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화 모르타르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9초

잔골재 종류에 따른 내화피복용 모르타르의 고온 성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igh Temperature Properties of Fireproof Mortar Using Various Types of Fine Aggregate)

  • 임서형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00-106
    • /
    • 2014
  • 고강도 콘크리트는 구조적으로 우수하며 사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물에서 그 활용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처럼 고온에서 고강도 콘크리트는 폭렬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폭렬 원인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증기압이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의 폭렬을 제어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콘크리트 표면에 내화피복을 사용하여 화재 시 부재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종 골재와 유기섬유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화피복용 모르타르를 제조하고 그 고온 성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퍼라이트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사용한 모르타르는 내부공극과 밀도를 변화시켜 내부온도 상승을 지연시킨다. 그 결과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 피복재로 활용 가능하다.

다공성 나노실리카 입자(MSNs)와 PVA섬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Mortars Using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MSNs) and PVA Fibers)

  • 박천표;이자경;김태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1-61
    • /
    • 2023
  • 본 연구는 건축·건설물에서의 화재 시 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에 다공성 나노실리카(MSNs)에 ZnO입자가 결합된 형태의 분말과 PVA 섬유를 혼입한 공시체를 20~1100℃의 온도 영역에 노출 시켜 잔존압축강도 및 중량변화율을 측정하여 내화성능의 변화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화성능 향상에 나노실리카와 PVA 섬유를 같이 혼입한 경우 내화성능 향상에 기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각각 나노실리카를 0.5% 혼입하는 경우와 PVA 섬유를 0.1vol% 혼입하는 경우 가장 양호한 내화성능 향상 실험결과를 나타내어 내화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콘크리트용 내화피복재로 활용하기 위한 경량모르타르의 역학적 성상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Mortar for Fire Protection Covering Material in High Strength Concrete)

  • 임서형;유석형;문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8-13
    • /
    • 2011
  •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 시 고온에 노출되어 폭렬현상이 발생된다. 폭렬은 철근노출과 함께 구조부재의 단면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하여 구조적 거동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피복재로 활용하기 것으로 퍼라이트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경량모르타르를 제조하여 그 역학적 성상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실험인자로는 물시멘트비, 골재시멘트비, 폴리프로필렌 섬유 첨가량이다. 연구결과 퍼라이트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첨가함으로서 모르타르의 공극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었으며, 단위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피복재로서 경량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침매터널 세그먼트조인트의 내화 대책에 대한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fir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segment joint of an immersed tunnel)

  • 최순욱;장수호;김흥열;조봉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77-1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화재 발생시 침매터널 세그먼트조인트의 지수재를 고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화대책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식으로 침매터널 세그먼트조인트를 모사한 콘크리트 블록실험체에 대해 $HC_{inc}$ 화재 시나리오와 ISO834(4시간) 화재 시나리오 하에서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함제간의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시공조인트가 화재 시 취약부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 손상에 취약한 시공조인트의 철판을 내화보드와 굴곡이 있는 철판으로 보강한 내화대책으로 변경하여 화재실험을 수행한 결과, 내화보드로 보강한 경우는 내화보드 설치에 따른 뿜어붙임 모르타르 내화재의 시공두께 감소로 인해 내화재의 휨이 발생하여 내화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였고, 굴곡이 있는 철판으로 보강한 경우는 철판굴곡에 의해 철판과 뿜어붙임 모르타르 내화재와의 부착력이 증가됨과 더불어 철판 굴곡부에 채워지는 뿜어붙임 모르타르 내화재로 인하여 시공조인트에서의 열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내화성상알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철골 철근콘크리트 보 및 철골철망 모르타르조 보의 전열특성 및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Steel Encased Reinforcement Concrete and Steel Framed Mortar Beam with Loading Condition)

  • 김형준;김흥열;여인환;권기혁;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80-8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피난 및 방화에 관한 규칙 제3조에 명시된 법정내화구조 중 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고, 국내외 규정과 비교 및 분석을 하였다. 현행 규칙에 따르면 국내의 법정내화구조는 피난 및 방화구조에 관한 규칙의 시방기준을 만족하면 최대 3시간의 내화성능을 갖는 것으로 본다. 법정내화구조로서 보는 총 5개의 구조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우선 철근콘크리조를 대상으로 피복두께에 따른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하중비 0.5와 피복두께 40 mm를 확보할 경우, 최대 법정요구내화시간인 3시간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골철망 모르타르조 보의 경우, 피복두께 60 mm 하중비 0.4에서 3시간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최적배합 도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ptimized Mixture of Light-weight Aggregate Mortar for Plaster with Gypsum)

  • 이현우;지석원;김흥열;서치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371-372
    • /
    • 2009
  • 본 연구는 정량 모르타르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경량 잔골재를 사용한 경량 모르타르에 석고를 혼입하여 내화 피복용 바름재로서 사용가능한 최적의 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내화성능 연구 (Investigation on Fire Resistance of Mortar Made of Powder Type Sericite)

  • 박지연;김소이;김성하;이재용;정철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6-32
    • /
    • 2021
  • 분말형 견운모는 폐기물 재활용 차원에서 화학, 광물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비교적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이며, 일반 운모와 마찬가지로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말형 견운모를 활용하여 모르타르의 열전도율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시멘트 복합체용 내화재료로서와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작하고, 이의 열전도율 및 고온 노출 전후의 압축강도를 비교 평가하여 내화성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하는 경우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입량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의 감소는 미미하였다.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하면, 열전도율이 감소하며, 600℃, 900℃, 1,200℃에 소성된 모르타르 시험체의 잔존강도가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분말형 견운모는 시멘트 복합체용 내화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존재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굴 패각을 채움재로 사용한 모르타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proof Performance of Mortar using Oyster shell as Filler)

  • 정의인;홍상훈;김봉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5-136
    • /
    • 2017
  • Oyster shell is produce by shucking process in oyster farming in southern coast of Korea. In average, about 6.7kg of oyster shell is produced as an industrial waste for 1kg of oyster flesh, and even only in last year, it is estimated that about 150,000 ton of oyster shell is produced. Oyster shell is light weighted and the strength characteristic of it is similar to send. So we produced mortar test piece using grounded oyster shell powder according to Filler and reviewed Fireproof Performance.

  • PDF

굴 패각을 활용한 내화모르타르의 고온수열에 따른 성분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high-Heated according Change of Fireproof Mortar Using Oyster Sell)

  • 홍상훈;정의인;김봉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6-177
    • /
    • 2017
  • IN order to use it for high-temperature fire, Fireproof boards mainly composed of Ca and Mg used. Korea does not have a fireproof board for explosive high temperatuer fire in tunnel, and it is applying existing fireproof coating. However, when a high-temperature fire(1350℃)with explosion occurs, it can not sustain its strength and can not be destroyed to have fire resistance. Each year, more than 100,100tons of wastes are produced by using Ca as an oyster shell. In this study, we t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euse the heat-heated fireproof board.

  • PDF

2단계 배합을 사용한 순환잔골재 혼입 고성능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화성능 연구 (Investigation on Fire Resistance of High-Performance Cement Motar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Mixed by Two-Stage Mixing Approach)

  • 박성환;최준호;이치영;구민성;정철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2022
  • 본 연구는 천연골재 부족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조용 골재로서 순환골재의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Tam et al.에 의해 개발된 2단계 배합은 별도의 설비 등의 추가 없이 순환골재 혼입 시멘트 복합체의 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개선된 형태의 2단계 배합방법을 활용하여 순환잔골재 혼입 모르타르 시험체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배합방법의 차이가 순환잔골재 혼입 고강도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내화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순환잔골재 사용시 일반배합 보다 2단계 배합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순환잔골재 혼입 모르타르의 강도발현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600 ℃ 및 900 ℃의 고온에 노출시켜 역학적 성능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2단계 배합을 활용하는 경우 모르타르의 잔존강도가 일반배합을 활용한 모르타르의 잔존강도보다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2단계 배합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서, 순환잔골재로 고성능 시멘트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