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난발

Search Result 158,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자극방법별 바윗굴, Crassostrea nippona 의산란효과와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Spawning induction accrding to Stimulating Treatment and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and Larvae Rearing of Oyster , Crassostrea nippona)

  • 유성규;강경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1-97
    • /
    • 1996
  • 바윗굴의 산란유발 및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극방법별 효과와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자극방법별 산란유발은 정자현탁액 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산란량과 높은 수정률을 나타냈고, 난발생 및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h, 시간)는 수온이 높을 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담륜자기 :1/h= 0.0069T - 0.0950(r=0.9447)D형 유생 :1/h= 0.0006T - 0.0045(r=0.9288)초기 각정기 유생:1/h= 0.0002T - 0.0019(r=0.9358)후기 각정기 유생:1/h= 0.0002T - 0.0022(r=0.9868)부착기 유생:1/h= 0.0001T - 0.0013(r=0.9897)또한 바윗굴의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10.96$^{\circ}C$였으며, 수온별 유생사육시 바윗굴의 생존율은 24$^{\circ}C$에서 6.8%로 가장 좋았다.

  • PDF

강굴, Crassostrea rivularis 의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and Larvae Rearing of Oyster, Crassostrea rivularis)

  • 유성규;강경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5-170
    • /
    • 1995
  • 강굴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과 염분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h, 시간)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D형 유생: 1/h= 0.0017T-0.0033(r=0.9882)초기 각정기 유생:1/h= 0.0003T-0.0044(r=0.9496)후기 각정기 유생:1/h= 0.0002T-0.0028(r=0.9918)성숙유생:1/h= 0.0001T-0.0011(r=0.9997)2. 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10.4$^{\circ}C$였다.3. 강굴의 난발생이 가능한 하한 및 상한 염분농도는 10$\textperthousand$와 37$\textperthousand$였다.

  • PDF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산란유발, 난발생 및 채묘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Spawning Induction, Egg Development and Seed Collection of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유성규;강경호;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9-88
    • /
    • 1990
  • 우렁쉥이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산란유발, 난발생 및 채묘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과 조도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극수온별 생산유발 결과 $14^{\circ}C$에서 가장 많은 산란량을 보였고, $12^{\circ}C$에서 가장 높은 수정률을 나타냈다. 2. 난발생의 각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h, 시간)는 수온이 높을 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8세포 1/h =0.0147 T-0.0069(.=0.9816) 32세포 1/h =0.0100 T-0.0017(r=0.9672) 초기미충형유생 1/h =0.0043 T+0.0024(r=0.9913) 부화유생 1/h =0.0021 T-0.0021 (r=0.9898) 3. 우렁쉥이의 수온과 난발생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영도는 평균 $0.27^{\circ}C$ 였다. 4. 우렁쉥이의 난발생이 가능한 하한수온 및 상한수온은 각각 $0^{\circ}C$, $24^{\circ}C$였다. 5. 수온별유생의 부착률은 $14^{\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14^{\circ}C$를 정점으로 수온이 상승, 하강 할 수록 저조한 부착률을 나타냈다.

  • PDF

개불, Urechis unicinctus의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 강경호;김재민;양호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7-248
    • /
    • 2000
  • 개불류는 연안의 사니질에서 쉽게 발견되며 그 종류의 수나 자원량이 풍부한 저서동물군이다. 이들은 번식력이 강하고 저질에 U자형의 굴을 뚫어 해수를 순환하게 함으로써 유기성분을 변화시켜 저질을 정화시키기도 하는 등, 연안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개불의 양식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어미의 확보 및 산란유발, 난발생 및 유생사육 등에 관한 생물학적인 기초자료가 필요하게 된다. (중략)

  • PDF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난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수온, 염분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and Larval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 황형규;김대현;박민우;윤성종;이윤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4-238
    • /
    • 2008
  •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종묘생산 및 양식가능성을 조사하기위하여 난발생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난경은 $0.91{\sim}1.33\;mm$였으며, 1개의 유구를 갖고 있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이었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16^{\circ}C$일 때 약 70시간, $20^{\circ}C$일 때 48시간, $24^{\circ}C$일 때 42시간, $28^{\circ}C$일 때 34시간으로 고수온일수록 빠른 경향이었다. 부화율은 자연해수 조건인 $20{\sim}24^{\circ}C$$33{\sim}35\;psu$ 범위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t: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난발생이 진행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6.9^{\circ}C$로 추정되었다.

참돔, Pagrus major의 난발생속도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of the Red Sea Bream, Pagrus major)

  • 유성규;장영진;강경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18
    • /
    • 1991
  • 참돔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circ}C$)에 따른 발생속도(t :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8 세포기 : 1/t=0.0618T-0.5877(r=0.9899) 상실배기 : 1/t=0.0284T-0.2556(r=0.9948) Kupffer씨포 출현기 : 1/t=0.0076T-0.0829(r=0.9902) 부화자어기 : 1/t=0.0031T-0.0350(r=0.9985) 2. 참돔의 초기발생에 있어서 난발생이 진전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10.2^{\circ}C$로 나타났다. 3. 설정수온별로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의 소요시간은 $15^{\circ}C$에서는 87시간, $18^{\circ}C$에서는 48시간, $21^{\circ}C$에서는 32시간, $24^{\circ}C$에서는 27시간이었다.

  • PDF

참가자미, Limanda herzensteini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of Flatfish, Limanda herzensteini)

  • 이정용;김완기;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57-362
    • /
    • 1997
  • 참가자미의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정상적인 부화는 9-$15^\circC$에서 가능하였으며 생존율은 $12^\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 \circC$)에 따른 발생속도 (t :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8세포기 1/t=0.0284T-0.0554 (r=0.9999) 상실기 : 1/t=0.0137T-0.0527 (r=0.9998) Kupffer씨포 출현기 : 1/t=0.0035T-0.0133 (r=0.9762) 부화자어기 : 1/t=0.0012T-0.0007 (r=0.9981) 참가자미의 난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2.6^\circC$로 나타났다. 설정 수온별로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9^\circC$에서 95.5시간, 12$12^\circC$에서 72.5시간 및 $15^\circC$에서 56.0시간이었다. 염분별 부화까지의 생존율은 35-$38\textperthousand$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수용밀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on the Egg Development of the Sunray Surf Clam, Mactra chinensis)

  • 민병희;김태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7-302
    • /
    • 2010
  • 개량조개의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 염분 및 수용밀도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수온에 따른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W, $^{\circ}C$)에 따른 발생속도 (h, 시간)는 $18^{\circ}C$, $23^{\circ}C$, $28^{\circ}C$$33^{\circ}C$에서 D형 유생까지 각각 33시간 30분, 20시간 40분, 18시간 15분 및 15시간이 소요되어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2세포기 : 1/h = 0.1051WT - 1.4782 ($r^2=0.9926$) 8세포기 : 1/h = 0.037WT - 0.3686 ($r^2=0.9648$) 낭배기 : 1/h = 0.008WT - 0.0521 ($r^2=0.9134$) 담륜자 : 1/h = 0.0041WT - 0.0235 ($r^2=0.9072$) D형유생 : 1/h = 0.0024WT - 0.0102 ($r^2=0.9611$) 개량조개의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8.0^{\circ}C$였으며, 개량조개 수정란은 D형 유생까지의 발생률을 고려할 때 발생 가능한 수온은 $18-28^{\circ}C$, 적정 수온은 $23^{\circ}C$였다. 개량조개의 수정란이 D형 유생으로 발생 가능한 염분은 20-35 psu로 나타났고, 염분에 따른 수정란의 D형 유생까지 발생률을 고려할 때 최소 25 psu 이상이며 적정 염분은 30-35 psu였다. 수정란으로부터 D형 유생까지의 발생률을 높일 수 있는 수정란의 수용밀도는 사육수 1 ml 당 40개 이하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