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상사고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6초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국내·외 관련 규정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afety Regulation for Slip, Trip and Fall Prevention)

  • 최형진;김정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7-326
    • /
    • 2014
  • Slips and falls are associated with many public injuries in Korea. It is also estimated that slipping are major contributors to slip, trip and fall injury burden.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if, and to what extent, the standard could be improved in present environment. In order to fulfill our objective, the regulation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were investigated and reviewed. Many kind of standard, mandatory documents and guideline were also reviewed. And then, regulations, standard, guideline etc. reviewe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s. Also, some criteria was developed in this study. Standard and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prevent slip, trip, and fall injuries.

다중 센서를 이용한 위험 상황 감지 안전모 (Risk Situation Detection Safety Helmet using Multiple Sensors)

  • 최우용;김효상;고동현;이장훈;이승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26-127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산업 재해의 주요 원인인 추락 및 낙상 사고와 가스 누출에 중점을 둔 위험 상황 감지 안전모를 다루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을 통해 추락 상황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 80%의 추락 및 낙상 감지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스 센서를 통해 위험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시리얼 모니터를 통해 188 이상의 디지털 값이 출력될 경우 가스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였다,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한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추락 및 낙상 상황 경고 메시지와 가스 경고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보도파손 경고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dewalk damage warning system for wheelchair users)

  • 조현정;김수정;박수현;박지원;유동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5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고령 휠체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능동적인 이동을 위한 보도 탐지와 낙상 사고 감지의 기능을 담은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도 파손 데이터를 담은 데이터베이스 지도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2차 사고 방지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응급실 간호사의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 박민경;김현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6-18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ER) nurses based on their health belief factor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given to 127 emergency room nurses from two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four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two local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with LSD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ER nurs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had a mean of $3.78{\pm}0.50$. Eigh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 factors accounted for 30.8% of the fall prevention activiti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and negatively affected by factors, such as ER career and perceived severi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lan for enhancing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to improve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additi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for ER nurses who have worked in local medical institutions for less than 1 year or more than 5 years.

노인가정의 낙상사고 위험 환경요인 (Home Environmental Hazards of Falling Accident in the Elderly)

  • 박영혜;문정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3-213
    • /
    • 2005
  • Purpose: To assess the environmental hazards of falling accident in the homes of the elderly. Method: 222 homes of the elderly were assessed by the home environmental Checklist from May to July in 2003. Results: The mean score of home environmental hazards for fall were 13.19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49, ranging from 4 to 24. The bathroom was the most hazardous place in the home, porch came next bedroom, kitchen, living room and stair followed them. The floor surface such as finishes and non-skid mats was the most hazardous interior factor in the home, using bathroom came next furniture and illumination followed them. The floor surface such as finishes and non-skid mats in the bathroom, kitchen, living room and porch, illumination of bedroom and stair were the most prevalent hazards in the home of interior. Of the 49 potential hazards, bathroom grab bar was the most prevalent one with 89.9%, and non-skid rugs in the porch, bathroom and kitchen, safety of dinner table, the threshold and furniture of porch, and illumination of bedroom were prevalent more than half of the home under assessing. Men, living in the separate house or villa with stairs were in more hazardous environments. Conclusion: To reduce the potential hazards of fall accident in the home, improving hazards relating to floor surface such as slip resistance surface and mats is important specially those of the separate house or villa with stairs.

가상공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령자 행동특성 기반 계단 낙상사고 평가 (Evaluation of staircase accidents using 3D virtual simulation based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 양현철;나선철;김동현;이재욱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1-30
    • /
    • 2017
  • Due to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the death rate of elderly people by safety accidents has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precautions are needed for falls prevention because they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cause death.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most of the fall accidents occur in dense residential areas, and particularly, the staircase poses a risk of falling. Therefore, a safety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from the design phase. However, in general, staircases are designed using existing stair data or only aims to satisfy the installation criteria. Laws and regulations only define minimum requirements for safety, so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fall accidents even if they satisfy the requiremen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imulation-based method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staircas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implemented to an virtual user in a virtual space including staircases, and fall accidents are evaluated by the evaluation logic related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s that the safety of staircases can be preevaluated and reflected on the design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fall accidents of the elderly.

중소병원 간호사의 낙상예방행위와 관련 변인 간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Fall Prevention Behavior of Registered Nurses in Small-to-Medium Sized Hospitals)

  • 박지현;손정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9-28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model to predict the fall prevention behavior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Methods: Participants were 382 nurses from 13 hospitals who responded to the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earch model was based on previous study of fall preventi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health belief model. Results: The modified model generally showed higher levels than recommended level of model fit indices and acceptable explanation. Of 17 hypothetical paths, 14 were supported. Predicting variables explained 51.6% of fall prevention behavior. The fall prevention behavior of nurses showed a direct influence of fall prevention expectations, fall prevent threat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r fall prevention, and intention to prevent falls and an indirect of influence of patient safety culture, attitude toward fall prevention, and the subjective norm. Conclusion: Findings show a need to identify a range of barrier factors to increase the benefits of fall prevention behavior and enhance the perceived control of fall prevention so that nurses will be able to promote fall prevention behavior in hospitals. Also, it is critical to increas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nurses.

고령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낙상 예방 운동유형 확인 (Identify the Type of Exercise to Prevent Falls for Healthy Elderly Life)

  • 박양선;김미예;박성원;이옥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61-373
    • /
    • 2019
  • 낙상은 노인의 신체적 건강은 물론 총체적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어떤 운동유형이 노인의 균형 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노인 낙상 예방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이었다. 65세 이상 80세 미만의 여성 노인들을 스텝운동집단(21명), 코어근육운동집단(20명), 통제집단(21명) 중 한 집단에 무선 할당하였고, 8주 동안, 주 2회, 회당 20~30분의 운동을 처치하였다. 운동 효과는 기능적 균형검사(한발 정적균형검사)와 자기보고식 균형검사(낙상효능감, 균형자신감)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체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보다 기능적 균형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눈을 뜨고 측정하는 한발 정적 균형검사에서 스텝운동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보고식 균형검사에서도 스텝운동이 코어근육운동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체간의 코어근육운동보다 낙상 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체간의 코어근육운동보다 노인의 균형 능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리드미컬한 스텝운동이 하지 근육의 관여가 상대적으로 높고, 다양한 지면 변화 속에서 스텝운동을 수행하므로 낙상 발생 환경과 유사하며, 발목 고유수용성 강화에 적합한 운동유형이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를 위해서 노인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동작 상황을 조사하고, 이에 기초하여 과제지향의 발목 고유수용성 감각강화 운동 중재 프로그램 및 운동 장비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NFC를 이용한 모바일 응급 의료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Mobile Emergency Medical System Using NFC)

  • 박주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33-639
    • /
    • 2014
  • 최근 IT와 BT를 융합한 스마트 헬스케어를 통해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짧은 시간에 최상의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응급 상황 발생시 신속한 응급 조치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NFC 태그를 휴대하거나 NFC 기능을 적용한 스마트폰을 휴대한 사람이 의식을 잃는 사고를 당했을 때 효율적으로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응급 의료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NFC를 이용하면 일상생활 중에서 낙상과 같은 사고로 의식이 없는 응급 환자에게 신체 접촉 없이 도움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응급 의료시스템을 구현하여 환자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응급 조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합성곱 신경망 기반 물체 인식과 탑승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 주행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ity Safety Driving Assistance System Using CNN-Based Object Detection and Boarding Detection Sensor)

  • 손권중;배성훈;이현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11-218
    • /
    • 2021
  • 최근에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의 보급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크게 늘고있다. 개인형 모빌리티가 자세 안정성이 낮고 탑승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도 사고나 낙상 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전동킥보드 사고 방지를 위해 본 논문은 주행 보조 장치로써 자동긴급제동시스템과 안전시동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물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위험 요소를 탐지하고 자동으로 제동을 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탑승이 확인되기 전까지 장치의 시동을 보류하는 안전시동시스템도 개발하였다. 상용차와 주행 조건이 매우 다른 개인형 이동 수단에 특화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융합 기술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