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길거리 음식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관광객의 중국 길거리 음식에 대한 식품위험지각이 시식의도에 미치는 영향: 푸드네오포비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Effect of Perceived Risk on Chinese Street Foods of Korean Tourists on Eating Intention: Focusing on Moderator Effect of Food Neophobia)

  • 하헌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253-26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관광객의 중국 길거리음식에 대한 식품위험지각이 중국 길거리음식 시식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푸드 네오포비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위험지각 중 위생위험지각이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신체위험지각,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이 순으로 나왔다. 둘째, 신체위험지각과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은 중국 길거리음식 시식의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지만, 위생위험지각은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즉, 신체위험지각과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이 상승하면 시식의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셋째, 푸드 네오포비아는 위생위험지각과 중국 길거리 음식 시식의도간에 유의적인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지만 신체위험지각과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은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없었다. 즉, 푸드 네오포비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위생위험지각이 시식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높게 나왔다.

인천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편의점 편의식 이용빈도와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of convenience foods use at convenience stores and dietary qua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 김은미;최미경;김미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4호
    • /
    • pp.383-398
    • /
    • 2019
  • 빠르고 손쉽게 먹을 수 있으면서 청소년의 입맛을 자극하는 편의식의 섭취증가와 이에 따른 영양 불균형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남녀 청소년의 편의점 편의식 빈도에 따라 식습관, 생활습관 및 청소년영양지수 (NQ-A)를 평가하여 청소년의 편의식의 이용과 식사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 474명 (남자 225명, 여자 249명)이었고, 2018년 6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6.7세였으며, 대상자의 편의점 이용 빈도에 따라 '주1회미만군', '주1~2회군', '주3회이상군'의 세 군으로 분류였고, 남학생의 경우 주1회미만군은 32.4%, 주1 ~ 2회군 35.6%, 주3회이상군 32.0%였으며, 여학생의 경우 주1회미만군은 35.6%, 주1~2회군 44.6%, 주3회이상군 16.9%이었다. 남녀 대상자 모두에서 편의점 이용 빈도에 따른 세 군의 학년분포, 어머니의 직업 유무, 가족원수, 과외학습 상태, 식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남녀 모두에서 세 군간의 용돈 분포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편의점 이용 빈도가 높은 대상자들의 용돈이 높게 나타났다 (p < 0.05, p < 0.01). 남학생의 경우 편의점 편의점 이용빈도가 증가할수록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라면, 길거리 음식의 섭취빈도가 증가하고, 콩/두부의 섭취 빈도와 영양표시 확인률이 감소하는 관련성이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는 편의점 편의점 이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음료, 라면, 야식, 길거리 음식의 섭취 빈도가 증가하는 관련성이 제시되었다. 청소년영양지수를 이용한 실사의 질 평가에서 남녀학생 모두 편의점 이용빈도가 증가할수록 실사의 질이 낮아졌고 영역별 평가에서는 균형, 다양, 환경, 실천 영역은 편의점 이용빈도에 따른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절제 영역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편의점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은 라면 등의 편의식 및 달거나 기름진 간식류, 음료류의 섭취빈도가 높으며 야식이나 길거리 음식 섭취빈도가 높은 식행동 특성을 보였다. 청소년영양지수를 이용한 식사의 질 평가결과에서도 편의점 이용빈도가 높은 남녀 고등학생에서 총 식사의 질과 절제 영역의 점수가 낮은 유의적인 관련성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고등학생의 높은 편의점 편의식의 이용은 바람직하지 못한 식행동 및 식사의 질 저하와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올바른 식습관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학생의 길거리 음식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Recognition and Buying Practices of Street-vended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 김기남;우정인;최미현;한효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9권3호
    • /
    • pp.259-26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and buying practices of street-vended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Area. A general dietary practices including snacks, related factors of buying street-vended food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students had irregular dietary habit, especially more than eighty percent of them skipped breakfast. More than sixty percent of students had frequent snacks. It was investigated that college students ate street-vended foods two or three times per week. The order of frequent choice of street-vended foods was rice cake with pasted red pepper(51.9%), sweet and sour pork(19.7%), sundae(5.7%). In microbiological examination, MPN of Coliform and CFU of standard plate count was over a standard value respectively, and acid value of frying oil revealed over value for maximum limitation point. Therefore, food and equipment in street-vended food store was evaluated as poor sanitation status. Most of college students have opinion that street-vended food store must be kept the line.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required to protect them from unsafe street-vended foods.

  • PDF

전북지역 초등학생의 길거리 음식 섭취 실태와 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도 (How Mothers Recognize Intake Status on Street Fo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Jeon Buk Region)

  • 김송희;유현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6-419
    • /
    • 2009
  • This research has been surveyed on street food and snack intak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Jeon Buk region and the recognition of mothers has been observed for the objective of providing base materials for appropriat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As for status on intake of street food, most students (97.3%) have shown to have eaten from the street vendors while mothers assume low frequency in their child's intake of street food. Favorite street food choices had an agreement between mother and student as ddukbokki and dakkochi. Students were more tolerant in sanitation and necessity of street food than the mother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street food between the students and their mothers. There a need required for improvement in the system as to provide quality food and to prevent poor quality food being exposed to the students. Furthermore, practical and appropriate education must be conducted at home and at school for better choices of food and a better lifestyl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4) : 406${\sim}$419, 2009)

어린이 영양지수로 살펴본 유아와 초등학생의 식행동과 비만 사이의 관련성에 있어서 연령의 차이 (Age difference i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Nutrition Quotient scores of preschoolers and school children)

  • 배주미;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47-4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만 3세부터 만 11세까지 어린이 222명을 대상으로 3~5세 유아, 6~8세 초등학교 저학년, 그리고 9~11세 초등학교 고학년의 세 연령군으로 나누어 연령별 식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식행동과 비만도와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식행동 조사도구로는 최근 개발된 NQ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연령별로 NQ 점수와 NQ를 구성하고 있는 '균형', '다양', '절제', '규칙', '실천'의 다섯 영역 점수를 산출하여 비만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자 NQ 점수는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NQ의 다섯 가지 구성요인으로 본 점수 중 '균형' 요인과 '실천' 요인 점수는 연령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양' 요인 점수는 3~5세와 6~8세에 비해 9~11세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p < 0.001), '절제' 요인 점수는 3~5세에 비해 6~8세와 9~11세에서 (p < 0.01), 그리고 '규칙' 요인 점수는 3~5세와 6~8세에 비해 9~11세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 대상자를 정상군과 과체중 비만군의 두 군으로 나누었을 때, 3~5세의 경우, 비만에 따른 NQ 점수 및 구성요인 점수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6~8세의 경우는 NQ 점수 (p < 0.001) 및 '절제' (p < 0.001), '규칙' (p < 0.001), '실천' (p < 0.05) 점수에서 과체중 비만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낮았으며, 9~11세의 경우는 '절제' 요인 점수에서만 과체중 비만군의 점수가 정상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p < 0.001). 연령별로 체중과 NQ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3~5세의 경우, 체중과 NQ 점수 및 구성요인 점수 사이에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6~8세의 경우 체중과 NQ 점수 사이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 (p < 0.01), 또 체중과 '절제' (p < 0.001), '규칙' (p < 0.001) 및 '실천' (p < 0.05) 점수 사이에 각각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9~11세의 경우도 체중과 NQ 점수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 (p < 0.05)를보였고, 체중과 '다양' (p < 0.05) 및 '절제' (p < 0.001) 점수 사이에 각각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NQ 설문지 19개 문항의 응답빈도를 다섯 가지 구성요인으로 나누어 정상군과 과체중 비만군의 응답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3~5세는 '균형' 요인 중 과일섭취 (p < 0.05), 콩 제품 섭취 (p < 0.05) 및 야식 빈도 (p < 0.05)에서, 6~8세는 '절제' 요인 중 단 음식 섭취 (p < 0.01), 패스트푸드 섭취 (p < 0.001), 라면 섭취 (p < 0.01), 야식빈도 (p < 0.001), 길거리 음식 사먹기 (p < 0.05) 응답빈도, 그리고 '규칙' 요인 중 정해진 식사시간 (p < 0.05), TV와 컴퓨터 게임 사용시간 (p <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9~11세는 '절제' 요인 중 단 음식 섭취 (p < 0.05), 패스트푸드 섭취 (p < 0.001), 야식빈도 (p < 0.01), 길거리 음식 사먹기 (p < 0.01), 그리고 '실천' 요인 중 음식 꼭꼭 씹어 먹기 (p < 0.05)에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별로 NQ 구성요인 점수에 차이를 보여 나이가 어릴수록 '다양' 요인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식행동 지도가 필요하고,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절제' 요인 및 '규칙' 요인에 포함되는 식행동에 대한 지도와 교육이 중점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6~8세의 비만한 어린이에게서 NQ 점수와 '절제', '규칙', '실천' 점수가 낮았고, 9~11세의 경우 '절제'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두 연령층 모두 '절제' 요인 점수는 3~5세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으므로 초등학교 어린이의 비만 예방을 위해서는 '절제' 요인에 포함된 식행동 항목에 대한 교육을 집중적으로 하는 것이 실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 본 연구에서 비만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는 6~8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등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각 연령에 맞는 어린이 비만예방을 위한 적절한 맞춤형 식행동 지도 및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광주지역 학교주변 길거리 음식 중 당, 나트륨, 인공감미료 함량 실태조사 (A Survey on Total Sugar, Sodium and Artificial Sweetener Contents of Light Meals from the School Zone in Gwangju)

  • 양용식;김종필;강경리;서계원;조배식;홍삼재;최계선;김은선;박종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5-390
    • /
    • 2009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total sugar, sodium, and artificial sweetener contents of light meals from the school zone in Gwangju, from November, 2008 to April, 2009. A total of 100 samples were tested. HPLC/ELSD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otal sugar contents and AAS for sodium contents. Total sugar amounts were the sum of both mono-and disaccharide according to nutritional information standard defined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y the form of total sugar content(sodium content): $5.7\;{\pm}\;1.9%$($4.6\;{\pm}\;1.6\;mg/g$) for Tteokbokki, $7.6\;{\pm}\;5.1%$($5.4\;{\pm}\;2.7\;mg/g$) for Chicken(skewed), $15.4\;{\pm}\;3.2%$($3.0\;{\pm}\;0.9\;mg/g$) for Bun(fish-shaped), $0.6\;{\pm}\;0.3%$($3.7\;{\pm}\;1.0\;mg/g$) for Sundae, $0.9\;{\pm}\;0.3%$($7.4\;{\pm}\;1.4\;mg/g$) for Oden(with broth), $20.5\;{\pm}\;6.2%$($2.9\;{\pm}\;0.6\;mg/g$) for Waffle, $6.8\;{\pm}\;2.2%$($4.7\;{\pm}\;1.0\;mg/g$) for Hotdog, $14.2\;{\pm}\;2.8%$($3.1\;{\pm}\;1.6\;mg/g$) for Hotteok, $6.6\;{\pm}\;2.1%$($3.9\;{\pm}\;0.6\;mg/g$) for Toast, $10.1\;{\pm}\;3.7%$($2.3\;{\pm}\;0.7\;mg/g$) for Fry(sweet potato), $1.6\;{\pm}\;0.7%$($4.0\;{\pm}\;0.7\;mg/g$) for Fry(etc), and $9.3\;{\pm}\;2.4%$($4.0\;{\pm}\;0.6\;mg/g$) for Doughnut. In addition, sodium saccharin, one of the artificial sweeteners, was tested. Among 60 samples from February to April, 2009, 11 samples had sodium saccharin(6.7~101.0 mg/kg).

길거리 음식에 대한 중${\cdot}$${\cdot}$대학생의 섭취 및 위생상태 인식과 미생물 분석 (A Study on Students' Intake of Street Food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Hygiene Status of Street Foods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 김미정;오세영;윤기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2-352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intake trends of street foods for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s students through the survey study.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s' consumption of street food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hygiene status of street vendor were studied. The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groups and enterobacteriaceae in Kimbab, eomuk, and eomuk-kukmul were counted using 3M petrifilms. More than ninety seven %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street foods. All the respondents ate street foods 1 to 5 times a month. Forty percent of the respondent stated that 'good taste' and 'time-saving convenience' were their reason for eating the street foods. Their favorite foods were ddokbokgi and various fried foods. All the students responded that frying oil, drinking water, and soy sauce as well as the street vendors' attire and their cooking tools in street vendor were unsanitary. For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ranked frying oil as the most unsanitary substance. Eigh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an enforcement of hygiene should be imposed on the street foods vend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mong the student's age in the opinion related to the reasons of eating street foods, hygiene enforcement, existence of street foods and interest of hygiene status of street foods. High correlation (p<0.05) between the frequency of street foods and snack intakes was shown, regardless of student's age. The result shows that those who eat snacks more than once a day tend to eat street foods more frequently. Aerobic plate counts in Kimbab in 5 different vendors exceeded 10$^5$/g and contamination levels of enterobacteriaceae or coliform in Kimbab exceeded more than 10$^3$/g, which did not satisfy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In conclusion, although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sanitation of street foods was poor, most of them want the street food vendor to be maintained with better hygiene condition. This indicated that the regulation for safe street foods should be enforced and educational information about the preparation and serving for safe street foods should be provided to street food vendor.

어린이 선호 간식의 Na와 Cl 함량 분석 (Analysis of Na and Cl Contents in Children’s Favorite Foods)

  • 이옥희;정용삼;문종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524-532
    • /
    • 2010
  •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패스트푸드, 학교근처 길거리 즉석조리음식, 과자 등 가공식품, 그리고 집에서 먹는 과일류와 우유류 등 총 89종 식품의 나트륨과 염소 함량을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33개의 식품 종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어린이 선호 간식 100 g 당 나트륨 함량은 과일은 0.3~35.1 mg, 우유류는 28.9~82.5 mg의 분포를 보였고, 빵, 케이크, 떡류는 127.2~602.2 mg. 캔디류, 쿠키류, 아이스크림류는 2.5~1169.9 mg의 분포를 보였다. 거리의 즉석조리음식과 서양식 패스트푸드 100 g은 각각 226.9~693.7 mg과 103.4~875.8 mg의 분포를 보였다. 어린이 선호 간식 중 튀긴치킨, 핫도그, 버거류, 도넛은 식품 100 g당 평균 Na 함량은 536 mg, 553 mg, 794 mg, 562.2 mg으로 '고 Na 식품'인 반면에, 과일, 우유류, 캔디류, 초코렛의 Na 함량은 4.9~82.5 mg의 분포를 보여 '저 Na 식품' 임을 보였고, 그 이외 스낵, 빵, 케이크, 떡, 김밥 등의 식품 100 g당 평균 Na함량은 175.2~496.9 mg을 보여 '중 Na 식품' 임을 보였다. 그리고 라면, 만두 및 누들, 버거류 및 피자 1회 분량을 통해서 667 mg 이상의 나트륨을 섭취하여 Na 1일 목표섭취량의 1/3이상을 상회하여 섭취하게 되며, 특히 라면 1회 분량을 통해 Na 목표섭취량의 2/3를 섭취할 수 있어 Na 저감화가 필요함을 보였다. 어린이 식품의 Cl 함량은 식품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식빵, 쿠키, 칩류, 버거류의 경우 모두 750 mg 보다 높았다. 본 연구 자료는 어린이 Na 섭취량 감소를 위한 영양교육이나 농촌진흥청에서 8차 개정 식품성분표 구축을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Q-A,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assess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 김혜영;이정숙;황지윤;권세혁;정해랑;곽동경;강명희;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42-157
    • /
    • 2017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식품섭취영역에서 20개 문항, 식행동 식습관 영역에서 21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실태 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항목 점수와 식사섭취실태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집락별로 층화추출된 중고등학생 1,547명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청소년 영양지수의 평가 항목을 19개 항목의 5개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평가 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계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였다. 청소년 영양지수를 위한 5개의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이었다. 균형 영역에는 과일 섭취 빈도, 흰 우유 섭취 빈도, 콩류 섭취 빈도, 생선 섭취 빈도의 4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영역은 채소 반찬 섭취 빈도, 반찬 골고루 먹는 정도, 편식 정도의 3개 항목, 절제 영역은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 빈도, 가공 음료 섭취 빈도, 라면 섭취 빈도, 카페인 음료 섭취 빈도, 야식 섭취 빈도, 길거리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항목, 환경 영역은 아침식사 빈도, 식탁에 앉아서 식사하는 정도, TV 핸드폰 컴퓨터 사용 시간의 3개 항목, 그리고 실천 영역은 영양 표시 확인 정도, 음식 먹기 전 손 씻는 정도, 운동 빈도의 3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A) 평균 점수는 56.0점이었고, 세부 영역별로는 균형 58.6점, 다양 55.6점, 절제 48.1점, 환경 70.6점, 실천 52.1점이었다. 영양지수 점수와 각 영역별 등급은 전국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100 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25 ~ <75 백분위의 경우 '중' 등급, 0 ~ <25 백분위는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영양지수의 경우 63.1~100점은 '상' 등급, 49.0~63점은 '중' 등급, 0~48.9점은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는 19개 항목으로 구성된 식행동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환경, 실천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대적인 NQ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 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용 영양지수 (NQ-A)가 청소년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및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등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