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부환경

Search Result 4,15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the Environment in the Mushroom Production House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 Lee, Sunghyoun;Yu, Byeongkee;Lee, Cha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1-121
    • /
    • 2017
  •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 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ontext in BYOD Environment (BYOD 환경에서 기업 내부 서비스 접근에 따른 상황 인식에 관한 연구)

  • Jo, Chang Min;Kang, Dong Wan;Im, Chae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476-478
    • /
    • 2014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보편화됨에 따라 BYOD 환경이 도입되면서 외부에서도 개인 단말기기를 통해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처럼 BYOD는 점차 기업 문화의 한 트렌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반면에, 그에 따른 보안 위협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기존에는 기업 내부 기밀 정보의 외부 유출이 엄격히 관리되었으나, BYOD 환경이 도입됨에 따라 내부 정보 유출에 대한 통제가 어려워졌다. 또한 공개 Wi-Fi 등 보안이 취약한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기업 내부 서비스에 접속할 경우 해킹에 따른 보안 위협도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보안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사용자의 모든 행위에 대해 상황을 인식하고 관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BYOD 환경에서 사용자의 기업 내부 서비스 접속 및 이용에 따른 모든 상황을 단위 정보로 정의함으로써 상황을 인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렇게 정의된 정보는 기업 내부 보안 정책 수립, 비정상 행위 탐지 등에 활용 될 수 있다.

The Study of Greenhouses Management System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비닐하우스 관리시스템 연구)

  • Ryu, Jin-Bo;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741-742
    • /
    • 2016
  •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최근에는 IoT 기술을 접목하여 도시 내부에 자동화된 농작물 재배시설을 설비하여 재배된 농작물을 직접 현지에 바로 공급할 수 있는 운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지 내부의 건물 옥상이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임의의 공간에 온실을 설치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원격으로 관리하는데 있다. 온실 내부의 환경 데이터를 계측하기 위한 온도, 습도, 조도, 토양상태, CO2 센스를 설치하여 온실 내부의 환경을 라즈베리파이2(raspberry Pi2)를 활용하여 계측하였다. 원격으로의 데이터 전송은 Wi-F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며, 중앙에서 관리된 관리정보를 통하여 온실 하우스의 내부 환경을 제어할 수 도록 모터(motor), 환풍기 팬, 조명용 Led, 워터 펌프 등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 상태를 계측하고, 다양한 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IoT 기술을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라즈베리파이와 원격관리용 스마트 앱(app.)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내부 관경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S-Process 환경에서 재료의 내부식성 특성에 관한 연구

  • Gwon, Hyeok-Cheol;Kim, Dong-Jin;Kim, Ho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98-98
    • /
    • 2008
  •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는 그 생산방식이 여러 가지 있지만, 특히 Iodine-Sulfur Process가 주목을 받고 있다. 수소생산을 위한 IS-Process 환경은 가혹한 부식환경이기 때문에 수소의 대량생산을 위해 세워지게 될 Plant에 사용될 재료의 선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S-Process환경을 모사하여 재료의 내부식성 실험, 평가하였다. 또한, 재료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료의 표면에 세라믹 재질을 coating하여, 재료의 내부식성을 평가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raction among Local Broadcast Stations based on Market Environment (시장 환경에 입각한 지역 지상파 방송사 조직의 상호작용 특성에 대한 탐사적 연구)

  • Kwon, Jang-Wo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2
    • /
    • pp.27-47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latest statistics for 3 years based on the traits of market environment, intern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the size and distribution of workforce), and financial structure, and then, investigates the interactivity traits and drawbacks between organization and market environment, among the local broadcast stations, and, among the type of work in the internal organization, by interviewing with broadcasters working at the local sta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 at first, statistically, the conditions of local market environment, the size of local station workforce, financial structure are very poor. And, the interactivity among the local broadcast stations have so many difficulties because of a conflict of interest. So, for getting over a difficult situation at the local stations, in addition to planning to support local stations with various policies, government and local stations should seek for solution to overcome the conflict of interest jointly.

  • PDF

Effects of Beehives Number on Inside Temperature of Wintering Beehouse (저장봉군수가 저온양봉사 내부온도에 미치는 영향)

  • 이석건;김란숙;이현우;이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88-89
    • /
    • 2001
  • 꿀벌의 실내월동에 이용되는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내부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외기온, 저장봉군수, 환기량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된 국내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성능 및 저장봉군수와 양봉사 내부온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경상북도의 7개 지역에 설치된 월동용 저온양봉사(내부크기 폭4.5m×길이3m×높이3m)에 대하여 2000. 11. 25부터 2001, 2. 15까지 실내월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대상 지역은 포항, 문경, 상주, 칠곡, 성주, 영양, 안동이며, 지역별 저장봉군수는 각각 14, 74, 85, 110, 163, 170, 260군이다(Table 1). 꿀벌의 월동기간 중 안동과 성주지역을 제외한 5개 지역의 실내 월동성적은 폐사율이 10%미만으로 대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월동기간중 지역별 외기온을 분석한 결과, 평균외기온 및 최저외기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안동이었으며, 그 값이 각각 -3.1℃와 -9.4℃일 때 양봉사 내부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는 5.2℃와 3.8℃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균외기온 및 최저외기온이 가장 높은 지역은 포항이었으며 그 값이 각각 1.3℃와 -4.1℃일 때 양봉사 내부의 평균온도와 최저온도는 각각 3.1℃와 1.2℃로 나타나 저온양봉사 내부의 온도환경 조절성능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1). 또한 월동기간중 주.야간으로 양봉사 내.외부의 온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장봉군수의 증가에 따라 주야간 모두 양봉사 내.외부 온도편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양봉사 내부의 주.야간 평균온도는 모두 꿀벌의 월동에 적정한 범위인 2℃-9℃를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2). 그리고, 월동기간중 외기온이 가장 낮은 시기(1월 13-19일)의 평균 외기온이 -8℃--9℃로 유사한 문경, 상주, 영양, 안동지역의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평균 내부온도는 각각 -2.0℃, -1.0℃, 0.2℃, 4.2℃로 나타나 저장봉군수가 증가함에 따라 월동용 저온양봉사의 내부온도가 증가하여 꿀벌의 월동에 적합한 온도범위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기간동안 대부분의 저온양봉사 내부온도는 꿀벌이 월동하기에 적정한 온도범위(2℃-9℃)로 유지하였다(Fig. 1).

  • PDF

Sensor 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for Harsh Environments of Nuclear Power Plant (원전 극한환경적용 센서 통신망 구조)

  • Cho, Jai-Wan;Lee, Joon-Koo;Hur, Seop;Koo, In-Soo;Hong, Seok-B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540-541
    • /
    • 2008
  • 원자력 발전소 격납구조(containment) 내에 설치되는 센서, 구동기(actuator) 및 설비는 원전의 안전운전과 함께 방사능 누출사고와 같은 중대사고(severe accident)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격납구조 내부는 Category I 등급으로 분류되며, 격납구조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 구동기, 기기 및 통신망은 IEEE Std. 323-1974에서 정의하는 극한환경(harsh environment) 요건에서 생존할 수 있는 내환경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엄격한 내환경성 요건으로 인해 일반 산업의 IT 기반 센서통신망이 원전 격납건물 내부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독일을 중심으로 신규로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인 원전에서는 일반 산업의 IT 기반 센서 통신망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기반의 첨단 센서 통신망 기술을 격납구조내부와 같은 극한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상운전중의 원전 격납 건물 내부의 환경(온도, 감마선, 습도) 특성과 중대 사고를 가정한 DBA (설계 기준사고) 요건에서의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설계기준사고에서 정의한 감마선 조사 환경에서 통신 시스템의 생존성을 실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격납구조내부의 원전 극한 환경 통신망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a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ravel Industry's Employees upon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 and Job Satisfaction (여행업 종업원 교육훈련이 내부환경요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Kwon, Myoung-Ran;Lee, Jae-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4
    • /
    • pp.255-2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evaluate impa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ravel industry's employees up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seek for improving efficiency of such education and training and measures for personnel management. It is also to evaluate impa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ravel industry's employees upon their job performance. Moreover it is attempted to make suggestions for emphasizing importance of developing potentiality of travel industry's employees and suggestions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Review on outcom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ravel industry's employees revealed that improvement of their job satisfaction depends on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motivation for it, desire and ability for achievement. Also it depends on support from their superiors or colleagues and existence of environmental atmosphere.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employees and not only travel industry but also competent government agencies should make long-term investment and support for fostering excellent employees in future.

The Study on Factors for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Compared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요인에 관한 연구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비교-)

  • Lee, Chan-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8
    • /
    • pp.195-20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key factors of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ose factors and revisit intention. To draw a conclusion, this study makes surveys including the variables of success factor(External environment factors,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Internal cultural factors), degree of satisfaction, and degree of revisit intention. And it collects the data from respondents who had been to Gamcheon culture village in Busan. The data is analyzed by apply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of these analysis describes that the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and Internal cultural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degree positivel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evisit intention. The study finds out that unique resource properties should be considered when underdeveloped cities are regenerated. Future study is to generalize the theory through the sampling covered the whole country.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Work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융합적 관련성)

  • Jang, Sun-J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2
    • /
    • pp.23-2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measur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by 245 dental hygienists in Daegu and some areas of Gyeongbuk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Technical statistic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relevance to the working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dental hygienists, the higher the individual's empowerment and the bett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edical institution has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and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dental cli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