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 신뢰도

검색결과 2,109건 처리시간 0.041초

네트워크 신뢰성

  • 이향원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6호
    • /
    • pp.77-85
    • /
    • 2013
  • 본고에서는 네트워크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네트워크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 회복기법들과 다계층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들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네트워크 신뢰성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BISDN 교환시스템의 신뢰성 요구조건 분석 (Reliability Requirement of BISDN Switching System)

  • 김창희;정명기;고재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9권1호
    • /
    • pp.81-86
    • /
    • 1994
  • 신뢰성이란 주어진 기간동안 주어진 조건하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확률을 말한다. BISDN의 신뢰성이란, BISDN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본고에서는 BIS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대해 신뢰도 목표치를 제시하고, 의사기준접속을 바탕으로 네트워크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네트워크의 신뢰도 목표치를 할당하여 각 구성요소의 신뢰도 목표치를 제시하였다. 또한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중 교환기에 대한 신뢰성 평가척도인 신뢰도 파라미터에 대해 서술하였다.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 남택용;김숙연;이승민;지저훈;손승원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03
  •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NG-NSS: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System)은 현재 네트워크 보안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지역망에 대한 보호뿐만 아니라 공중망에 대한 총체적인 보호를 목표로 한다. 본 고에서는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NG-NSS)을 정의하고 그 특성과 주요 기술을 제시한다.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이란 공격, 취약성, 침입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자율적 보호, 자체 복원과 능동적인 대응 특성을 가지며, 네트워크의 보안성, 안정성, 견고성 및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스템 및 네트워크 보안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을 통합하여 제공. 한다. 이러한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등과 같은 공중망이나 증권, 은행, 보험 업계의 전산망 뿐만 아니라, 국방망, 행정전산망과 같은 국가의 중요 네트워크에 적용되어 신뢰성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SCI에 근거한 ICR 네트워크의 신뢰도와 비교 (The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ICR Network Based on SCI)

  • 김동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7-12
    • /
    • 2005
  • 논문은 IEEE 표준인 SCI(Scalable Coherent Interface)에 근거한 degree 2의 ICR(Interleaved Cyclic Ring)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연구하였고 대표적인 링 네트워크들과 비교하였다. ICR 네트워크의 신뢰도 연구에 있어서 두 노드가 동시에 통신 할 수 있는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ICR 네트워크의 신뢰도 연구에서 실패율(failure rate)의 변화에 신뢰도의 반응을 연구하였고 적은 노드에 대하여 정확한 신뢰도를 구하고 노드 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최대 최소 경계를 계산하여 평균치 일반식을 구하였다. ICR 네트워크의 사이클의 변화에 따라 ICR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다른 링 네트워크와 비교하였다.

  • PDF

트러스트 기반의 신뢰 네트워크 구조

  • 전우직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2호
    • /
    • pp.28-38
    • /
    • 2016
  • 기존 인터넷의 보안 모델은 모든 통신 상대와 통신 환경에 대한 의심을 기반으로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모델이다. 그러나 이 보안 모델은 공격이 지능화됨에 따라 방어도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된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하여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공격자체가 원천적으로 없어지는 신뢰통신 구조를 제안한다. 신뢰통신모델은 먼저 상호신뢰 관계를 가진 제한된 참여자들로 구성된 신뢰 도메인에서 시작하여 외부와의 통신은 잘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허용함으로써 도메인의 신뢰 수준을 유지하면서 신뢰 영역을 확장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 신뢰 모델을 기반으로 신뢰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하고 이 구조를 기존의 IP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P2P 환경에서 신뢰할 수 없는 자원의 확산을 방지하는 신뢰평가 모델 (A Trust Evaluation Model to Prevent Untrusted Resource Spreading in the P2P Environment)

  • 하병래;조기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6-880
    • /
    • 2011
  • 유무선 네트워크의 발달로 온라인 환경에서 다양한 정보 교환 및 데이터 공유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악의적인 사용자의 공격에 저항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필요조건은 구성원 상호 신뢰 관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신뢰도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신뢰도가 전체적인 신뢰도에 반영된다면 많은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악의적인 피어가 제공하는 신뢰할 수 없는 자원의 확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한다. 신뢰도는 노드들이 선택하는 다른 노드의 선호도를 이용하여 노드들의 신뢰도에 가중한다. 실험결과는 계산된 신뢰도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노드에게 유효한 파일을 수신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동 Ad Hoc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를 통한 신뢰도 기반의 안전한 인증 기법 (Multipath based Secure Authentication by Trust Level in Mobile Ad hoc Networks)

  • 김재성;송주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46-1448
    • /
    • 2009
  • 이동 Ad Hoc 네트워크에서는 노드가 신뢰받은 인증기관을 통해 인증을 받는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멀티홉 방식에 의해 라우팅을 수행할 경우 악의적인 중간 노드에 의해 데이터의 무결성 및 기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Ad Hoc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참여한 노드 중 악의적 중간 노드를 찾아내 격리시키고, 서로 신뢰할 수 있는 노드만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받는 인증기관이 없는 이동 Ad Hoc 네트워크에서 신뢰도 측정을 바탕으로 노드간 상호 인증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상수관망의 수리학적 균등성을 이용한 신뢰도 지표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liability Index based on Hydraulic Uniformity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 정기문;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6-6
    • /
    • 2019
  • 상수관망시스템은 공급원으로부터 수요처까지의 용수공급을 위해 구축된 관수로 기반의 사회기반시설물로서, 주로 생활 및 산업 용수를 공급하므로 대규모 사회 경제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용수공급 능력이 요구된다. 네트워크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 표현되는 상수관망시스템의 신뢰도(reliability)는 크게 시스템 내 구성요소의 안정성(mechanical reliability)과 용수공급의 기능적 안정성(hydraulic reliabil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의 용수공급 안정성에 주목한 수리학적 신뢰도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된 바 있으며, 다양한 평가방법 및 지표들이 제시되어 활용 중에 있다. 기존의 수리학적 신뢰도 지표들은 주로 수요절점(demand node)에서의 공급가능 수량 및 수압을 바탕으로 산정되었다. 그러나, 절점(node)에서의 공급 상태는 결과에 해당하며,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관로(pipe)의 배치 및 규격을 분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접 관로(pipe)의 공급 특성을 분석하여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평가함으로써, 신뢰도 저하의 원인 분석 및 시스템 개선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뢰도 지표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 내 수리학적 기울기가 전반적으로 균등할수록 설계 비용대비 공급 신뢰도, 즉 용수공급 효율이 개선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내 총 에너지 손실로부터 각 관로의 길이, 유량 등의 특성을 고려한 등가 수리경사(Equivalent hydraulic gradient)를 유도하여 모든 관로의 적정 수리경사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각 관로의 실제 수리경사를 대상으로 관로별 수리학적 균등성 지수(pipe hydraulic uniformity index)를 산정하였으며, 더 나아가 전체 시스템의 균등성 지수(system hydraulic uniformity index)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신뢰도 지표는 가상의 네트워크에서 지역 내 용수 사용량이 증가하는 등 용수공급 안정성을 저해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검증하였으며, 또한 기존 지표들의 신뢰도 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네트워크 최적 설계의 목적함수로 활용하거나, 네트워크의 보강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성능을 고려한 TDX-1 스위치 네트워크의 신뢰도

  • 서재준;이강원
    • ETRI Journal
    • /
    • 제8권3호
    • /
    • pp.29-43
    • /
    • 1986
  • 어떤 고장이 시스팀의 기능을 완전히 마비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성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는 degradable system에서는 고전적인 신뢰도 모형을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여기서 성능과 신뢰도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고에서는 성능신뢰도(Performance reliability)에 대한 개념 및 모형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로 TDX-1의스위치 네트워크인 SWCD의 성능을 해석하여 성능신뢰도를 구하였다. SWCD의 성능척도인 통화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위치 네트워크 내에서의 blocking, T-SW 및 S-SW의 고장, 그리고 T-SW 및 S-SW의 고장으로 인해 DLC 와 TLC의 가용한 서비스 채널이 감소함으로써 발생하는 DLC 및 TLC에서의 blocking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요인들을 고려하여 SWCD의 성능을 해석하였으며, SWCD에 요구되는 표준성능(Normalized performance) 이 0.99라 할 때 single unit라고 가정한 경우 SWCD의 성능 신뢰도는 MTUO(Mean Time to Unreliable Operation)가 3076.7시간이었다. 또한 성능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디지틀 스위치 네트워크인 SWC만의 최대 발신 통화처리 용량을 구한 결과, 스위치 네트워크 내에서의 blocking 확률에 대한 최대 허용치를 $10^-3$으로 하였을 때 약 1,700Erlang이었다.

  • PDF

정서기반신뢰와 인지기반신뢰가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친교네트워크와 조언네트워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ffct Based Trust and Cognition Based Trust on Word-of-Mouth Behaviors -Focusing on Friendship Network and Advice Network-)

  • 배세하;김상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5호
    • /
    • pp.193-231
    • /
    • 2013
  •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구전은 버즈마케팅, 바이럴 마케팅 등과 같이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에서는 바이럴의 기반이 되는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소셜네트워크에서는 개인 간에 이루어지는 관계의 패턴이 각 개인의 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를 성격에 따라 친교 네트워크와 조언 네트워크로 구분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내에서 구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변수로서 정보원의 신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문헌 고찰을 통하여 신뢰의 유형을 정서기반신뢰와 인지기반신뢰로 나누었으며, 구전수용과 구전추천으로 구전행동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주기 위해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 검증을 위해서 SNS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집단인 20대 대학생을 대상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신뢰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기반신뢰는 조언네트워크보다 친교네트워크에서 그리고 인지기반신뢰는 친교 네트워크보다 조언 네트워크에서 더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기반신뢰와 인지기반신뢰는 구전수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했던 것과 달리 네트워크 내에 형성된 신뢰는 유형에 관계없이 구전수용에 비슷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구전수용은 구전추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로 정서기반신뢰는 실용재보다 쾌락재의 구전수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친교네트워크 조건에서 정서기반신뢰는 쾌락재의 구전수용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를 통해 구전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를 정서기반과 인지기반으로 신뢰로 유형화하면서 구전연구에서 신뢰연구의 범위를 확대시켰으며 신뢰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제품유형에 따라 어떤 네트워크를 통해 구전을 확대해야하는가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