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편의 정서적 지지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Experience of Married Migrant Women)

  • 조미진;김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91-19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정서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를 할 수 있는 결혼이주여성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부모의 따뜻한 관심으로 안정된 삶을 삼', '남편의 지지로 인해 가정에 충실함', '정서적으로 위로를 받아 보다 안정된 삶을 살게 됨', '하나님의 도우심을 경험함으로 기쁨', '정서적으로 회복되어 남편과 주변 사람들에게 잘함', '정서적 불안으로 인해 가정일이 손에 잡히지 않음', '힘들어 자신과 남편을 원망하고 갈등이 일어남', '분노가 일고 결혼한 것을 후회함'의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정서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정서적으로 잘 적응하며 살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모유수유 유무와 산후 4개월된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Attainment for Breastfeeding and Bottlefeeding Mothers at Four Months after Delivery)

  • 이혜경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0
    • /
    • 1994
  • 모유수유 유무와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모유수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소, 모유수유를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등 모유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다. 이에 비하여 모유수유가 어머니의 모성행위, 어머니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모유수유 유무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모성간호사들은 모유수유 어머니가 인공수유 어머니보다 아기 양육에 더 자신감을 갖고 있고,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더 만족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공수유를 하는 어머니들 스스로도 모유수유를 하지 못함 때문에 아기에 대한 죄의식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생후 4개월된 아기를 갖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유무와 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성역할 긴장에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편의 지지와 친척 및 친구의 지지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가 없었고, 모성역할 긴장 역시 차이가 없었다.

  • PDF

자녀의 정서성과 남편의 부모역할 지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y Their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ir Husbands' Support on Parenting)

  • 김송이;최혜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y their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ir husband's support on parent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2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thers with high-emotionality children reported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ones with low-emotionality children. The mothers reported low-supporting by their husbands perceived higher parenting stress and used less warmth-encouragement than mothers reported high-supporting. The setting limit behaviors in parenting was significant different by their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ir husbands' support on parenting. That is, only in the group of high-emotionality children, the mothers with high-supporting by their husbands used more setting limit behaviors than the ones with low-supporting. The children with mothers received low-supporting by their husbands were rated as less prosocial by their teachers than the children with mothers received high-supporting.

남편의 정서적 지지 및 어머니-교사협력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usband's Emotional Support and Mother-teacher Partnership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 이선영;안선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6호
    • /
    • pp.41-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usband's emotional support and mother-teacher partnership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16 mothers with children(aged 4-5years). Husband's emotion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PAI, R. R. Abidin, 1988) revised by R. R. Abidin and J. F. Brunner(1995). Mother-teacher partnership was measured using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A. M. Ware, B. Barfoot, A. S. Rusher & M. T. Owen, 1995) revised by M. T. Owen, A. M. Ware and B. Barfoot(2000). Parental Stress was measured by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R. R. Abidin, 1995) revised by M. E. Haskett, L. S. Ahern, C. S. Ward and J. C. Allaire(2006).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husband's emotional support was higher than average and the mean score of mother-teacher partnership was an average level. Parenting stress was lower than averag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maternal parental stress according to number of children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Third, husband's emotional support and mother-teacher partnership were influenced by maternal parental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because they show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ways to reduce maternal parental stress.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The Difference of Child Care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Depending on Using In-Home Care Service)

  • 최정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5-22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보미 서비스의 이용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여, 아이돌보미 지원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K구 아이돌보미 서비스 등록 가정(293가정)의 어머니이다. 2009년 9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총 193명의 어머니에게 전자우편을 송신하여 총 69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 유무와 관계없이 수단적 원조는 남편과 친족의 지원을 이용하였으며, 정보적 원조와 정서적 원조는 남편과 친구/이웃/직장동료, 인터넷 카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희망자가 이용자보다 남편, 친정부모, 시댁부모의 육아지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 유무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인의 정서적 지지와 남편의 결혼만족도 (Wife's Emotional Support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 홍성례;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8권2호
    • /
    • pp.61-76
    • /
    • 2000
  •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in the family, this study investigated wife's emotional support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ubjects were 232 husbands in Seoul.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wife's emotional support to their husbands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ere generally high. And wife's emotional support to their husbands had the strongest positive effect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husband's income and wife's employment were negatively related to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It wa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support to their husbands had the strongest positive effect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husband's income and wife's employment were negatively related to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It wa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support in the spousal relationships.

  • PDF

산욕초기 산모의 산후우울에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Efficacy, Body Image and Family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Early Postpartum Mothers)

  • 이지원;어용숙;문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11-4020
    • /
    • 2015
  • 본 연구는 산욕초기 산모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산후우울에 자기효능감, 신체상 및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산후우울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산부인과 전문병원에 입원하여 출산한 지 1주일 이내의 산욕초기 산모를 근접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최종 대상자는 306명이었다. 2013년 1월부터 4월까지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지지 및 산후우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검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산후우울 점수는 평균 6.09점(30점 만점)이었고, 산후우울은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 중 월평균, 결혼만족도, 임신계획여부, 임신 중 정서상태, 수유형태, 남편의 가사보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산후우울은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지지와 부적상관관계가 있으며,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상, 임신중 정서상태, 가족지지이었고, 이들이 산후우울을 38.4%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욕초기 산모의 산후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긍정적 신체상을 갖도록 도와주고, 가족지지 체계를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임신 중 정서상태가 불안했던 산모의 산후우울을 면밀히 사정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 비즈니스 여성기업인의 일/가족 역할갈등과 조정 전략 (Work and Family Role Conflict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Women Entrepreneurs in Contents Business)

  • 전방지;한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50-165
    • /
    • 2008
  • 본 논문은 여성기업인의 일/가족 정체성을 규명하고, 여성기업인이 경험하는 일/가족 갈등, 그리고 일/가족 갈등 조정 전략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콘텐츠 비즈니스 분야 창업 여성기업인이며, 연구 방법은 심층면접이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일 우선적 몰입>, <일/가족이중몰입>, <가족 우선적 몰입>이라는 세 유형으로 여성기업인의 일/가족정체성이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가족이중몰입>의 정체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일/가족정체성은 자신이 처해 있는 일/가족상황과 사업성과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사례 여성기업인의 일/가족조정전략은 <일/가족 역할공유전략>과 <일역할 또는 가족역할축소전략>으로 구분된다. 조정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일/가족 정체성, 가족, 배우자 등 외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원의 유무, 가족구조, 사업의 재정적 성과가 밝혀졌다. 여성이 일/가족 역할공유전략을 선택하는 데에는 ‘남편의 지원’ 여부, 즉 남편이 사업 활동에 대한 지지와 격려를 하는 표현적(정서적) 지원과 가사나 육아를 실질적으로 대신 하는 도구적 지원의 양자가 모두 여성의 일/가족역할 공유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일역할 축소전략을 선택에는 ‘매출의 부진’이라는 사업상의 성과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