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넙다리둘레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몸통 유형별 요실금 팬티 패턴 연구 (A Study on the Incontinence Panty Pattern by Torso Type Using 3D Simulation)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29-3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0대, 50대, 60대 여성의 하반신 몸통 관련 부위 유형에 따라 요실금 팬티 패턴을 제작하여 하반신 몸통 유형별 요실금 팬티 패턴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유형 1의 패턴은 가장 길이가 길고 폭은 두 번째로 넓은 형태를 나타냈고, 유형 2는 길이가 가장 짧고 좁은 형태를 나타냈다. 유형 3은 길이가 가장 짧고 폭은 가장 넓은 형태를 나타냈으며, 유형 4는 가장 폭이 좁고 길이가 두 번째로 긴 형태를 나타냈다. 가상착의에 대한 평가결과, 유형 2가 앞면, 옆면, 뒷면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형 3은 허리와 복부, 엉덩이와 넙다리둘레가 가장 크고, 하반신이 짧은 비만 체형으로 다른 체형과 같은 방식으로 패턴을 제작하였을 시 다리둘레와 엉덩이부위의 감싸는 분량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정상체중 여성의 다리 형태 유형 (Leg Shape Types in Normal-Weight Women)

  • 차수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1164-117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leg shapes of normal-weight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the ideal body shape. In other words, it attempted to extract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pants patterns for adult women. Adult wome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eg types: sheep-legged, with thick and large knuckles and thighs but thin ankles and low ankle height; straight-legged, with thick ankles and knees and thin knuckles and thighs; and crane-legged, with normal leg and ankle thickness but thin knees. Developing pants patterns for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30s suggests that sheep-legged women should use an outward curve instead of the inward curve found in conventional patterns to accommodate their thighs and provide extra leg space. Furthermore, straight-legged people should reorganize their drafting from a straight line from knee to ankle to a curved line that curves inward to reduce the amount of slack in the hip area. The crane-legged type requires a drafting method that sets less allowance at the knee. Moreover, new pants drafting methods should account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cluding hip allowance and the inner and outer leg lines.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에서 무릎관절 각도별 스쿼트 융합운동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에 미치는 효과 (A Effect of the Squat Convergence Exercise Among Knee Joint Angle on Quadricpes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조상희;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3-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넙다리네갈래근 중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강화를 위해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자세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이 있는 20명의 환자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무릎관절 굽힘 각도 45, 60, 90 자세에서 정적인 스쿼트 융합운동을 30초 동안 총 5회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넙다리네갈래근 각(Q 각)과 넙다리 둘레이며, 무릎관절 자세에 따라 스쿼트 운동 전후로 측정되었으며 그 변화률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넙다리네갈래근의 무릎관절 각도별 MVIC 변화율은 90 무릎관절 굽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Q 각과 넙다리 둘레의 변화율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무릎통증증후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강화를 위해서 무릎관절 90 굽힘된 스쿼트 자세가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소파블록 낙상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망 그물코 크기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Optimal Mesh Size for a Safety Net for Preventing Falls from Wave-dissipating Blocks)

  • 윤한삼;김민수;장성철;이흥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34-840
    • /
    • 2019
  • 최근 관광, 레저 수요의 증대로 해안 시설물(방파제)에서 낚시를 통해 여가를 즐기는 낚시객의 증대와 아울러 매년 해안 시설물인 소파블록(Tetrapod, TTP)에서의 낙상사고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상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소파블록을 안전망으로 덮어 낚시객의 낙상을 저감하는 안전사고 방지 시설물 개발의 기초 연구로서 적절한 그물코 크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안전망 시설물의 규모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안전망의 그물코 크기 결정 방법은 낚시객들의 성별, 연령별 현황과 한국인의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그물코 크기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그 최종 결과로서 안전망의 그물코 크기는 최소 낚시객의 넙다리 둘레에서부터 최대 가슴둘레까지를 고려하여 18.6~27.0 cm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체형변화에 적합한 X-선 검사대 일체형 Merchant 보조장비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Evaluation of Merchant Auxiliary Equipment of Body Type Changing Suitable for X-ray Table Integral Type)

  • 성열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73-27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대퇴부 두께에 따른 다양한 무릎뼈의 굴곡각도가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보조기구를 개발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검사 대상자는 연구 목적에 동의하고 과거 무릎 관련 질병이 없는 정상인 중 넙다리 둘레가 얇은 A 그룹과 두꺼운 B 그룹을 선발하였다. 무릎뼈의 축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무릎굴곡각도를 5씩 증가시켜 35, 45, 55로 설정하였으며, 각 각도별로 X-선 입사각도를 40, 50, 60로 변화시켜 9 개의 검사 조합으로 검사하였다. 그 결과, 사용이 편리하고 체형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무릎관절 각도가 가능한 검사대 일체형 무릎뼈 방사선영상검사 보조장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보조장비를 이용하여 A 그룹에서는 무릎굴곡 각도가 45에서 X-선 입사 각도가 6050 그리고 B 그룹에서는 X-선 입사 각도가 60에서 무릎굴곡 각도가 3545에서 우수한 영상이 도출되었다. 향후 다양한 체형의 환자들의 검사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