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신성적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수학 내신성적에 비해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의 학습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Kim, Won-Gyeong;Sim, Ju-Se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69-100
    • /
    • 2005
  • 이 연구는 내신성적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이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성과 수학불안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 5고등학교 자연계열 2학년 학생 중 내신성적이 상위 10%안에 드나 수능성적(모의수능성적)은 그렇지 못한 학생 5명이고, 이들의 수학적 성향, 수학 성취도, 개인별 특성 등에 대한 사전 면담자료, 문제풀이과정에 대한 사후 심층면담자료, 현장노트, 수학불안검사를 바탕으로 그들의 특성과 수학불안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신성적은 좋으나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의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수학전 영역에서의 개념부족, 공식암기 부족 등으로 인하여 문제풀이계획을 세우지 못하거나 설사 문제를 푼다고 해도 계산 실수, 착각, 부주의 등으로 인해 정확한 답을 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내신성적은 좋으나 수능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수학 불안은 가지고 있었다. 불안의 요인은 개념부족, 응용력 부족 등 개인적 인지능력에 의한 저조한 수학 성취수준과 수학 공부시간 부족, 풀이시간 부족 등의 환경적 요인에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수학개념이 부족한 학생일수록 수학불안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학생들의 수학 문제풀이 과정 중에 나타나는 계산 실수, 부주의, 착각은 그들의 수학 자신감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교사가 이를 그냥 방관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확인하고 지도해줄 필요가 있다. 또 교실 수업에서도 수능시험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 내적, 외적 문제해결문제, 추론문제, 응용문제, 통합문제에 대한 문제풀이 경험을 하게하여 수학불안을 해소해줄 필요가 있다.)값을 보였으나, 10,000Hz의 높은 측정주파수에서는 더 큰 $E_a$값을 나타냄으로서 반응온도변화에 민감함을 보여주었다.원으로부터 부유물을 증가로 사료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질이 휴양용수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차집시설과 환경 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EX>$K_s$값이 높고 $V_m/K_s$비율은 낮아 수게에서 질소가 저농도 일 때에는 다른 미세조류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질소에 대한 기질 친화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M.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시기에 수중 영양염의 농도 변동은 M. aeruginosa의 영양생리 kinetics 특성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 PDF

비교내신등급 산정의 통계적 연구

  • 이계오;정연수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1
    • /
    • pp.219-227
    • /
    • 1997
  • 본 연구는 1997학년도 공군사관학교 입시의 특수한 상황적 여건을 반영하여 비교내신 등급 산정을 시도한 하나의 보고서로서 전국고교를 학력차이에 따라 구분하고 수험생이 속한 출신고교의 수준과 내신성적에 따라 전국 고교 비교내신등급을 새롭게 산정한 실증적 연구사례이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Role Model, Reading Effectivenes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독서역할모델 및 독서유효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Dae-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1 no.4
    • /
    • pp.139-1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reading role model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reading effectiveness (reading satisfaction,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immersed reading) refle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Korean Language performance and middle school reco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were father (1.9%) and mother (3.4%) among reading role models. Among reading effectiveness factors,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8%) was the only effective factor. In the case of the middle school record, the mother (3.4%) had the only effect among the reading role models, and reading effectiveness was influenced all factors such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10.4%), immersed reading (4.0%) and reading satisfaction (1.9%). However, except for the factor willingness to persistent reading, the it found the influence was insignificant.

한 여고생이 겪는 수학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사례 연구

  • Lee, Eun-Suk;Jo, J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217-238
    • /
    • 2004
  • 본 사례 연구는 수학 교사로서 연구자가 학급에서 중간 정도의 학업 성적을 가지면서 특히 언어 영역이 상위의 학생이 수학 성적에서는 최하에 있는 수학 학습 부진을 보이는 한 여학생을 선정하여 매일 수학을 가르치면서 이 학생의 수학 학습의 부진 요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화된 인터뷰, 관찰기록, 전화, 이메일, 부모와의 인터뷰이며, 객관적인 자료를 위해 수학 기본능력 검사, 수학 내신성적, 대학수학능력 모의고사, 진로탐색 검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모든 자료를 일기 형식의 연구 일지에 기록하여 이 학생의 변화에 대한 기록을 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이 여학생은 낮은 지능과 잘못된 계열 선택, 기초학습 및 선수학습의 결손, 학교와 학급에 대한 부적응, 교사와 학생간의 부정적인 인간관계, 수학교과에 대한 불안감, 학습 실패 경험의 누적에 의한 자신감 상실, 학생의 능력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부모의 높은 기대치 등의 요인에 의해 수학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 of college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 Lee, Gyeoung Hee;Lee, Jung R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423-439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the high school records, mathematics grade in the KSAT(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grade point average) of college freshmen. It analyses how much mathematics capacities in the time of high school affect mathematics achievement of college freshmen. This study surveyed 193 freshmen, attending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taking the 'basic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lecture, which was opened for the first semester of 2014 in the A university. The data processing was fulfilled by means of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test, ANOVA, ex post facto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outcomes of this survey are followings: Firstly, over 90 percent of college freshmen underwent prior learning of mathematics when they attended high school. Secondly, their perception of effectiveness for prior learning is founded to be meaningfully lower than their perception of its needfulness. Thirdly, while there is hig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GPA in the college, there is littl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records and GPA in the college. Also, there is little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grade in the KSA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e college. Fourthly, the accomplishments in the high school(The high school records, mathematics grade in the KSAT) and the efforts, satisfaction, necessity, etc. for prior learning had littl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academical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Lived Experi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Naesin" Grading as a Norm-Referenced Evaluation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내신제도와 상대평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hun, Heejung;Son, Hoyang;Woo, Ju Young
    •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
    • v.16 no.3
    • /
    • pp.401-431
    • /
    • 2019
  • This study explored the lived experi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a norm-referenced evaluation with the Naesin system. The participants were 15 high school students who resided in the areas of Seoul, Gyeonggi, and Busan. This study adopt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developed by Giorgi. The study resulted in 370 meaning units, 71 summaries of meaning units, 26 sub-constituents, and 9 constituen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their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were centered around competitions and they experienced the sense of repeated frustration with their academic goals.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ir personal values equated with their academic rankings and they anticipated academic rankings becoming their future social rankings. Low rankings with good performance, learning for exam, and unfair treatment in school made them realize that the education is not for learning but for differentiating students. Participants have found the ways to know better about reality and self-regulated their thoughts and emotions. Further, this study identified resilient aspects of the participants such as support from parents and teachers and hopeful though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 Lee, Heon Soo;Kim, Young Cheol;Park, Yeong Y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7 no.4
    • /
    • pp.369-379
    • /
    • 2013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freshmen's achievements on general mathematics their GPA based on 'basic mathematics diagonal test scor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Also, we studied the achievements of students who were not passed the 'Basic Mathematics Diagonal Test (BMDT)' and had to take supplementary lessons to improve their mathematics abilities four times a week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12 in Mokpo National University.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freshmen were accepted by the university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have a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other type admission. Second,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semester has significant meaningful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econd semester. Finally,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s of general mathematics and a curriculum of freshmen who were passed test after taking supplementary lessons.

An Analysis of Career Plann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 시기와 특성 분석)

  • Kim, Jongheon;Lee, Heebok;Chun, Mira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6 no.4
    • /
    • pp.653-675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when and how science gifted students decide their career planning. We used semi-structured survey and additional interviews from the students of Science High School in Daejeon area. We found 39.1%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10th grade formed their career planning from their middle school periods. They had comparatively high levels of parenting support. The students chose their career fields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However, some students were able to try and never give up with self confidence even when they had low scores, and teacher's reinforcements influenced positively. 71.3% of students thought that the grades take up the achievement of career development. Besides, the career programs which had specific purposes and directions were very effective by 33.3%~64.4%. Otherwise the effects were low as 2.3%~18.4%. Especially, R&E research programs didn't effect on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ome students even frustrated with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we need to reflect current career education and develop worthwhil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the science gifted students.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한국 인문계 고교생들의 진로결정 요인)

  • Myeong, Jeon-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6 no.2
    • /
    • pp.63-72
    • /
    • 1986
  • 과학교육은 학생들이 장차 과학 기술분야의 직업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을 그 중요한 결실의 하나로 잡고 있다. 현재 한국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교육의 주요목표의 하나로 삼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보다 많은 영재를 과학 기술분야로 유치하려고 여러 가지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도 결국은 학생이 과학 기술분야로 모여들지 않으면 그 효과가 없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학생들이 어떤 이유로 과학 기술분야를 선택하는지 혹은 기피하는지 그 원인을 아는 것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 및 기술분야의 직업을 갖게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고교생의 문 이과반 선택에 있어 그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내외 남 녀 고교 1학년생 109명(문과 56명, 이과 53명)이었으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학생들의 문 이과반 선택에는 장래직업, 대학전공, 적성, 학과목에 대한 능력, 흥미 선호도,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이 주요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 문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의 적성 이과과목에 대한 능력부족 인식, 내신 및 학력고사에서의 성적취득용이성 등 주로 자신의 내적 동기와 관련된 요인들을 들고 있는데 비해, 이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밝은 직업전망,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 외적인 동기도 큰 작용을 하고 있음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 문과를 지원한 학생은 이과가 공부하기가 어렵고 성적을 올리기도 힘들어 이과를 기피한 경향을 보이는데 반해 이과 지원자는 문과를 기피하여 이과로 왔다는 응답은 별로 없는 점이 대조를 보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가 던져주는 시사점과 과학교육의 개선책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 PDF

Influence on High School Mathematics Learning Conten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ed on Mathematics Top-Ranked Students in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고등학교 수학 학습 내용에 미치는 영향 - 문과계열 수학 성적 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

  • Park, Yeongyong;Park, Yunjeong;Lee, Heonso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9 no.2
    • /
    • pp.177-196
    • /
    • 2016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fluence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for high level math problems of A-type of mathematics section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o analyze the influence, we compare and analyze units and field of questions set at examinations based on the rate of wrong answers in A-type mathematics test of the CSAT from 2012 to 2016. Also, we study the recognition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units and fields on math which need to allow more time to improve grade for A-type of mathematics section on the CSAT. We found following facts. First, high level math problems determining rank of high rank students on the CSAT was taken mostly from the unit related a exponential function and a logarithmic function. Second, these problems need more time for a calculation rather than an ability for student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quality of education. Third, high rank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to study more important units and fields of mathematics on the CSAT such as a exponential function and a logarithmic function, and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to teach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