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상경험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5초

외래방문 노인의 낙상경험 유무에 따른 낙상에 대한 두려움, 효능감 및 예방행위 (Fear of Falling, Falls Efficacy and Fall Preven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ll Experience among Older Adults in Outpatient Settings)

  • 엄인애;황선영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1호
    • /
    • pp.61-6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ear of falling, falls efficacy, and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older adults in outpatient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fall prevention behavior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A total of 137 older adults aged 60 or older with more than one disease in an outpatients setting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1 through April 8, 2016. Results: The experience of a fal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t=-2.71, p=.008), gender (𝛘2=14.32, p<.001), education (𝛘2=6.05, p=.049), income (𝛘2=9.93, p=.019), physical activity status (𝛘2=16.84, p<.001), and the number of diseases (t=-2.89, p=.004). Fall experienc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𝛘2=3.79, p=.28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fall prevention behaviors was the fear of falls (β=-.37, p<.001), followed by the number of diseases (β=-.20, p=.013).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eventive fall education with older adults in outpatients settings considering the fear level of falling and the numbers of accompanying diseases.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빈도,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 (A Study on the Frequency of Falls, Fear of Fall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 신경림;강윤희;정덕유;김미영;윤은숙;마예원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155-1167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빈도, 낙상 두려움,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S시 S구 보건소에 방문하는 대상자로 65세 이상 여성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사전에 교육을 받은 간호학과 대학원생 조사원들이 일대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311명의 평균연령은 71.68±5.13세였고, 대상자 평균 인지기능은 22.14±4.32점으로 정상 노인 경우 25.25±1.80점, MCI 노인의 인지기능은 18.02±3.57점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대상자는 109명으로 전체 35%였고 대상자의 평균 낙상 횟수는 1회 이하가 78%에 해당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인지기능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두 그룹(MCI그룹, 정상 인지그룹)간 낙상횟수 및 낙상두려움, 지각된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인지기능이 좋은 그룹에서 스스로 지각하는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기능과 낙상횟수,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낙상 두려움은 인지기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는 인지기능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즉 인지기능이 떨어질수록 낙상 두려움의 증가와 지각된 건강상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향후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노인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두 가지의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인지기능 상태를 고려하여 낙상 두려움과 지각된 건강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되지 않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른 요인들을 포함하여 병원, 노인 요양시설 등 다양한 곳에 거주하고 있는 남·여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인지기능 향상과 낙상예방을 위한 포괄적인 교육을 통해 낙상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낙상 발생률을 낮추면,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파킨슨병환자의 낙상공포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Fear of Falling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 the Community)

  • 선순희;김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76-687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파킨슨병환자의 운동기능, 우울, 낙상공포의 관계를 파악하고 낙상공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대상자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파킨슨병환자 18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파킨슨병환자는 여성, 직업이 없는 경우. 보행보조기구 사용자, 2회 이상 낙상 경험자, 파킨슨병 4단계 환자, 유병기간이 9년을 초과한 경우, 항고혈압제 복용 환자, 독립적 운동수행력 하위군, 우울이 있는 경우 낙상공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낙상공포는 운동기능 및 우울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파킨슨병환자의 낙상공포의 영향요인은 우울, 낙상횟수, 파킨슨병 단계, 성별, 항고혈압제, 운동기능으로 변량의 36.0%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영향요인 중 우울이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거주하는 파킨슨병환자의 낙상공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영향요인에 대한 체계적 간호사정과 함께 우울을 완화할 수 있는 중재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해 주었다.

상상연습이 노인의 균형 능력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Balance Ability and Fall Efficacy in Dwelling Elderly Population: Single Subject Design)

  • 정준철;정해윤;이창대;유은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42
    • /
    • 2015
  • 목적 : 상상연습(mental practice)이 노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써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10월 까지 인지에 문제가 없고 낙상에 경험이 있지만 보조 도구 없이 자립보행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 3명에게 상상연습을 제공하였다. 개별 사례 실험 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과정 4회기, 중재 과정 5회기, 재 기초선 과정 4회, 총 13회기로 진행되었다. 독립변수는 노인의 균형 능력 및 낙상 효능감 증진을 위해 상상연습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전반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lance Scale; BBS), 낙상효능감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낙상효능감척도(Fall Efficacy Scale: FES), 정적, 동적 균형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외다리기립검사(One-Leg Standing test; OLS),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 Go test : TUG)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평균값과 시각적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상상연습 기법 적용 후 모든 대상자의 낙상효능감이 기초선 과정에서 측정된 수치 보다 증가된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전반적 균형 능력과 정적 동적 균형 능력 또한 증진 또는 유지 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노인의 낙상효능감과 균형능력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노인의 낙상 예방 활동으로 상상연습의 적용을 추천한다.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낙상 두려움 예측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Falling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Korea)

  • 박난주;신용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78-287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낙상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4 노인실태조사(2014년 6월 11일~ 9월 4일)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10,242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낙상에 대한 두려움의 위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노인의 81.5%는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낙상 두려움에 대한 유의한 예측요인은 성별(OR=2.87, p<.001), 교육(OR=1.73, p<.001), 동거 배우자 유무(OR=1.19, p=.02), 낙상 경험(OR=6.35, p<.001), 관절염(OR=1.83, p<.001), 우울(OR=2.25, p<.001), 인지 장애(OR=1.24, p=.001), 도구적 일상생활활동(OR=1.98, p<.001), 운동(OR=1.29, p<.001) 및 만성 질병의 수(3개 이상: OR=2.53, p<.001, 1~2개: OR=1.73, p<.001)였다. 즉, 낙상 두려움은 다요인적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관절염은 낙상 두려움과 관련된 중요한 만성 질환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낙상 두려움과 관련한 프로그램 계획 및 정책 제안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건강체조 프로그램이 낙상경험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alth Exercise Program on Walking ability, Depression and WHOQOL-BREF in the Fall experienced Women Elderly)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26-3732
    • /
    • 2010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여성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된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노인들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7년 4월에서 6월 동안 낙상 경험이 있는 여성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대상자에게 적용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은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및 백분율, paired t-test 등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상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중 '의자에서 일어나 앉기(t=2.291, p=.025)', '오른발 한발서기(t=2.236, p=.029)', '전후 보폭(t=4.015, p=.000)'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노인의 우울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044, p=.300)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t=3.528, p=.001)를 보였다. 삶의 질 하부영역에서는 전반적인 삶의 질(t=2.93, p=.005), 신체적(t=3.039, p=.003), 심리적(t=2.481, p=.016), 사회적(t=2.531, p=.014), 환경영역 (t=4.259,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근지구력 및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중재법으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상경험 여성노인의 하지 분절 각도와 근전도 차이 (Differences in Angle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Electromyography of Elderly Women Experienced a Fall)

  • 전경규;박광동;박세환;강영석;김대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5-255
    • /
    • 2009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여성노인 20명을 각각 10명씩 연령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보행 시 하지관절의 협응 능력을 분석하여 운동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불안정적인 측면의 요소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보행 시 하지관절의 균형에 대한 기전과 차이를 동작분석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보행 시 고관절의 움직임에서 연령증가로 인해 충분하지 못한 지지역할로 보행자세가 저하되어 안정적 이지 못한 패턴을 보였다. 둘째, 무릎관절의 움직임에서 좌우측의 보행패턴이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발목관절의 움직임에서 연령증가와 함께 활보패턴이 비정상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보행 시 하지 주요근육의 활성정도에 대해 대퇴직근과 대퇴이두근은 무릎의 굴곡을 막기 위해 근수축 활성이 증가되어 전진하는 전기적 특성을 보였고, 전경골근과 내측비복근은 이동 시 높은 전기적 수요를 나타내어 저측굴곡의 비율을 줄여 보행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낙상경험에 따른 일상생활 수행능력, 하지근력, 인지기능 및 시각기능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g Muscle Strength, Cognitive and Visual Fun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Experience of Falling in Community Resident Elderly Koreans)

  • 송경애;최동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1-229
    • /
    • 2007
  •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leg muscle strength, cognitive and visu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s and experiences of falling in Korean elder who are residents in the community.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51 participants aged 65 or more, who were ambulator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several physical function measurement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IADL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level and living situation. The leg muscle strength of the eld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were also related the risk of falling. Cognitiv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Visual acuity and depth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Conclusion: Demographic variables and experience of falling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related to IADL, leg muscle strength, cognitive and visual function of elders. Further study with a larger and nation-wide sample is needed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of elders.

  • PDF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경험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Falls among the Aged in Community)

  • 김선경;김종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7-23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fall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aged in community.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sed by the raw data is based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08. The subjects consisted of 73 persons who have experienced falls and of randomized 73 persons who inexperienced falls among 3755 the aged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Chu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for windows. Result: Most of accidents and poisonings were caused by slide/falls, and took place at home. Especially women experienced falls at home. Lower extremities were the most injured area.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wo groups: inexperienced group and experienced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alls were related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o it is necessary to give information about falls in the aged and further study.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률과 관련 요인 (The Prevalence and Factors of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 장인순;박은옥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9-10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falls occurring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299 community-dwelling-elderly in Jeju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via in-person interviews by five visiting nurses in October, 2012. Fall risk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CDC, K-ADL, HDS-K, and G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Results: A significant number of subjects (34.1%) had experienced a fall at least once within the last six months. Living arrangements, strokes, urinary incontinence, main daily activitie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se falls. Other risk factors included heavy use of medications, difficulties in walking and standing, needing arms to stand up from a chair, and hearing loss.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 critical factors related to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se information should be used to develop and implement fall prevention programs in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