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재적 통제력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ism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개인주의가 기업가적 지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 Ahn, Jinwon;Yoo, Daeh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4
    • /
    • pp.59-69
    • /
    • 201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both countries' students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individualism on develop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both countr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ill conduct two analysis. Firstly, the comparative study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both students will be implemented by conducting F-test and t-test. Secondly,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an independent variable - individualism - and dependent variables - innovativenes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will be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individualism on develop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rior to implementation of two analysis, this study has implemented the survey to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estimat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 cultural variable to influe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 question of survey is divided into two parts -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clud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novativeness and a cultural variable, individualism. As other precedent comparative studies of Chines and Korean potential entrepreneurship concluded, Chinese students have shown high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an Korean students. However, on the contrary to prior studies on cultural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only Chinese student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individualism. Any dependent variables of Korean students were not affected by individualism variable.

  • PDF

The Cultural Impacts on Establishing Potential Entrepreneurship: A Comparative Study on Cases of University Students in Cambodia, Mongolia, Nepal, Peru and Rwanda (잠재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문화의 영향: 캄보디아, 몽골, 네팔, 페루 및 르완다 대학생 사례 비교 연구)

  • Ahn, Jinwon;Yoo, Daeh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4
    • /
    • pp.97-108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is comparative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uncertainty avoidance on the potential entrepreneurship of five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results of survey implemented to under- and postgraduate students of five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ambodia, Mongolia, Nepal, Peru and Rwanda. Futhermore, it is another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of respondents by gender and scrutinize what impacts of the uncertainty avoidance have on male and female student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irst of all, the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 and postgraduate students of five countries. Questions of the survey were composed of three parts: Locus of Control and Innovativeness for the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Uncertainty Avoidance for the cultural variabl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variabl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getting higher when Uncertainty Avoidance variable is becoming higher. On top of that, this is shown even in the gender comparison. It is the totally different result from precedent studies that shows correlation of entrepreneurship and culture. On the other hand, men'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five countries higher than women's according to the gender comparison.

  • PDF

A Comparative Study on Potential Entrepreneurships in South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 비교 연구)

  • Ahn, Jinwon;Yoo, Daeh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21-223
    • /
    • 2016
  • 동아시아 경제권의 국가들 중에서도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을 측정하고 양국 잠재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적 기업가라고 여길 수 있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10명의 한국 대학생들과 157명의 중국 대학생들이 본 설문에 응하였다. 설문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과 개인의 기업가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요인들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통제력(Locus of Control)과 혁신성(Innovativeness)을 묻는 세부 질문을 만들었고,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대학생들이 느끼는 경제적자유(Economic Freedom), 개인주의(Individualism) 그리고 불확실성 회피성(Uncertatinty Avoidance)의 정도를 묻는 질문을 만들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경제적 자유,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한다'이며, 두 번째 연구가설은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고 더 개인주의적인 문화에서 기업가적 성향이 더 높게 나타나며 확실성 회피성이 높을수록 기업가적 성향은 더 낮게 나타난다, 세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 정도가 중국 대학생들의 그것보다 더 높다'이다. 설문조사는 가설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 보다 자국의 문화에 대해 더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며 개인주의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불확실성 회피성에 있어서는 가설과 동일하게 중국 대학생들보다 한국의 대학생들이 자국에 대해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양국의 대학생들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있어서 각각 다른 문화적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대학생들은 경제적 자유의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중국의 대학생들은 불확실성 회피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가설과 달리 기업가적 지향성은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인다. 혁신성에 있어서는 양국 대학생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내재적 통제력에 있어서 중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PDF

The Effect of the Playfulness on Outdoor Recreation Decision-making Process of Audiences : Apply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자의 놀이성이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 Han, Seung-Hoon;Kim, Jin-OK;Lee,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0
    • /
    • pp.547-560
    • /
    • 2015
  • The outdoor recreation fever that is drastically increasing in Korea could be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as well as increase of leisure time and disposable incom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how the exposure of outdoor recreation through mass media influences potential outdoor recreationists. In order to specify this decision-making process, playfulness, which is the intrinsic characteristic of adults' fun and play, was added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has high explanation power regarding human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hat playfulness significantly influence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hat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lso significantly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specify that playfulness is a factor that has a great effect on outdoor recreation that seeks deviant behavior.

The effects of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problem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 학습문제 및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 Jung, Jung-Soon;Byun, Sang-H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1
    • /
    • pp.27-3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problem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The objects of this investigation was 60 students sampl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of Y Middle school in Seoul, which was divided equally -30 students each-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ogress covered 10 weeks period, a hour and half every week on Tuesdays and Thursdays.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motivatio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showed positive changes in all suborn ate variables such as class motivation, continuing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Second, the self-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preference level to subjects and self-control efficacy, though did not show notable changes in confidence area. However as confidence area doesn't really matter in total scor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is considered to have good influence in self-efficacy. Third, the self-regulatio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showed positive changes in all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self-control mode and inhibitory will mode. Fourth, the use on learning strategy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learning problems has changed quit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and inspection, though did not show notable changes in schedule and control area. However, as the total score of use on learning strategy has changed prominently,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is considered to have good influence in use of learning strategy.

  • PDF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s of Employer's Rewards Strategies on Employee's Commitment with Comparison of Home-based Contact Center (종업원에 대한 보상전략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재택근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Kim, Jae-Young;Cho, Boo-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0 no.3
    • /
    • pp.125-137
    • /
    • 2015
  • Information technology enables home-based working which is a new way to satisfy the firm and its employees. Firms are under pressure of cost reduction, and employees want to maintain balance of life between work and family. Considering the organization's capability can be the core competency, firm's efforts to acquire workers' commitment have been important issu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However, researches to increase the workers' loyalty and commitment within home-base working have not been widely studied.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firms' rewards supporting strategies and workers' perceived commitment with the working system as a context. Results confirm that the organization's extrinsic and intrinsic rewards affect the worker's continuous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normative commitment between workers' perceived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has been found. Also, we empirically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working systems(i.e., home-based, vs. office-based) within organization's rewards supporting strategies and workers' commitment perceptions.

A Study on how to use Namsadang Nori Deotboegi for Training Actors (남사당놀이 덧뵈기의 연기 훈련 활용 방향 연구)

  • Hwang, Seok-Ha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7
    • /
    • pp.155-164
    • /
    • 2019
  • This paper studies the possible ways to make the most of Namsadang Nori Deotboegi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 as well as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raining actors. Considering the fact that all six parts of a Namsadang performance were includ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value of the itinerant performance troupe is significant. The improvisatory characteristics of witty remarks, the 'Korenness' of the movement and breathing in Deotboegi dance, the spatial awareness realised through performing witty remarks with musician as well as the 'Koreaness' in the emotions conveyed are the particular values of Deotbeogi for training actors. The required ability to listen to the co-performer and not to anticipate what might be said next helps the performer do develop a strong focus to be able to stay in the moment. The heightened awareness of the body, and the ability to control it as well as the awareness of the space including the co-performers are helpful in the context of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erformance.

민영화정책(民營化政策)의 핵심논쟁(核心論爭)에 관한 소고(小考)

  • Yu, Seung-M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1
    • /
    • pp.149-215
    • /
    • 1996
  • 현행 민영화정책이 공기업의 효율성제고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한 것은 타당한 선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력집중 심화에 대한 우려와 주식시장의 제약 등을 이유로 민영화정책은 그 추진실적이 부진하고 향후 지속 여부가 불투명한 것이 현실이다. 본(本) 논문(論文)은 우리나라 공기업민영화를 둘러싼 논쟁의 핵심인 경제력집중(經齊力集中), 경쟁도입(競爭導入), 주식시장여건(株式市場與件) 등이 공기업민영화와 관련하여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바람직한 정책대응(政策對應)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있다. 재산권이론(財産權理論)을 동원하여 주인(主人) 있는 경영(經營)의 의미를 재해석할 때, 기업지배(企業支配) 통제구조(統制構造)의 정착이 요원한 우리 현실에서 민영화가 기업효율을 제고하려면 민간대주주(民間大株主)의 지배(支配)를 인정하는 방식이 최선책(最善策)이며, 소유가 분산되고 전문경영체제(專門經營體制)를 도입하는 민영화방식은 지배구조(支配構造)의 실패가능성(失敗可能性) 때문에 차선책(次善策)이라고 평가된다. 그러나 효율성 차원의 최선책은 경제력집중이라는 국민경제적 비용을 초래하므로, 정부로서는 경제력 집중이라는 비용(費用)과 효율성이라는 편익(便益)을 조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정부가 고려할 보완책(補完策)으로는 감자후(減資後) 민영화(民營化)와 분할민영화(分割民營化)가 있다. 한편 자연독점의 특성이 뚜렷한 일부 네트워크사업분야를 제외하면, 민영화시 경쟁도입(競爭導入)은 기업효율성과 국민경제의 배분효율성을 제고하므로 정부로서는 당연한 선택일 것이다. 경쟁은 공기업의 인수자격규제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데, 민영화를 정부(政府)와 민간(民間)사이의 M&A로 이해하고 경쟁제한적(競爭制限的) 기업결합(企業結合)을 규제하는 공정거래법(公正去來法)의 정신(精神)이 인수자격규제기준이 되어야 하며, 업종전문화(業種專門化) 발상(發想)에 근거한 인수자격규제는 득보(得)다 실(失)이 클 것이다. 아직도 자생적 성장기반이 취약한 주식시장의 제약에 따라 민영화일정의 탄력적인 조정은 불가피하지만, 정부는 상장(上場)의 필요성(必要性)을 재검토하고, 매각(賣却)의 우선순위(優先順位)를 조정하며, 무엇보다도 양질(良質)의 주식(柱式) 공급(供給)이 수요(需要)를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개발해야한다. 이와 함께 본(本) 논문(論文)은 현행 추진체계(推進體系)에 내재된 민영화의 지연가능성이 심각한 문제임을 지적하였고, 대규모 공기업의 민영화가 대기업(大企業)의 새로운 전형(典型)을 창출하여 한국자본주의(韓國資本主義)의 건전한 발전을 앞당기는 역사적 기회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재벌인수가 가능한 경우와 규제되어야 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민영화정책(民營化政策)의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 있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On-line-Based Education by COVID-19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ha, Hye-gyeong;Kim, Han-S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459-46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o improve the performance confidence of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while availing of online education owing to COVID-19.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N University located in C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3.0 program.. The subjects'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was dependent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368, p<.001), intrinsic goal motivation (r=.232, p=.005), extrinsic goal motivation (r=.344, p<.001), task value (r=.237, p=<.001), control of learning beliefs (r=.262, p=<.001), and 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r=.443), p<.001) with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were the 4th grade (β=0.413, p<.001), extrinsic goal motivation (β=0.307, p<.001), and 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β=0.316, p=.005),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5.8% (F=8.354, p<.001).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online-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ncrease the extrinsic goal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This will serve as a basis for preparing effective online centered nursing education strategies to improve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Traits On Work Stres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간호사의 환경적 요소와 개인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 Mi L.;Shake ketefia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3 no.3
    • /
    • pp.417-430
    • /
    • 1993
  • 이 연구는 환경적 요소(간호사의 자율성, 조직의 표준화)와 개인의 특성(통제위, 나이, 경험. 간호역할개념, 도덕성),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의사결정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틀을 구성하여 테스트함으로써 그 인과관계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모형은 1) Katz와 Kahn의 조직에 대한 개방체계 이론(open systems theory of organization) ; 2) Kahn. Wolfe, Quinn, Snoek의 스트레스 이론 (theory of stress) : 3)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theory of moral develop-ment): 그리고 4) 여러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2가지의 주요 종속변수(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간호행위), 2가지 매개변수(간호 역할개념, 도덕성 발달정도) 그리고 여러 독립변수들(조직의 표준화, 자율성, 통제위, 교육, 나이, 경험 등)로 구성되었다. 간단히 말해,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윤리적 간호행위 를 개인 자신과 환경이라는 두 요소의 결과로 간주한 것이다. 미국(2개주)의 여러 건강관리기관에 근무하는 224명의 정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1)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s(LISREL)기법과 2) 나이, 경험, 교육이 변수간의 관계에 미치는 중간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LISREL결과를 보면 제시된 모델이 각 내재 변수에 상당한 설명력을 가지면서 자료에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가장 뚜렷한 점으로 나타난 것은 개인의 특성보다 환경적 요소로서의 자율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데 훨씬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중간영향(moderation effect)을 보면, 젊고 경험이 적은 간호사일수록 나이가 많고 경험있는 간호사보다 환경적 요소(자율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간호사의 윤리 적 간호행 위 는 2, 3년제 를 졸업 한 간호사 보다 환경적 요소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율성의 부족은 2, 3년제 졸업 간호사보다 4년제 졸업 간호사에게 더 심한 스트레스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제적인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환경적요소로서의 자율성이 다른 어떤 개인적인 요소보다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간호행정가들에게,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선 “자율성”이 아주 중요히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 개인의 복지에 큰 해가 되고 환자를 간호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계된다면, 간호행정가는 그 조직의 직무체계를 다시 평가해서 일에 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직무를 다시 설계할 경우, 누구에게 먼저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는지를 밝혀주고 있다. 즉, 젊고 경험이 미숙한 간호사들에게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며, 작업환경의 가장 중요한 차원중의 하나인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행위를 높히기 위해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재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두 역할개념 들을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두 개념들이 간호사의 바람직한 간호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험이 많을수록 일에 싫증을 느껴 바람직한 윤리적 간호행위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건강관리체제 (health care system) 안에서의 간호사의 역할이-전문직으로서의, 그리고 환자를 위한 옹호자로서의-학교와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간호사들의 역할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이 학생은 물론 임상 간호사들에게도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로 연구의 일반화를 높히기 위해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는 여러 종류의 표본을 반드시 한번에 전부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여러 표본들을 연속적으로 연구함으로서 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는 여러 construct들(윤리적 간호행위, 직무 스트레스, 간호 역할개념 등)에 대한 적절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풍부하고 세세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질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험설계 및 종단적 연구(expel-imental, longitudinal design)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할 수 있는 이론적 탐구(theoretical exploration), 즉 이론정립을 위하여, 환경적 요소와 개인의 특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질적 연구들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