60 years old who live in Seoul. The sample was composed of 201 ca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PSS statistics analysi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arital conflict in old age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isiting and contact frequency of adult children. 2) The depression in old age show that therer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condition, age, standard of living,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and leisure activity patterns. 3) The depression in old age was influenced by health condition, marital conflict, educatonal level. Health condition was the most powerful indicting the depr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