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편차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for Scour Formulas Reviewing in Small Stream Watershed (소하천유역에서 교량세굴 검토 시 적용 가능한 세굴산정공식 비교)

  • Lee, Sung-Hyun;Kim, D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21-521
    • /
    • 2012
  • 우리나라는 산악지역이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전체유역을 놓고 볼 때 대하천이 차지하는 부분보다는 중소하천이 차지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고, 교량의 길이가 짧은 소교량이 수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중소하천의 유량은 시간적으로 매우 빠르게 변화하며 유속 또한 급속히 빨라져 하상의 변형이 순식간에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시간적, 공간적인 호우특성과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중소하천에 위치한 교량은 특히 세굴에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고 있다. 하천에 건설되는 교량의 수명이나 안정성에 세굴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홍수 시 단기간에 걸쳐 유량이 급증하는 경우 유속에 의한 교량 기초의 급격한 세굴은 예상치 못한 교량 붕괴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소하천에 설치된 교량은 약 3,470개소(지방도 기준)로 다양한 하부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하천 내에 세워진 교량과 같은 횡단 구조물들은 그 크기에 상관없이 하천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중에서 교량 세굴은 하천 횡단구조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로써 교량 건설 시 교각에 영향을 주는 세굴을 예측하고 방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정식을 통하여 신설교량의 교각세굴을 예측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량 세굴 공식들은 실험실에서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들 공식들이 산정한 국소 세굴량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실제 현장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서만 검증할 수 있다. 세굴 공식들의 산정 결과를 현장 실측자료와 비교하는 연구는 그 동안 다양하게 시도되었으나, 통일된 결론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세굴깊이 산정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세굴공식들 중 소하천 교량 규모에 적용 가능한 공식들을 선별하고, 각 세굴심 추정공식에 속한 변수별 특성분석을 위하여, 5가지의 독립변수를 설정하여 국부세굴의 현장 측정값과 예측공식의 비교결과에 대하여 불일치율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공식들의 불일치율의 기하 평균이 1보다 큰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모든 공식들이 과대 추정의 의미로 정확성면에서 우수한 공식들은 불일치율의 기하 평균이 1에 가깝고 기하 표준편차가 작은 공식들이 나타났으며, 이런 점에서 Froehlich 공식, Inglis-Poona II, Blench-Inglis I, Breusers 공식 등의 기하평균이 1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세굴공식 세굴심 산정결과의 불일치율을 각각 5가지의 변수별로 도시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 소하천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공식과 소하천에 적용 시에는 과다추정의 우려가 있는 공식으로 분류되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Measurement of Oil Globule Size Distribution in the Soymilk Suspended with the Soybean Particle (대두입자가 분산된 두유에서 기름입자의 입도분포 측정)

  • Chung, J.B.;Yoon, S.K.;Sohn, H.S.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4
    • /
    • pp.369-372
    • /
    • 1990
  • Although the measurement of oil globule size distribution is necessary to detect the process of demulsification, the reasonable methodology for its measurement has not been suggested because the solution of soymilk contains insoluble soybean particle and the protein to interfere with the detection of oil globule or oil content. The oil globule size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the homogeneous suspension and cumulative method under gravitational force or centrifugal force, which were modified with Stokes' low. The geometric mean diameter of oil globules in this soymilk was $033{\mu}m\;and\;031{\mu}m$ under gravitational method and centrifugal method,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of oil globule size distribution in the solutions emulsified by different pressures were detected by this method. The mean diameter of the solutions treated at higher pressure was shifted to smaller size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olutions at higher pressure became more compact around the mean diameter.

  • PDF

The Effect of Thermal Buoyancy on Air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Slot-Ventilated Livestock Building (환기중(換氣中)인 축사(畜舍)의 열부력(熱浮力)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 Choi, H.L.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8 no.2
    • /
    • pp.144-157
    • /
    • 1993
  • 환기중인 실험축사내에서 가축의 현열과 환기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열부력(熱浮力)(thermal buoyancy)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EACH 컴퓨터프로그램($k-{\varepsilon}$ 난류모형 및 SIMPLE계열 Algorithm)을 Curvilinear Coordinates에 맞게 변형하였다. 계산한 축사내 공기유통 및 온도분포의 유의성(有意性) 검증은 Boon(1978)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열부력의 크기에 따른 유동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유입공기의 온도를 $17^{\circ}C$$10^{\circ}C$ 두 수준으로 입력하였으며, 가축의 현열플릭스(flux)는 실내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유압공기의 온도가 $17^{\circ}C$일 때는 130W/$m^2$, $10^{\circ}C$일 때는 170W/$m^2$을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다. 예측한 공기유동의 형태는 실험값(Boon, 1978)과 비교하여 대체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유입공기의 온도가 $10^{\circ}C$인 경우, 예측 공기유동은 실험 유동형태와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에서는 수평슬롯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로 아래로 굴절되어 유동(流動)하였으나, 계산의 결과는 일정 거리로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아래로 굴절하였다. 이런 유동의 차이는 경험적으로 열부력(熱浮力)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k-${\varepsilon}$ 난류(亂流)모형의 적용이 원인이 되거나 실험의 부적절한 수행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유동(流動)의 Reynolds 수(數) (Re)는 약 3,300, 수정Ar수(修正Ar數)(Corrected Archimedes Number : $Ar_c$)64로써, $Ar_c$ <30 이거나 $Ar_c$ >75이면 유입공기의 제트는 수평유동한다는 Randall & Battams(1979)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다. 그러나 공기제트의 굴절은 유동의 특성이 같다하더라도 유체의 성질, 축사의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실제 실험을 통한 재검정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9와 Fig. 10의 기하학적 형태의 지점별 예측온도와 측정온도(Boon, 1978)와의 편차는 대부분의 지점에서는 $1^{\circ}C$ 미만으로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최대의 온도차는 Fig. 10의 지점 13에서 $1.7^{\circ}C$이었다.

  • PDF

Stochastic FE Analysis of Plate Structure (평판구조의 추계론적 유한요소해석)

  • 최창근;노혁천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8 no.1
    • /
    • pp.127-136
    • /
    • 1995
  • In this paper the stochastic FE analysis considering the material and geometrical property of the plate structure is performed by the weighted integral method. To consider the stochasity of the material and geometrical property, the stochastic field is assumed respectively. The mean value of the stochastic field is 0 and the value of variance is assumed as 0.1.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umed stochastic field is represented by auto-correlation function. This auto-correlation function is used in evaluating the response variability of the plate structure. In this study a new auto-correlation function is derived to concern the uncertainty of the plate thickness. The newly derived auto-correlation function is a function of auto-correlation func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assumed stochastic field. The two results, obtained by proposed Weighted Integral method and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are coincided with each other and these results are almost equal to the theoretical result that is derived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considering the variability of plate thickness, the obtained result is well coincide with those of Lawrence and Monte Carlo simulation.

  • PDF

Predic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from Gran-size Distribution Parameters (입도분포를 이용한 투수계수의 예측)

  • Song, Young-Woo;Lee, In-Ko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8 no.3
    • /
    • pp.5-12
    • /
    • 2002
  • Hydraulic conductivity 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 However, both field and laboratory procedures fur the determination of k are often tedious and expensive. This paper presents new models to predict k using statistical parameters from grain size distribution. A number of permeability tests far 36 types of sands mixed based on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develop the regression-based models. Parameters used to estimate k are both the geometric mean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the soil samples, or the particle-size distribution curve parameters such as D_{10},D_{50},D_{60}. Hydraulic conductivity predicted by this model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laboratory measurements fir the soil samples obtained at 20 location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models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existing models including Hazen's.

Extraction of Ground Control Points from TerraSAR-X Data (TerraSAR-X를 이용한 지상기준점 추출)

  • Park, Jeong-Won;Hong, Sang-Hoon;Won, Joong-S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4 no.4
    • /
    • pp.299-307
    • /
    • 2008
  • It is possible to extract qualified ground control points (GCPs) from SAR data itself without published maps. TerraSAR-X data that are one of highest spatial resolution among civilian SAR systems is now available. In this study, a sophisticated method for GCP extraction from TerraSAR-X data was tested and the quality of the extracted GCPs was evaluated. Mean values of the distance errors were 0.11m and -3.96 m with standard deviations of 6.52 m and 5.11 m in easting and northing, respectively. The result is one of the best among GCPs possibly extracted from any civilian remote sensing systems. The extracted GCPs were used for geo-rectification of IKONOS image.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KOMPSAT-5 for geo-rectification of high-resolution optic images acquired by KOMPSAT-2 or follow-up missions.

Analysis of Visual Distortion and Suggestion of Design Criteria at Curve Sections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 및 설계기법 제시)

  • Ha, Tae-Jun;Jeong, Jun-Hwa;Lee, Jeong-Hwan;Lee, Suk-K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6D
    • /
    • pp.663-673
    • /
    • 2009
  • Driver's perceived curve radius is different from actual curve radius at curve sections. This is called visual distortion. It has effect on operation speed according to driver's perception and finally bad effect on safety at curve sections. At present,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quantitatively analysis of visual distortion and no criteria for curve section design considering the visual distor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finding degree of visual distortion and suggesting design criteria by visual distortion analysi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a calculaiton model of perceived curve radius was developed by survey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this model, a dependent variable is perceived curve radius and an independent variable is geometric factors. Second, degree of visual distortion was calculated from ratio of perceived curve radius to actual curve radius. Finally, design criteria were suggested through influencing factor analysis of visual distortion at curve sections.

Estimation of hourly daytime air temperature on slope in complex terrain corrected by hourly solar radiation (복잡지형 경사면의 일사 영향을 반영한 매시 낮 기온 추정 방법)

  • Yun, Eun-jeong;Kim, Soo-oc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4
    • /
    • pp.376-385
    • /
    • 2018
  • To estimate the hourly temperature distribution due to solar radiation during the day, on slope in complex terrain, an empirical formula was developed including the hourly deviation in the observed temperature following solar radiation deviation, at weather stations on the east-facing and west-facing slopes. The solar radiation effect was simulated using the empirical formula to estimate hourly temperature at 11 weather observation sites in mountainous agricultural areas, and the result was verified for the period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7. When the estimated temperature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only considering temperature lapse rate,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temperature from 9 am to 3 pm was reduced with the use of an empirical formula in the form of linear expression; consequently, the estimation error was reduced as well. However, for the time from 5 pm to 6 pm, the estimation error was smaller when a hyperbolic equation drawn from the deviation in solar radiation on the slope, which was calculated based on geometric conditions, was used instead of observed values. The reliability of estimating the daytime temperature at 3 pm was compared with existing estimation model proposed in other studies; the estimation error could be mitigated up to an ME (mean error) of $-0.28^{\circ}C$ and RMSE (root mean square error) of $1.29^{\circ}C$ compared to the estimation error in previous models (ME $-1.20^{\circ}C$, RMSE $2.01^{\circ}C$).

INDEPENDENT JAW를 이용한 인접한 HALF BEAM 조사야 경계에서 조작방법과 조작자에 따른 선량오차의 경향

  • 서정민;박용철;주상규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13 no.1
    • /
    • pp.126-129
    • /
    • 2001
  • I. 목적 : Half beam을 이용하여 인접한 조사면 치료시, 경계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Jaw Position에 의한 기하학적 오차는 정확한 선량전달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본 저자는 QA용 필름을 이용하여 조사면 setting 방법과 조작자간의 오차를 분석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II.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은 6MV선(CL2100C, Varian, USA)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폴리스틸렌팬톰($25{\times}25cm2$)을 SSD 100 cm으로 고정한 후, 측정용 필름(X-omat V2, Kodak, USA)을 5 cm 깊이에 위치 시켜 조사면의 중심에서 경계를 이루는 비대칭 조사면 ($0/7.5{\times}15,7.5/0{\times}15 cm$)을 쌍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필름은 자동현상기를 이용하여 현상한 후 농도계(Densitometer, Multidata, USA)를 이용하여 중심축상에서의 농도분포를 측정하여 인접한 조사면에서의 오차를 분석하였다. 조작방법과 조작자간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5명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auto및 manual set-up을 실시하였고 각 방법의 평균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5회 반복하였다. III. 결과 : 필름 농도곡선을 이용하여 두 조사면이 만나는 경계에서의 오차를 분석한 결과, remote console set-up의 경우 주변 조사면에 비해 $-0.16{\pm}3.44\%$, pendant방식에서는 $+5.04{\pm}4.37\%$로 나타났고, 조작자간의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IV. 결론 : 비대칭 조사면을 이용한 근접 조사면의 치료시 pendant 방식보다 remote console 방식에서 오차가 적 게 나타나므로 Auto set-up 기능의 이용은 치료시에 조사면 경계에서의 선량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anual 방식으로 set-up 시 오차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므로 치료시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rmal Plasma Synthesis of Nano Composite Particles (열플라즈마에 의한 복합 나노 입자 제조)

  • Jeong, Min-Hee;Kim, Heon-Cha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1 no.6
    • /
    • pp.676-679
    • /
    • 2010
  • Nano composite particles were synthesized from a bulk ZrVFe alloy ingot by transferred DC thermal plasma. Effects of plasma gas flow r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nano composite particles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sized powder were analyzed by fiel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light scattering particle size analyzer (PSA),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X-ray diffractometer (XRD), and Brunauer-Emmett-Teller (BET) surface area analyzer. As the flow rate of plasma gas increased from 20 L/min to 40 L/min, the average particle size decreased from 91 nm to 55 nm,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became narrower, the surface area increased from $200\;m^2/g$ to $255\;m^2/g$, the particle composition was nearly unaffected, and the particle crystallinity was improved.