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raction among Local Broadcast Stations based on Market Environment

시장 환경에 입각한 지역 지상파 방송사 조직의 상호작용 특성에 대한 탐사적 연구

  • Kwon, Jang-Won (Dept. of Mass Communication & Advertisi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권장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언론광고학부 언론영상)
  • Received : 2010.05.31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0.11.15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latest statistics for 3 years based on the traits of market environment, intern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the size and distribution of workforce), and financial structure, and then, investigates the interactivity traits and drawbacks between organization and market environment, among the local broadcast stations, and, among the type of work in the internal organization, by interviewing with broadcasters working at the local sta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 at first, statistically, the conditions of local market environment, the size of local station workforce, financial structure are very poor. And, the interactivity among the local broadcast stations have so many difficulties because of a conflict of interest. So, for getting over a difficult situation at the local stations, in addition to planning to support local stations with various policies, government and local stations should seek for solution to overcome the conflict of interest jointly.

본 연구에서는 시장 환경적 특성과 함께 조직 내부의 재원 구성 및 조직 구성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조직과 환경, 조직과 조직, 조직 내부의 상호작용 특성과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방송에서의 시장 환경적 특성과 조직 내부 구조, 그리고 재원 구조의 특성은 최근 3년간 발간된 각종 통계 자료를 평균하여 현실에서의 환경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외적인 환경과 내부 구조적 특징과 더불어 외부 환경과 타 조직, 그리고 조직 내부 상호작용 특성 및 각종 문제점 등을 내부 구성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지역 방송사 조직과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특성과 그 문제점 등을 탐사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한된 지역 시장 환경에 경쟁 체제가 도입되고, 재원 확보 및 조직 구조가 열악한 속에서 지역 방송사 조직은 시장 환경의 확장과 조직 간, 조직 내 상호작용방식 전환을 통해 조직의 내적 역량의 열악함을 극복하고자 하지만,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불확실성과 이해관계의 첨예한 대립 등으로 인해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이 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함에 따라,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와 장기적인 인사 정책 수립이 어렵게 되고, 이는 시점에 따른 인력 구조의 편중과 더불어 방송사 조직 내부의 불안정을 가져오는 주요한 구조적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