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부피복두께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부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Bond Characteristics of Deformed Bar Embedded in Donut Type Biaxial Hollow Slab)

  • 정주홍;강성훈;이승창;최창식;최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55-163
    • /
    • 2013
  • 이 연구는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에 매입된 이형철근의 부착특성 및 부착강도 산정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철근 부착특성 및 부착강도 산정을 위해 pull-out test를 수행하였다. 도넛형 중공형성체는 슬래브 내부에 배치되어 철근과 중공형성체 사이에 내부의 피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피복두께는 외부피복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피복두께를 가지며 중공형상에 따라 $2.5d_b$보다 작은 내부피복두께가 형성되기 때문에 철근의 부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중공형성체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장철근을 감싸고 있는 피복두께의 조건이 철근의 길이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도넛형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부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공형성체 형상에 따라 부착구간을 구분하였다. 구간별로 내부피복두께에 따른 부착응력-슬립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중공형성체 전 구간에 걸친 부착응력분포를 확인하여 철근의 길이방향에 따른 부착응력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간별 부착응력-슬립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도넛형 중공슬래브의 부착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부착강도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뿜칠피복재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내화피복두께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proof Covering Thickness of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s with Spray Coating)

  • 이태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41-46
    • /
    • 2010
  • 고강도 콘크리트는 대형 사회기반 구조물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우수한 재료적 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반면에 화재에 대한 급작스러운 폭렬현상으로 인하여 구조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추가하여 내화피복재를 사용함으로써 내화피복두께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고 최적의 내화피복두께를 산정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화피복재를 10mm 간격으로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이 크게 향상됨을 볼 수 있었으며, 최적의 내화피복두께는 약 1~3mm로 산정되었다. 또한 폭렬에 의하여 급작스러운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상승 이후 기화열에 의한 열손실로 완만하게 온도가 상승되는 현상이 실험적으로 관측되었다. PP 섬유는 약 $200^{\circ}C$ 부근에서 용해되어 고온에서는 빈 채널만 남게 되므로 내부 증기압을 저감시켜주는 역할도 관측되었다.

강섬유 혼입률과 피복두께에 따른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 (Bond Properties of GFRP Rebar with Cover Thickness and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 최윤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61-768
    • /
    • 2012
  • 이 연구는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피복두께와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을 부착응력-미끌림 관계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변수로는 강섬유 혼입률을 0%, 1%, 2%로 하였고 피복두께는 보강근 직경($d_b$)의 $1.5d_b$$5.4d_b$로 하였다. GFRP 보강근의 직경은 D13과 D16 두 가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실험을 위하여 이형철근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피복두께에 따 상이한 파괴형태를 취했으며, 작은 피복두께를 갖는 $1.5d_b$의 경우 쪼갬파괴 형태를 취했고 충분한 피복두께인 $5.4d_b$를 갖는 경우 뽑힘파괴 형태를 취했다. 이에 강섬유 혼입률을 증가시켰음에도 파괴형태에는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강섬유 혼입률의 증가에 따라 최대부착응력 도달 후 급작스런 부착응력 감소폭이 감소하였다. 또한, 작은 피복두께를 갖는 경우 최대부착응력에 도달 전에 파괴되면서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부착응력의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충분한 피복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최대부착응력에 도달 하면서 강섬유 혼입률 증가에 따라 부착응력이 증가하였다. 이는 강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의 미소균열 및 쪼개짐 균열의 성장을 억제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터널 내화용 고강도 습식 스프레이 폴리머 모르타르의 화재 발생시 내부온도분포 (Temperature Distribution of Wet-Mixed High Strength Sprayed Polymer Mortar for Fire Resistance of Tunnel)

  • 원종필;최석원;박찬기;박해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C호
    • /
    • pp.283-290
    • /
    • 2006
  • 콘크리트는 열전도열이 작은 불연성의 재료이다. 그렇지만 콘크리트는 화재에 저항하도록 설계되지 않으면 열을 받을시 공극압과 내부인장응력이 발생하여 폭렬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내화용 습식 고강도 스프레이 폴리머 모르타르의 성능을 실험적 및 수치해석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RABT 온도가열곡선을 이용하여 내화로에서 수행하였으며, 터널 내화용 습식 스프레이 모르타르의 피복두께에 따른 온도분포를 평가하였다. 실험 및 수치해석적 분석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터널 내화용 습식 고강도 스프레이 폴리머 모르타르의 적정 피복두께는 4cm이상으로 결정하였다.

주기적 염해 시험에 따른 소켓 타입 전극을 활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OCP 특성 (Characteristics of OCP of Reinforced Concrete Using Socket-type Electrodes during Periodic Salt Damage Test)

  • 이상석;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8-36
    • /
    • 202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의 매립된 철근은 부동태 피막으로 인해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고 알려져 있다. 구조물의 경제적인 내구수명 산정을 위해 부식 발생 시기를 지연시키거나 초기 부식 시점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 가지 수준의 피복두께(60 mm, 45 mm, 30 mm), 물-시멘트 비(40.0%, 50.0%, 60.0%), 염화물 농도(0.0%, 3.5%, 7.0%)를 고려한 콘크리트 시편을 대상으로 부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는데, 한천(Agar) 기반 소켓 형식 센서를 활용하여 OCP를 측정하였다. OCP 측정 시 습윤 조건에서는 전위가 감소하고 건조 조건에서는 감소된 전위가 일부 회복하는 거동을 확인하였다. 모든 물-시멘트 비에서 피복두께가 30 mm의 경우 가장 낮은 OCP값이 측정되었으며, 피복두께가 30 mm에서 45 mm로 증가할 때 빠르게 OCP가 회복하였다. 이는 피복두께가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효과적인 방어기구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염화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물-시멘트 비의 영향보다 피복두께에 대한 영향이 더 지배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시편의 해체 후 추가적인 모니터링과 염화물량의 평가를 수행하면 제안된 부식 모니터링 기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공 데크플레이트에 사용된 철선의 내부피복두께에 따른 부착응력-변형률 예측모델 (Bond Stress-Strain Predict Model with Inner Cover Thickness of Steel Wire Used in Void Deck Plate)

  • 김희현;최창식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1호
    • /
    • pp.41-51
    • /
    • 2018
  • In case of evaluating the bond stress of a void deck plate using a wire steel, there is no standard formula considering both the influence on the void and the type of the reinforcing bar. Therefore we proposed a model equation considered the bond characteristics of the void deck plate. A total of 46 specimens was carried out a direct pull-out test and the test variables were the presence of a void body, type of reinforcing bar, the inner cover thicknes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reinforcing bars and bond reg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steel bar and steel wire, the bond stress of the steel wire with the relative rib area of 0.071 is 4.5 ~ 28.58% lower than that of the steel bar with 0.092 and the bond stress reduction rate increases when the inner cover thickness is insufficient. In the case of the inner cover thickness of $1.7d_b$ and $2.7d_b$, the bond stress was reduced to 48.7 ~ 68.4%. In the inner cover thickness was $4.9d_b$ and $5.2d_b$, the bond stresses were equivalent to those of the solid specimen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bond stress and strain were affected by the inner cover thickness. Therefore the predicted model for one module of the void deck plate is proposed and verified by considering the bond characteristics of the void deck plate.

내화용 고강도 습식 스프레이 폴리머 모르타르의 화재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Wet-Mixed High Strength Sprayed Polymer Mortar for Fire Resistance)

  • 원종필;최석원;박찬기;박해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59-56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재에 의하여 붕괴 위험성이 있는 터널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습식 고강도 폴리머 스프레이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과 화재저항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낮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 내화재료로서 충분하지 않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재료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강도와 화재저항성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한 습식 고강도 폴리머 스프레이 모르타르의 피복두께에 따른 내부온도분포를 평가하였으며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터널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는 습식 고강도 폴리머 스프레이 모르타르의 최적두께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습식 고강도 폴리머 스프레이 모르타르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내화용 재료와 비교하여 강도가 높았으며, 우수한 내화성능을 확보하였다. 무엇보다도 화재로부터 기존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고강도 폴리머 모르타르의 최적 피복두께는 4cm이상 이었다.

콘크리트내의 철근 및 공동탐사를 위한 측정과 분석 (Measurements and Data Interpretation for the Detection of Steel Bars and Delamination inside Concrete)

  • 임홍철;박기준;이숭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5-313
    • /
    • 2000
  • 콘크리트 내부에 위치한 철근과 공동의 탐사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상용 비파괴 검사 장비를 이용한 측정과 이론적 모델링을 실시하고, 향상된 신호처리 결과의 예를 제시하였다. 실측에 사용된 장비는 레이더 장비 2종과 전자기법 철근 탐사 장비 2종이다. 철근 탐사에는 직경 19mm의 철근을, 그리고 공동 탐사에는 두께 50 mm의 스티로폼을 콘크리트 시험체 안에 각기 다른 피복 두께로 매립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철근의 수평 배근 간격 탐사를 위해 두 개의 철근을 매립 측정하였다. 실험과 함께 전자기파 모델링 방법을 소개하여, 레이더를 이용한 경우, 철근과 공동이 탐지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보여주었다. 탐사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용 레이더 장비의 측정 결과를 신호처리 과정을 통해 개선하였다.

  • PDF

간이 내화시험에 의한 석고계 모르타르의 내화성능 (Fireproof Performance of Mortar using Gypsum in Simplified Heating Test)

  • 강석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1-188
    • /
    • 2011
  • 고강도콘크리트 부재 표면에 내화모르타르를 피복하여 화재시 콘크리트 표층부의 온도상승을 저감시킴으로서 내부 철근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본 논문은 간이내화시험을 통하여 시멘트 및 석고계 내화모르타르 피복 고강도콘크리트의 내부철근 온도상승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석고계 내화모르타르가 시멘트계 내화모르타르보다 고강도콘크리트의 내부철근 온도상승을 저감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화모르타르 피복두께가 작을수록 시멘트계 내화모르타르와의 내부 철근 온도차이가 증가하였다. 또한 ${\alpha}$형 반수석고와 ${\beta}$형 반수석고 종류에 따른 내화모르타르의 온도상승 저감효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alpha}$형 반수석고 내화모르타르의 압축강도가 ${\beta}$형 반수석고 내화모르타르보다 높게 나타났다.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를 이용한 계란에서의 Salmonella enteritidis 오염 연구 (Studies on Salmonella enteritidis Contamination in Chicken Egg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 장금일;박종현;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71-777
    • /
    • 1999
  • CSLM 기술을 이용하여 Salmonella enteritidis에 의한 계란 오염 과정을 관찰하여 난막의 3중막 구조, cuticle 층 그리고 5가지 필름 피복의 침투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다. 난막을 구성하는 fiber의 지름은 각각 outer membrane $1.5{\sim}7.2\;{\mu}m$, inner membrane $0.8{\sim}2.0\;{\mu}m$이었고, limiting membrane을 구성하는 입자의 지름은 $0.1{\sim}1.4\;{\mu}m$이었으며, 두께는 각각 평균 10.0, 3.5, $3.6\;{\mu}m$이었다. 난각과 접해 있는 outer membrane은 다음 층인 inner membrane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있고, limiting membrane의 입자들은 매우 밀집되어 inner membrane과 중첩된 상태로 존재하였다. Cuticle층은 전체 계란 표면적 중 $40{\sim}80%$ 를 덮고 있었으며, 두께는 평균 $6.0\;{\mu}m$이었고 피복 필름들의 평균 두께는 자각 mineral oil $5.0\;{\mu}m$, dextrin $3.6\;{\mu}m$, gelatin $3.9\;{\mu}m$, starch $2.5\;{\mu}m$, chitosan $2.2\;{\mu}m$이었다. 필름 피복에 의한 Salmonella enteritidis 생육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chitosan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trisodium phosphate (TSP),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처리, 5종의 필름 피복 처리와 무처리한 계란표면에 Salmonella enteritidis를 접종한 후 내부 전이 과정을 CSLM을 이용하여 다색영상화(multi-color imaging)와 시간당 투과 균수에 대한 plate count로 비교한 결과, 난각이나 3중막 구조의 난막보다는 cuticle 층이 Salmonella균의 오염을 차단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itosan 피복이 cuticle 층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피복 필름중에서 chitosan이 최외부 방어막인 cuticle층이 결손된 난각 부위를 피복하는데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